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세, 태도, 권력욕

각 커뮤니티엔 그 커뮤니티에서의 유명인이 있다. 커뮤니티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며 그 활동이 역사를 만들고 그 역사가 지명도를 만들고 그렇게 만든/만들어진 이름을 사람들이 기억한다. 그래서 이름만 들어도 대충 이미지를 떠올리고 신뢰할 수 있거나 없음이 결정되기도 한다. (유명인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란 뜻이다.)
특정 공동체에서의 유명세는 그 개인의 노력 혹은 행동으로 이룬 것이기에 쉽게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닐 뿐더러 유명세가 곧 권력도 아니다. 물론 어떤 곳에선 인기, 유명세가 권력으로 이해될 수 있겠지만 유명하다는 것은 그냥 유명하다는 의미 이상 없는 곳도 많다. 이를 테면 퀴어 활동판에서 유명한 활동가가 퀴어 활동판을 좌우할 권력이 없는 것처럼. 아울러 그것이 만약 권력이라고 해도 그 권력은 언제나 무수히 많은 비판적 평가를 동반한다. 그러니 유명하다는 건 권력을 행세할 수 있는 자리에 있음이 아니라 더 많은 비판에 직면할 자리에 있음을 뜻할 때가 많다. 원하지 않는 관심과 호사가의 구설에 오르기 쉽다는 의미다.
유명세가 좋건 나쁘건 상관없이 누군가가 유명세를 탐한다면, 인지도를 탐한다면 그땐 한 가지 방법 뿐이다. 그냥 묵묵하게 활동하면 된다. 온라인 카페라면 열심히 글을 쓰고 댓글을 달며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면 된다. 때로 다른 사람의 속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글을 쓰고 공감하는 마음으로 활동하면 된다. 이것은 단기간에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기, 유명세는 본인이 원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게 아니고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생기는 것이다. 특정 공동체에 몇 년 있었다고, 어떤 행동을 했다고 ‘나 이렇게 열심히 했으니까 대접해줘!’라고 한다면? 그냥 진상이다.
아울러 특정 공동체에 새로 가입한다면 다른 공동체에서의 역사, 유명세 같은 건 없다고 여겨야 한다. 전혀 다른 공동체에서 유명인이라고 해서 새로 가입하는 곳에서도 유명인처럼 행동한다면 혹은 유명인 대접을 바란다면 이건 ‘연예인병’이라고 불리는 어떤 행태를 하는 추태와 같다. 이를 테면 한국에서만 조금 유명한 연예인이 외국에서도 연예인 행세를 한다면? 아니 한국에서도 방송에 나올 때나 연예인이지 방송 아닌 곳에서 연예인 대접을 바란다면 욕 먹는 경우가 더 많다. 혹은 영화판에서 좀 유명하다면 영화인이 있는 곳에서나 유명한 것이지 다른 곳에서도 유명한 것은 아니다. 그러니 자신이 유명하다고 믿는다면 어떤 맥락에서, 어떤 공간에서 유명한 건지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이를 가리지 못 하고 유명인 행세를 하고 유명인 대접을 바란다면 이건 추태고 진상이다.
이건 다른 말로 유명하지 않은 사람 없고 귀하지 않은 사람 없다. 헌책방에서 알바 할 때면 소위 유명하단 사람 여럿 왔다. 물론 그 사람이 누군지 전혀 모르는 내겐 그냥 고객12일 뿐이었지만(뒤늦게 다른 사람에게 듣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테면 대학 교수면 대학에서나 교수지 헌책방에선 그냥 고객일 뿐이다. 그런데도 헌책방에 와서 교수라는 권위의식에 쩌는 행동을 할 때면, 그냥 추하단 느낌 뿐이었다. 그가 얼마나 대단한 연구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차피 헌책방 판매원 입장에선 그런 게 중요하지 않다. 아울러 헌책방에 오는 사람 중에 유명하지 않은 사람 없더라. 다들 자신만의 커뮤니티에선 유명인이더라.
+
이 글을 읽고 변방의 듣보가 타인의 유명세를 질투하여 썼다고 독해하신다면… 예리한 겁니다. 우흐흐

글 인용, 관성적 반성

어떤 연유로 오랜 만에 정희진 선생님 글을 찾아 읽었다. 좋다.
첫 번째 인용은 지식을 권력화하고 사유화하는 태도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좋다. 사실 내가 반성할 지점이다. 나는 혹시나 이렇게 하고 있지는 않은지. 나는 이렇게 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글이 좋다.
두 번째 인용은 연습이 부족한 내가 부끄러워서 골랐다.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한데 지금 나는 그렇게 살지 않는다.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반성만 반복하다보면 반성만 남고 연습은 하지 않는다. 내가 이렇게 반성한다는 과시만 있을 뿐이다. 반성을 과시하지 않아야 할 텐데…(라고 다시 한 번 반성을 과시한다.)
===
반면, 정치적으로 문제적인 비판에는 ‘뒤끝’이 있다. 혼자 오래 골몰한다는 의미다. 얼마 전 이 지면에 미국의 지원병제 문제를 지적한 스콧 펙의 징병제론를 소개했다. 어떤 ‘진보적 지식인’이 페이스북에 내 글을 두 가지로 비난했다. 하나는 내가 징병제를 주장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모르는데 아는 척하지 않았으면”… 즉, 비전공자가 글을 썼다는 것이다(이후 다른 네티즌들의 문제제기로 삭제한 듯하다). 전자는 당연히 오독이다. 문제는 후자다. 이런 식의 비난, 질문, 해명 요구는 내가 20여년 동안 겪어온 일이다. ‘여성’은 나의 일부분임에도 세상은 나의 존재를 ‘여성’으로 도배한다. 이 글을 쓰기로 결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이 ‘분’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남의 공부 분야를 정한 다음, 영역 바깥의 글을 쓴다고 비난하는 이 ‘하느님’들은 누구인가?
(… 중략 …)
나 자신을 “~학자”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타인 특히 사회적 약자 집단에게 왜 이런 연구를 하느냐/안 하느냐는 지적은 인권 침해다. 남의 글을 내용이 아니라(이 경우는 그의 비판 내용도 틀렸다) ‘비전공’ 논리로 비판하는 것은 자기 허락을 받으라는 얘기?
이른바 통섭의 시대에 공부의 ‘유목민’에게 비전공자 운운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는 사람이 지식인인가? 그런 판관 노릇을 하고 싶으면, 이 정권에서 장관을 하시는 게 맞다. 공부의 의미를 독점하고 지식인은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문지기들(gate keepers). 여기 들어오지 마. 그렇게 지킬 것이 없어서 겨우 지식의 문지기 노릇을 하는가?
경기든 연주든 모든 몸의 플레이어들은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부상과 실수가 있기 마련이다. 연습은 정신력으로 몸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연습된 몸으로 정신(적 실수)을 ‘없애는’ 방식이다. 연습, 연습, 연습. 그런 경지의 노력은 명예와 금전적 보장만으로 불가능하다. 삶을 사랑하지 않으면 해낼 수 없다.
작가는 엄청난 양의 독서, 습작, 조사에다 삶의 매순간이 연습이다. 좋은 글을 빨리 쓰는 사람이 있다. 비결은 연습(치열한 삶)이다. 글 쓰는 시간은 연습을 타자로 옮기는 시간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중략…)
하지만 연습을 많이 한 이들이 독자로 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은 오만할 자격이 있다. 연습은 끝이 없는 개념이다. 외롭고 지루한 연습이 아무런 보상이 없을 수도 있는 삶을 기꺼이 선택한 이들이다. 이들은 이미 모든 것을 가졌다. 진실을 아는 자의 만족스런 불평이다. “천 번만 먹을 갈아보고 싶다. 그러면 내 가슴에도 진실만이 결정(結晶)되어 남을까?”(404~405쪽)

잘 먹고 살아요

요즘 들어 피부가 좋아졌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냥 이런 말만 하기도 하고 이유를 묻기도 한다. 뭐, 겨울이기도 하고 잘 먹고 잘 지내니 피부도 좋아지는 거겠지. 으흐흐
음식하니 떠오른 일화가 있다. E가 처음 집에 놀러왔을 때 이야기를 하다보니 시간이 많기 가서 저녁을 먹어야 했다. 그래서 나는 평소 먹는 것처럼 버섯을 대충 굽고 밑반찬으로 한끼를 때웠다. 시간이 많이 지난 후 E가 말하길, 처음엔 내가 간결하게 먹는 줄 알았다고 했고 시간이 지나 그것이 아닌 걸 알았을 땐 내가 살짝 불쌍했다고.. 흐흐.
하지만 음식 만드는 걸 귀찮아 하는 나란 인간은 그저 매우 간단하고 대충 만든 식사를 선호한다. 이를 테면 일요일 점심 때 반찬을 잔뜩 만들어서 일주일 내내 먹는 식이다. 그때 반찬은 버섯, 고추, 양파 정도를 볶는 수준이고. 여기에 콩자반이나 다른 밑반찬을 추가하면 끝. 내겐 이 정도면 충분했다. 더 이상 많은 반찬이 필요 없기도 했고. 어차피 아침만 집에서 먹고 주말 네 끼 중 두 끼는 라면이니까. 후후.
그런데 요즘은 먹는 음식과 반찬의 종류가 변했다. 어떤 것을 먹는지는 음식 블로깅으로 대충 짐작하실 테고. 사진으로 블로깅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반찬을 먹으며 잘 지내고 있다. 이러니 다른 이유가 아니라도 몸이 좋아질 수밖에 없고 피부가 좋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고 보면 몇 년 전 제주도에 갔다 온 적이 있다. 단지 며칠이었는데 그때 식사가 상당히 괜찮았다. 그리고 서울에 돌아왔을 때, 피부가 좋아졌다는 얘길 들었다. 내가 사는 환경과 내가 먹는 음식이 곧 나의 피부고 몸이다.
암튼 이런저런 이유로 요즘 피부가 좋다는 얘길 들으니, 그러면 또 그런가보다 한다. 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