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페미니즘의 대중화 이후 일군의 퀴어 혐오, 트랜스 혐오를 전면적으로 내세우는 집단이 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교수라는 직함을 단 윤김지영도 있었는데, 윤김지영은 트랜스 혐오와 여성 범주의 본질주의를 전면에 내세우는 주장을 전개했다. SNS에서 출발하여 오프라인의 강의, 그리고 출판, 강연 영상 등으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본질주의적 페미니즘 논리를 주장했고, 이 과정에서 트랜스 혐오에 논리와 이론을 제공했다.
이제는 회고담처럼 말해지는 이 역사에서, 나는 주변의 몇몇 지인이 내게 한 말을 잊지 못한다. 언제적 혐오 논리냐, 윤김지영을 비판하는 글을 쓰는 것도 아깝다, 비판하는 글이 오히려 윤김지영을 키워주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이런 논리는 윤김지영이나 국지혜와 같은 이들이 트랜스 혐오를 전면에 내세우는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비판을 하지 않는 심정적 근거가 되었다.
그 심정적 근거를 아주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어떤 사건이나 상황, 논의에 개입할 때면 빈번하게 드는 고민이기도 하다. 괜히 반박글을 씀으로써 상대를 띄워주는 것은 아닐까. 괜히 판을 키워주는 것은 아닐까. 괜히 혐오의 논리를 정말로 이론적 논거로 승인해주는 것은 아닐까. 나 역시 매 순간 이런 고민을 하고, 그래서 논쟁이나 사건에 개입하기를 망설인다.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는 적극 참여했고 어떤 상황에서는 소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어떤 상황에서는 분노하면서도 일단은 말을 삼켰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때 참여하고, 적극 발언했어야 했다고 후회한다.
지금 발생하는 사건에 개입하기. 뒤늦은 후회에도 현재에 개입하는 실천은 무척 어려운 일인데, 이와 관련한 고민은 게일 루빈의 책 『일탈』 서문에도 나와 있다. 루빈은 언제나 지금 현재에 개입하는 글쓰기를 하고 있고, 루빈의 유명한 글의 상당수도 현재에 개입하며 사유를 재편성하고자 한다. 그렇기에 루빈은 현재에 개입하는 학술적 실천의 어려움을 말하면서도 그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페미니즘 연구, 퀴어 연구, 트랜스젠더퀴어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라면 고민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기도 하다. 혐오와 적대의 분위기에서 어떤 식으로 개입할 것인가라는 고민은 수세적 태도를 취하지 않으며, 내가 지지하거나 내가 속한 집단의 상황을 피해자화하지 않으면서, 상대를 악마화하지 않으면서, 내가 무조건 옳다는 오만함을 내포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논의의 가능성을 생산할 것인가와 연결된 고민이다. 이분법의 선악 구도를 거부하면서, 동시에 논의의 가능성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때로 고통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나는 요즘 쓰고 있는 논문의 서론을 완전히 갈아 엎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것은 개입하지 않는 태도가 어떤 여파를 만드는가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윤김지영이나 국지혜를 직접 언급하는 비판은 사실 별로 부담스럽지 않다. 실명 비판을 둘러싼 논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그 논쟁을 보고 배운 나는 실명 비판을 중요한 태도로 익혀 왔고 그래서 곧잘 인사를 나누던 지인도 실명으로 비판하는 글을 여럿 쓰기도 했다. 그러니 윤김지영이나 국지혜 같은 인물을 비판하는 것은 훨씬 쉬운 일이다. 문제는 이런 비판이 상대방의 판을 키워주는 태도라는 저어함이 결국 그들이 기고만장해질 수 있는 토대는 아니었는가라는 점이다.
2001년 하리수가 등장했을 때, 일군의 페미니스트는 트랜스젠더퀴어를 적대하는 글을 썼지만, 많은 페미니스트는 이와 관련해서 침묵했다. 그 시절 즈음 나와 친했던 페미니스트들은 하리수 혹은 트랜스젠더퀴어를 부정하는 논리를 설파했지만, 그 언어들이 직접 출판되어 남아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구두로만 돌았던 그 논리는 어느 순간 트랜스젠더퀴어가 인권 의제로 재편되면서 그냥 없었던 일처럼 잊혔다. 돌이켜 고민하면, 그때 적극적으로 논쟁을 히고, 논의를 해야 했던 것은 아닐까. 그래서 당시에 내가 들었던, 혹은 사석에서만 유통되었던 트랜스젠더퀴어를 향한 적대나 혐오 논리를 공론화시켜야 했던 것은 아닐까.
혹은 2015년 이후 새롭게 부상한 트랜스 혐오 페미니즘 논의에 더 적극 개입하고 비판하며 새로운 논의 지형을 만들어야 하지 않았을까. 물론 성소수자인권포럼이니 한국여성학회의 여름캠프를 비롯하여 여러 학회와 행사에서 트랜스 혐오를 전면에 내세운 일군의 페미니스트를 비판하는 장을 마련했다. 그러니 적극적 개입이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더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논의의 장이 필요한 것은 아니었을까 반성한다. 어떤 저어함, 망설임이 2021년 초에 잇따라 발생한 죽음의 도화선은 아니었을까.
놀랍게도 이 글을 쓴 나의 의도는 트랜스 혐오 페미니즘에 적극 개입하지 않은 나의 게으름이나 주류 페미니즘의 방임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최근 서울시는 서울퀴어문화축제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하는 결정을 했다. 그런데 이 결정이 알려지자 민주당 지지자 중 일부는 문재인 때, 혹은 민주당 정권 때는 비판 목소리를 크게 내더니 윤석열, 오세훈 때는 조용히 있다며, 이렇게 될 줄 몰랐냐고 고소하다는 반응을 드러냈다. 저런 반응은 일일이 반박하기 어려울 정도로 총체적 난국이다. 그 중 하나만 짚는다면, ‘이렇게 될 줄 몰랐냐’라는 반응은 현재의 폭압적 정치를 정당화하고 승인하는 태도다. 이렇게 될 줄 알았다면 왜 너희들은 더 적극적으로 낙선운동이나 반대 운동을 하지 않았느냐고 비판할 수 있고, 이렇게 될 줄 알았다는 식의 태도는 패배주의적 태도, 현재의 문제를 당연시하는 태도라는 점에서 현 정권의 행태에 적극 공모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니 ‘이렇게 될 줄 몰랐냐’라는 말은 현 상황에 비판하는 위치에 있다면 결코 해서는 안 되는 말이다.
나는 정확하게 지금 이 상황에 개입하는 말을 보태고 싶었다. 요즘 들어 자주하는 고민은, 예를 들어 노동조합에 가장 적대적인 정권은 윤석열과 같은 극우 정권 아니라 민주당과 같은 중도보수 정권일 때라는 점이다. 윤석열을 비롯한 국민의힘 계열 정권은 노동조합을 노골적으로 탄압한다. 그런데 민주당 정권일 때는 노골적으로 탄압하지는 않는 모양새를 취한다. 이런 점에서는 민주당이 더 문제라는 지적에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런데 민주당이 정권을 잡으면 민주당 지지자는 노동조합을 비롯해서 인권 단체, 시민 단체 등 시위와 항의, 저항하는 모든 세력을 적대한다. 그래서 민주당 정권일 때 민주당 지지자들이 많이 모이는 게시판이나 댓글에는 노조, 민주노총, 시민단체, 여성단체, 페미니즘 단체, 성소수자 단체를 향한 적대와 혐오가 넘쳐난다. 하지만 국민의힘 계열이 집권을 하면, 이들의 항의와 시위는 매우 정당하고 소중한 행동이 된다. 그리고 정확하게 이런 태도가, 서울퀴어문화축제를 향한 서울시의 횡포를 두고 민주당 지지자 중 일부가 서울퀴어문화축제를 비난하는 태도의 근거라고 고민한다.
이런 이유로 현재의 정치, 지금의 논쟁에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논의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저것들은 비판할 가치도 없다는 식의 태도가 ‘저것들’을 기고만장하게 만들고 커다란 세력으로 만든다. 지금 현재에 개입하지 않는 태도는 결국 간접적으로라도 ‘저것들’을 지지하는 행동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50H50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