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21 연재글의 보충 및 오류..

한겨레21에 두 번째 연재글을 게재했고 이틀 전 온라인판으로 공개되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투고한 다음 두 가지 심각한 문제를 깨달았습니다. 분량과 마감 문제가 있어 추가 수정은 못 했기에, 이곳에 그 내용을 밝힙니다.
첫째, 글의 기획이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http://transgender.or.kr/)와 비온뒤무지개재단(http://www.rainbowfoundation.co.kr/)을 홍보/소개하는 것이다보니 트랜스젠더의 의료 정보와 법률 정보를 가장 잘 정리한 트랜스로드맵(http://transroadmap.net/)을 누락했습니다. ㅌㄹ에겐 며칠 전 만난 자리에서 사과했지만 그래도 누락해선 안 되었지요. 정말 죄송합니다.

둘째, 지렁이와 관련해서 설명하며 문제가 있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지렁이가 발족할 당시엔 운영위원이 모두 트랜스젠더였지만 발족 이후엔 모든 활동가가 트랜스젠더였던 건 아닙니다. 비트랜스젠더와 같이 활동했지요. 지렁이를 유지하는데엔 비트랜스젠더인 활동가의 역할이 더 컸고요. 이 부분을 분명하게 기술해야 했음에도 글엔 빠졌고, 결국 지렁이는 트랜스젠더인 활동가(비트랜스젠더인 트랜스젠더 활동가는 맞지만요…)만 활동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같이 활동한 분들께 정말 죄송합니다. 이 부분은 다음 연재글에서 분명하게 지적하겠습니다.
문제의 연재글은 “트랜스젠더 삶을 조각보로 잇다” http://goo.gl/W1kuym

아이허브, 비건, 음식의 성분

아는 사람은 이미 아는 그 유명한 인터넷 쇼핑몰, 아이허브에서 오늘 처음 주문했다. 소지하고 있는 체크카드 중 해외카드 결제를 지원하는 것이 있어 시도할 수 있었다. 시중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게 살 수 있어서 필요한 물품과 주전부리를 같이 주문했다. 하지만 이 글은 지름에 관한 얘기가 아니다.
아이허브에서 판매하는 주전부리를 보며 흥미로운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비건용 물품 목록을 따로 모아서 보여주고 있다. 각 목록마다 비건물품을 따로 정리하고 있다.
둘째, 나는 이게 더 중요한데, 굳이 비건용 제품으로 재분류하지 않아도 많은 스낵이나 주전부리가 비건이 먹을 수 있었다. 그러니까 별도의 비건용 항목이 아닌 일반 항목에서 끌리는 과자를 선택한 후 성분을 확인하면 상당수가 내가 먹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를테면 감자칩을 확인하면 성분은 매우 간단하다. 감자, 올리브 오일, 소금. 혹은 감자, 해바라기 오일, 소금. 감자칩의 성분이 이러한 게 무슨 대수냐고? 한국에서 판매하는 감자칩의 성분을 한 번만 확인해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한국에서 판매하는 감자칩엔 거의 100% 우유가 들어가고 그 외에 새우를 비롯한 다른 육식성 성분이 들어간다. 시중에 판매하는 국산 감자칩 중에서 우유가 안 들어가는 제품은 단 하나다.
감자칩만이 아니다. 국내에서 생산한 주전부리의 대부분이, 우유가 들어가야 할 이유가 없는데도 우유가 들어간다. 어떤 과자의 경우 같은 제품명인데 수입품이면 내가 먹을 수 있고 국내산이면 내가 먹을 수 없다. 젤리빈이란 과자의 경우에도 수입품엔 젤라틴이나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이 상당히 있지만 국내에서 생산한 유사 제품엔 거의 반드시 젤라틴이 들어간다. 우유 혹은 다른 동물성 성분이 무어 그리 좋다고 소량이나마 반드시 추가하는 것일까? 들으면 당황하겠지만 믹스넛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견과류를 섞어서 파는 제품의 경우, 거의 100% 우유나 전지분유가 들어간다. 경우에 따라선 소나 돼지의 가죽에서 추출한 젤라틴도 들어 있다. 반면 아이허브에서 판매하고 있는 주전부리의 경우, 초코바나 견과류로 만든 바의 경우에도 우유나 계란, 동물성 젤라틴이 들어가지 않는다.
이 차이가 무엇일까? 외국 사람의 경우 알러지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 판매를 위해 알러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성분을 뺄 수록 좋긴할 테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알러지가 주요 이슈임에도 알러지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성분을 빼진 않는다. 그저 우유, 땅콩 등을 사용해서 만든 제품과 같은 시설에서 이 제품을 생산했다고 경고할 뿐이다. 이 감각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상식..

상식常識: 사람들이 보통 알고 있거나 알아야 하는 지식. 일반적 견문과 함께 이해력, 판단력, 사리 분별 따위가 포함된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상식의 가장 일반적 용례는, ‘상식적으로 행동해라’, ‘상식적으로 생각해라’ 정도? 혹은 ‘일반인의 상식 수준에서’도 널리 쓰이는 편이다. 그럼 상식은 정확하게 무엇일까?
상常의 뜻은 대개 ‘항상’ ‘언제나’로 알려져 있지만 옥편에 따르면 常은 ‘법’, ‘불변의 도’, ‘법도’, ‘관례’를 뜻한다.
識은 대개 ‘지식’을 뜻하지만 옥편에 따르면 ‘타고난 성품’, ‘천성’이란 뜻도 동시에 지닌다.
이 두 한자를 조합한다면, 상식은 단순히 ‘보통 사람이 알고 있거나 알아야 하는 지식’ 수준이 아니다. 상식은 불변의 도를 아는 것, 법도와 관례를 아는 것이다. 언제나 통하는 지식을 아는 게 상식이 아니다. 이 사회의 지배 규범, 주류 질서를 아는 것이 상식이다. 또한 상식은 불변의 도나 법도를 몸에 익힌다(타고난 성품, 천성)는 의미기도 하다. 타고난 성품이나 천성은 몸에 익은 습성이란 뜻과 유사하단 점에서 지배 규범을 몸에 익히며 그것이 마치 나의 욕망인 것처럼 받아들이고 타인과 공유하는 것, 이것이 상식이다. 그리하여 상식적으로 행동한다는 건 매우 규범적으로 생각하고 또 행동함과 같다.
 
상식, ‘공통의 지식’이 아니라 ‘규범적 질서를 앎’이란 뜻의 상식은 그리하여 이 용어 자체가 매우 정치적이다. 그러니 다들 상식 없이 살기를! … 일단 나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