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수업 쪽글은 나중에 한 번에 올릴까 했는데요… 오늘까지 잇달은 글 마감과 수업 준비 등으로 정신이 없어서 결국 이번에 또 수업 쪽글로.. 하하..;;;
그리고 댓글 감사히 잘 읽었어요.. 답글은 곧 달게요.. 죄송해요… ㅠㅠㅠ
===
2013.10.15. 화. 15:00-  벤야민의 이야기꾼.
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루인
과거에 있었던 얘길 어떤 사람에게 들려줄 때가 있다. 과거 겪은 사건이나 운동의 역사 같은 것, 내가 참여해서 이미 알고 있다고 여기는 것 혹은 나도 전해들은 어떤 것을 마치 증언처럼 혹은 옛날 얘기처럼 들려줄 때가 있다. 그때의 일을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마치 그 일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것처럼. 그리고 어느날 그 일을 겪던 당시에 쓴 기록물을 읽는다. 나는 두 가지 다른 사건을 겪은 것만 같다. 활자로 기록된 것과 구술로 회자되는 것은 서로 다른 일이다. 활자로 기록된 사건은 그 기록 당시의 감정을 반영한 사건이고, 구술로 지금 애기하는 사건은 회고하거나 회상하는, 기억에 의존하는 사건이자 그 동안(즉 더 많은 시차와 경험)의 역사/시간이 침윤된 사건이다. 그래서 구술하는 이야기는 오래된/널리 회자되는 이야기이자 구술하는 그 찰나에 처음 쓰는 이야기다. “했던 얘기를 또 하고 또 하고 또 하는 것” 그래서 지겹도록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는 것 같아도 구술하는 동안 이야기는 매번 새롭게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이미 구성된 것 혹은 확정된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할 때의 나의 상태, 상대방의 반응으로 구성되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다. 그리하여 이야기엔 역사가 있고 시간이 있다.
그렇다고 활자로 기록된 글이 언제나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건 아니다. 벤야민은 이를 다시, 이야기와 정보로 구분한다. 이미 해석/설명되어 도착하는 순간 그 가치를 상실하는, 그리하여 청자나 화자가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는 정보와 매 순간 새롭게 해석되는 이야기는 다르다고 벤야민은 얘기한다. 이를테면 벤야민이 이름을 언급한 에드가 앨런 포의 「고자질하는 심장」이 그렇다. 별다른 해설/설명 없이 이야기만 있는 이 단편소설를 독자는 살인범의 죄의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강박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혹은 또 다른 내용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도 비슷하다. 이 이야기를 독자는 근대 기술 발전의 공포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페미니즘 작품으로 독해할 수도 있고, 동성 성애 관계로, 재생산을 둘러싼 공포로,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로, 채식주의자의 이야기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청자/독자에 따라 전혀 다른 작품으로 해석되며 시간이 지나도 그 생명을 생생하게 유지한다. 이것은 정보와 달리 이야기가 청자/독자의 개입을 통해 새로운 텍스트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야기는 읽는 것이 곧 쓰는 것인 찰나에 존재한다. 이야기는 역사성과 함께 바로 지금이라는 시간에 구성된다.
벤야민의 이야기는 활자로 구성되지 못 한, 때론 정보로도 구성되지 못한 타자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힘을 제시한다. 많은 타자의 기록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기록되거나 그 시기를 살아온 사람들의 기억에 의해 구술되고 ‘전설’로 회자된다. 기억 속 사건의 시기는 정확하지 않고 선후 관계도 얘기할 때마다 바뀐다. ‘그럼에도’가 아니라 그리하여 타자의 이야기를 듣는 순간, 우리/나는 타자의 역사를 내가 겪는 것처럼 상상할 수 있다. 혹은 내가 겪고 있는 일처럼 설레고 또 그 이야기에 기뻐한다/슬퍼한다. 내 몸의 경험과 엮어 ‘나’의 역사로 쓸 수도 있다. 역사쓰기는 상상하기라고, 상상력 없는 역사쓰기는 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나는 구전으로만 회자되는 혹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남아있는 타자/나의 이야기를 상상력이란 실과 바늘을 이용해 역사란 형태로 직조한다. 그러니 이야기하기는 역사쓰기다. 비규범적이라고 혹은 주류가 아니란 이유로 늘 은폐되었다고 하면서도 오래 전 타자의 이야기가 지금도 구전될 수 있다는 것, 많은 시간이 지나서라도 다시 들려질 수 있다는 것, 이것은 이미 정리되어 암기해야 하는 역사가 아니라 오랫동안 입으로 전해지는 ‘소문’ 속 타자의 역사, 이야기의 힘인지도 모른다.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 Q 2013 2학기 월례 토크 “우리가 말문을 트다.”

서강대학교의 퀴어 모임인,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 Q에서 퀴어 관련 행사를 한다고 합니다. 엄밀하게는 게이, 트랜스젠더, HIV/AIDS와 관련한, 혹은 이렇게 분류하곤 하는 이슈의 행사고요.
암튼 전 <옥탑방 열기>를 아직 못 봐서, 25일 월요일 행사엔 참여할까 고민하고 있어요.
춤추는 Q는 올해 인준 받은 정식 동아리로 알고 있는데(작년인가? ;;; ), 멋진 활동을 기대하고요. 🙂
===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 Q
2013 2학기 월례 토크 “우리가 말문을 트다.”
1부. 종로의 기적, 게이로 살어리랏다.
영화 <종로의 기적> 상영
일시 및 장소: 2013.10.31.목요일. 18:00- 서강대학교 정하상관(J관) 102호
2부. 트랜스/젠더 혹은 젠더/트랜스: 젠더를 수행하기, 그리고 사유하기
일시 및 장소: 2013.11.14.목요일. 18:00- 서강대학교 정하상관(J관) 102호
3부. HIV/AIDS, 낙인을 넘어 삶으로
영화 <옥탑방 열기> 상영
일시 및 장소: 2013.11.25.월요일. 18:00- 정하상관(J관) 102호.

돌 잔치

어제 오후에 지인의 돌잔치에 갔다 왔다. 수업 준비 등으로 일정이 빠듯해서 가지 않을까 고민도 했지만 그래도 가야지 싶어 갔다. 돌잔치는 처음 참여하는 거라 여러 가지로 어색했고 또 낯설었는데..

돌잔치를 진행하는 사회자가 지인에게 물었다: “남편분에게 여쭐게요. 처음 부인을 봤을 때 어땠나요? 어떻게 처음에 반했나요?” 지인은 잠시 불쾌하거나 난감한 표정을 짓더니, 아내가 고등학교 때 따라다녀서 그때 처음 봤다고 답했다. 사회자는 믿을 수 없다며 지인의 파트너에게 확인하는 질문을 했다. 파트너는 고등학교 때부터 자신이 따라다녔다고 답했다.
상황을 아는 사람들은 모두 웃었다. 사회자는 자신의 진행이 재밌어서 사람들이 웃는다고 믿었을까? 그러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렇다면 어쨌거나 자신감이라도 얻을 테니까. 혹은 사람들의 웃음을 어떻게 해석했을까?
지인과 그 파트너는 여고에서 만났다. 지인은 이후 호르몬 등 의료적 조치를 했고, 주민등록 상 성별을 변경했고, 양가 부모님이 모두 아는 상황에서 결혼을 했고, 쌍둥이를 낳았다. 인간을 이해하는데 있어 트랜스젠더를 기본값으로 삼지 않는 사람에게 이런 삶은 당혹스러운 이야기려나? ‘남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였어’ 혹은 ‘여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야’라는 식의 반응이 문제될 것 없다고 여기는 사회에서, 트랜스젠더의 가족 행사는 뭔가 묘한 느낌이다.
아는 사람은 알지만 내가 기억할 수 있는 수준에서 난 돌잔치에 참가한 적 없다. 소위 친척의 돌잔치에도 안 갔다. 가족 행사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니 특별할 것 없다. 그리고 결혼, 출산, 돌잔치와 같은 삶의 방식은 소위 이성애규범이라고 불리는 그것에 부합하는 방식의 삶이다. 그러니 지인의 돌잔치에 참여한 것이 이상할 수도 있겠다. 참 이상하지.. 지인의 삶은, 어떻게 보면 참으로 이성애규범적이라 할 수 있음에도, 조금도 규범적이지 않은 느낌이다. 이유는 아직 모르겠다. 사건만 나열하면 규범적인 것 같은데도, 규범적이란 느낌이 전혀 없다. 이상하게도 계속, 퀴어한 느낌이다. 왜일까?
아무려나, 지인과 파트너, 그리고 두 아이 모두 즐겁고 또 경쾌하게, 발랄하게 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