허리 근육통

살면서 처음인데 허리에 근육통이 생겼습니다. 의사 말로는 좀 많이 뭉쳤다고.. ;;; 그리고 E느님에게 엄청난 은혜를 입는 동시에 혼나고 있습니다. 크크크.
경과는..
수요일 점심 때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갑자기 허리가 아프더라고요. 책상다리로 음식을 먹는 곳인데 자세가 문제인가, 뭐가 문제인가 하며 그냥 조금 아픈가 했는데 조금만 움직여도 통증이 상당하더라고요. 헐.. 일단 식사를 다 하고 일어났는데.. 일어났는데 일어나기도 힘들고 걷기도 힘들어. 이게 뭐야. 암튼 식상에서 시간을 좀 보내며 통증이 좀 가라앉길 기대했지만 불가능. 일단 밖으로 나왔는데 어찌된 게 걸을 때마다 통증으로 허리가 지릿지릿하면서 걷기도 힘들더라고요. 결국 E의 제안으로 급한대로 근처 약국에서 파스를 붙이고, 저의 가방 중 하나를 E가 대신 든 상태로 멀지 않은 카페로 이동했습니다. 그 와중에도 친절한 E느님은 저에게 별사탕을 사주었지요. 우후후. 달달한 별사탕, 좋아.
진통제와 파스를 붙여서 좀 괜찮아지는 것 같았는데 어이하여 시간이 지나니 걸을 때마다 느끼던 통증은 좀 줄었지만 여전히 통증이 심해서 다음날 병원에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E가 저의 무거우 가방을 대신 들어주고 이것저것 챙겨주느라 엄청 고생했지요. 고맙고 미안해라. 그리고 제가 늘 쓸데 없이 짐을 무겁게 해서 다닌다고 엄청 혼났습니다. ㅠㅠㅠ
목요일. 아침에 일어났는데 도저히 알바를 갈 상황이 아니라 하루 빠지는 것으로 급 협상. 그리고 간신히 씻고 E를 만나 집 근처 정형외과에 갔습니다. 엑스레이 찍고 이것저것 본 다음 의시가 말하길 근육통이라고. 허리 근육이 엄청 뭉친 상태라고 하더라고요. 오호.. 몇 가지 이유가 떠오르지만 무시하는 것으로… 의사가 “평소 운동을 안 하죠?”라고 물어서, 자랑스럽게 “네, 안 해요! 히히” 했는데 표정이 안 좋으네요. 왜지… 암튼 주사를 맞고 구강약을 처방받고 물리치료를 받기로 했습니다. 만약 물리치료로 차도가 없으면 DNA재생인가 뭔가 하는 주사를 맞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었고요. 끙. 그건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이라 비싼데. -_-;; 암튼 40분 가량 물리치료를 받고 E의 도움을 받아 집으로 귀가. 그리고 계속 누워있었습니다. 눕는 게 가장 편한 상황.
오늘부터는 알바를 가야 하고, 당분간 물리치료를 받기로 했습니다. E의 조언에 따라 가방의 짐을 줄이기로 했고요. (퀴어락에 개인 노트북을 하나 마련해둬야 하나…) 그리고 당분간 알바를 제외한 모든 일정은 취소하는 것으로, 아니 취소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하. ㅠㅠㅠ
+
그나저나 물리치료를 할 때 안마매트를 사용했는데, 오오 좋더라고요. 운동하긴 귀찮으니 안마매트를 구매해서 사용하면 편할까 했는데 E에게 혼났습니다. ㅠㅠㅠ
++
갑자기 돈 깨지는 소리가 들리네요. 냐하하하하하하하
+++
물리치료를 할 때 안마매트로 마사지를 받을 때 그냥 누워만 있어야 하는데, 그 순간이 꽤나 좋아요. 일부러 폰이나 책을 안 챙겨서 그냥 멍 때렸는데 멍 때리며 망상하는 시간이 생겨서 기뻤달까요. 비싸지만 않으면 물리치료 계속 하고 싶다. ;;;;;;;;

검색 서비스 회사는 국가와 직접 협상할 날이 올까

검색 서비스 회사가 권력이 된다면 국가의 정책도 바꿀 수 있을까? 검색 서비스 회사가 독점적 지위를 가질 때 그 지위가 국가의 권력, 국가의 정책도 바꿀 수 있을까? 혹은 만약 사람들이 자신이 생활에서 직접 겪는 사건이나 주변 사람의 언설보다 검색 결과를 더 신뢰한다면 검색 서비스 회사는 국가와 직접 협상을 할 수 있을까?
한국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것 자체를 막으며 인터넷을 통제한다면 중국은 여기에 특정 검색 결과는 제외시키도록 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예는 천안문 사태를 검색하면 그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중국 정부에 유리한 결과만 나오는 식이다. 이 조건을 받아들이느냐 아니냐는 중국에서 검색 서비스 사업을 할 수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와 거의 동급이다. 구글은 이 정책에 동의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고 그래서 중국사무실을 철수한 바 있다. 카더라인지 사실인지는 내가 직접 확인하지 않아 확실하지 않지만, 천안문 사태 등을 반복 검색하면 그 결과는 나오지 않아도 정부 당국에서 이를 알고 연락이 온다나 어쨌다나, 뭐 이런 이야기도 있다. 패킷 감청을 하고 있다는 뜻인데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단순히 중국 정부만이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할 수 있는 일이란 뜻이다).
여기서 내가 집중하고 싶은 부분은 정부가 그 자신이 만든 ‘사실’이 있음에도 이와 다른 내용의 문서가 ‘검색’(!)되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점이다. 왜 정부의 공문서보다, 교과서와 같은 지식보다 검색 결과를 더 두려워하는 것일까? 이것은 중국 정부가 검색 결과, 그리고 ‘내’가 직접 찾은 자료를 주변 사람, 정부 등이 주장하는 자료보다 더 신뢰한다는 점을 알고 있다는 뜻은 아닐까? 단순히 ‘다른 정보’가 알려지길 바라는 수준이 아니라 검색 결과로 찾은 정보가 상당한 힘을 가질 수 있음을 알고 있다는 뜻일 수도 있다.
그런데 영국에서 조사한 자료(http://goo.gl/ytzwcM)에 따르면 18-24세 사이의 77%, 성인의 반 이상이 주변 사람이나 가족의 답변보다 검색 엔진의 답변을 더 신뢰한다. 나 역시 어떤 지식이나 정보는 주변의 설명도 듣지만 검색해서 확인한 다음에야 어느 정도 믿는 경우도 있다. 아울러 “일단 검색해서 확인 좀 하고 SNS를 사용하라”는 말은 인터넷 시대의 중요한 ‘조언’으로 통하기도 한다.
만약 독점적 지위의 검색 서비스 회사(G라고 부르자)가 어떤 국가의 정책을 바꾸기 위해서 검색 결과를 일부 수정한다면 일개 회사는 국가와 직접 협상할 수 있을까? 관광산업으로 재정을 꾸리는 A라는 국가를 가정하자. A의 정책 중엔 G에 크게 불리하진 않지만 유리하지도 않으며, 조금만 개선하면 G의 이윤에 크게 도움이 될 조항이 있다고 하자. 그런데 그 조항은 걸고 넘어지기에 따라 인권이나 환경보호 등의 이슈와도 밀접하다고 가정하자. G는 A에게 해당 조항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고 다각도로 로비를 펼치지만 A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에 G는 검색 결과를 조금 바꾸는데, A에서 일어난 다양한 절도 사건, 관광객이 겪은 불편이나 불만을 검색 결과 상단에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자 A는 여행하기에 위험한 국가로 인식되고 관광객 유입이 대거 줄어든다. 혹은 여행하기 좋은 나라를 검색한 결과에 A가 빠진다거나 여행하기에 위험한 나라에 A의 사건사고가 노출되는 식이라면? A는 어떤 선택을 할까?
농담 같겠지만 비슷한 일이 있었다. 상황은 다르다. 북유럽의 어디였던가, 일부 뉴스 회사는 구글뉴스가 자사의 뉴스를 링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 수입을 얻으니 구글이 자사에 일부를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고소 자체는 황당했다. 웹사이트를 링크하지 말라는 소리와 크게 다르지 않고, 구글뉴스를 통해 해당 뉴스 사이트는 상당한 트래픽과 구글광고 수익을 얻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려나 뉴스 회사가 속한 나라에서 소송이 진행되었고 (놀랍게도) 뉴스 회사가 승소했다. 1차 조치로 구글은 해당 뉴스 사이트를 검색에서 제외했다. 배상 문제 등이 있으니 이것은 일어날 수도 있는 조치다. 그리고 뉴스 사이트는 방문자가 폭락했다. 얼마 안 지나 구글과 해당 뉴스 사이트는 잘 합의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합의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어쩐지 뉘앙스로는 구글에 결코 불리하지 않은 결과인 듯했다.
내가 가정한 A의 경우와 뉴스 회사는 전혀 다른 경우다. 현재 구글은 상당히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지만(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 1년 간 구글이 전세계 검색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http://goo.gl/PB3BI3 ) 국가와 협상할 힘을 갖고 있진 않다. 국가와 협상할 힘이 있다고 해도, 아마 앞으로도 더 오래 그렇게 하진 않을 것이다. 자사의 이미지를 위해, 그리고 자사의 이득을 위해. 하지만 언젠가 구글이 정부보다 더 강력한 권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은 망상이겠지만.
구글 서비스에 종속되어 크롬북도 편하게 잘 쓰는 나는 더 많은 사람이 구글을 감시하길 바란다. 구글의 새로운 서비스를 없애자는 게 아니라 더 투명한 정책과 더 많은 논쟁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가 잘 살아나면서도 감시의 끈 또한 지속되어야 한다.
그리고 웹으로, 인터넷으로 더 복잡하게 연결된 지금, 권력을 사유할 때, 혹은 국제 관계를 고민할 때 검색사이트(그리고 SNS)를 제외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국가나 국경과 함께 검색 사이트, 혹은 웹서비스를 또 다른 축에 두고 사유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런데 구체적으론 어떻게?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