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랙퀸> 뮤지컬 공연 번개 이벤트 ! 특별히 싸게 더 뜻깊게

하리수 씨가 공동 주연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지난 4월 제가 정말 재밌고 본 뮤지컬 <드랙퀸>을 싸고 뜻깊게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아래 글 읽고 많은 분들이 함께 하시면 좋겠어요!!

출처: http://goo.gl/Qzv33

올해 퀴어퍼레이드에 하리수씨가  나오시는 거 아시죠? ^^
그걸 기념도 할 겸.. 그리고  퀴어문화축제를 여는 데 들어가는 막대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후원금 마련 행사로 <드랙퀸> 단체관람 이벤트를 열고자 합니다.
(저는 이미 봤지만 또 볼 건데… 재미는 제가 진짜 보장합니다. ^^)
드랙퀸 공연 다 같이 봐요.
날짜는 날짜 : 5월 26일 일요일 오후 2시 낮공연
장소는  대학로 S.H 아트홀 (방송통신대학 근처)
좌석은  1층 VIP석  원래는 5만원짜리이나 특별히 20,000원으로.
그리고, 공연이 끝난 후 관객과의 대화 & 포토타임이 있습니다.
자.. 예매 방법은   우리은행 1006-201-222229(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로 입금한 후에  kqchqueen13@gmail.com 로
입금자명과 연락처를 적어서 보내주시면 됩니다
티켓은  간편하게  당일 티켓박스에서 예약자 이름을 대면  수령가능합니다.
문의 : 0505-303-1998  로 해주세요.
많이 보셔야 해요. 많이 보셔야 해요.
오랜만에 국내 활동에 복귀한 하리수씨를 응원도 하고  퀴어문화축제 후원도 하고  
또 즐거운 문화생활도 하고   일석 삼조의  자리.
여러분들의 많은, 아니 뜨거운 반응을 부탁드려요.

범주 명명

범주 용어와 관련해선 참 다양한 용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엔 C 님이 알려준 내용을 토대로 저를 transgirldyke로 부를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http://goo.gl/RWoSD). 저를 설명할 용어가 이것 뿐이겠어요. 더 많은 용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며 저를 명명할 수 있을 겁니다.
범주를 부르는 용어, 그리하여 자신을 설명하는 용어는 갈 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말 다양한 용어가 등장하고 있고, 그래서 때때로 새로운 용어를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버겁기도 합니다. 어떤 용어는 그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만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조합한 용어 transgirldyke는 구글에서 검색하면 안 나옵니다. 제가 처음 만든 걸까요? 그렇진 않겠지만 어디가서 이렇게 저를 설명한다면 누가 알아들을까요? 이럴 때 이런 범주명명을 고집한다면 이것은 어떤 의도에 따른 것일까요?
범주 명명이 늘어나는 건 확실히 좋은 일이긴 합니다. 기존의 인식체계에서 누락되었거나 인식을 부인당한 존재가 자신을 분명하게 주장하고 설명할 수 있으니까요. 이를 통해 기존 규범의 인식론적 한계를 드러낼 수 있고요. 규범은 모든 것을 인식하는 방식이 아니라 많은 것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 인식을 부정하는 방식이란 점에서 이런 한계를 밝히는 작업은 중요합니다.
만약 범주 명명이 경계분쟁으로 변한다면, 달리 말해 진정성 싸움이나 참 범주 논쟁으로 번진다면, 자신의 독자성을 주장하는 것이라면 이것은 범주 명명의 부정적 사례로 말할 수 있을 듯합니다. 범주 명명의 다각화는 기존 지배규범의 한계를 독해하고 권력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이지, ‘나는 너와 달라’라는 선언을 통해 범주를 본질화하려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을 분명하게 하면 좋겠습니다. 기존 범주 명명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범주나 언어를 만들 때 그 의도가 그저 남다른 자신을 ‘과시’하려는 의도인지, 어떤 권력 작동을 문제 삼으려는 것인지요. 어떤 범주가 단지 내게 잘 맞는다는 것에서 나아가 그 명명을 통해 어떤 질서를 문제 삼으려는지 밝힐 수 있을 때 범주가 좀 더 의미있다고 믿습니다.
제가 트랜스젠더라는 게 충분한 게 아닙니다. 제가 저를 레즈비언 mtf 트랜스젠더라고 말할 때 이것은 제가 이중, 삼중 억압 구조에 있는 존재거나 ‘남다른’ 범주로 살고 있다고 얘기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이 사회에서 개인의 젠더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트랜스젠더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직면하도록 하려는 기획에 가깝습니다. 새로 등장하고 있거나 등장할 범주 뿐만 아니라 기존에 널리 쓰이는 범주, L/G/B/T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나의 범주를 본질화하기보다 나를 이렇게 설명하도록 하는 사회적 구조를 지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종교배, 관계, 범주명명

답글을 달다가 답글로만 남기기엔 아까워, 살을 조금 보탭니다.
트랜스젠더를 설명하는 주류 서사, 혹은 미디어를 통해 주로 등장하는 어떤 서사에 따르면 트랜스젠더 범주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경험은 ‘동성’(정확하겐 ‘이성’이지만 대개 ‘동성’을 좋아했다고 설명되죠)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mtf/트랜스여성이라면 남자를 좋아했고, ftm/트랜스남성이라면 여자를 좋아했다는 얘기. 이때부터 혼란을 느꼈고 자신의 젠더 범주를 다시 고민하기 시작했고 자신이 여성 혹은 남성이란 점을 알았다고 얘기합니다. 이른바 이성애자 되기 서사기도 한 이런 식의 설명은, 동성애자 범주 형성과 변별점이 없음에도 트랜스젠더 범주 형성 서사로 널리 통용되죠. 이런 언설에 사람들이 납득하는 것도 좀 재밌는 일이고요.
(홍석천은 그래서 게이와 mtf/트랜스여성의 차이가 음경을 유지하고 싶어하느냐 자르고 싶어하느냐라고 우스개를 했지만 논쟁적 발언입니다. 혹은 무식한 발언입니다. 방송용 발언이란 점을 감안해도요.)
전 이렇게 좋아하는 대상을 근거로 트랜스젠더의 젠더 정체성 구성을 정당화하는 방식에 상당한 불편과 불만을 가진 편이었습니다. 이것이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설명할 유일한 언어가 아님에도 마치 이렇게 설명해야 하는 것 같은 분위기를 형성하거든요. 그리하여 이성애자나 성애자가 아닌 트랜스젠더를 곤란한 상황에 빠뜨리고 존재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아울러 이런 식의 설명은, 자신이 기억하는 한 어릴 때부터 자신의 젠더를 알았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설명과 충돌합니다. 이를테면 ftm/트랜스남성이 자신은 3살 때부터 더 자라면 음경이 생길 줄 알았다고 말하며 자신의 남성 젠더 범주를 정당화하는 발언과 십대 시절 여성을 좋아하면서 젠더 범주에 혼란을 겪었다는 말은, 그렇게 호응하고 조화로운 설명은 아니니까요.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주류 서사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은 꽤나 흥미로운 현상이기도 하죠.
아무려나 이런 설명에 어떤 불편과 불만을 갖고 있음과는 별도로 누군가를 좋아하는 감정이 자신의 범주를 다시 설명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정이라냐, 이건 꽤나 중요한 경험이기도 합니다. 상대와 나의 관계를 설명할 때면 나의 범주만이 아니라 상대방의 범주 역시 함께 고려해야 하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하면 범주는, 그렇잖아도 복잡한 범주는 더 복잡하게 변합니다.
예를 들어 저의 파트너가 바이라고 가정하죠. 그리고 저는 공공연히 레즈비언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럴 때 둘의 연애 관계를 단순히 레즈비언 관계 혹은 여성 동성 간 관계라고만 말할 수는 없습니다. 레즈비언이나 여성 동성(애)관계란 명명은 저의 어떤 경험은 드러낼 수 있어도 상대방의 경험과 범주는 삭제하는 언설이고 그리하여 둘의 관계를 적절히 설명하기보다는 부적절하게 은폐하는 발화에 가까우니까요. 그래서 바이-레즈 관계라고 설명한다면 그나마 좀 괜찮을까요? 이런 설명은 성적지향은 어느 정도 표기한다고 해도 젠더 범주는 적절히 표현 못 합니다. 저는 제가 트랜스젠더란 점을 분명하게 부각하길 바랍니다. 그리하여 상대방이 비트랜스여성이라면, 다시 바이 비트랜스-레즈비언 트랜스라고 표현한다면 조금은 더 적절한 설명일까요? 썩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동질성을 밑절미 삼아 이루어진 범주 명명은 그 토대에 적절히 부합하지 않는 관계를 계속 놓칠 뿐입니다.
기존 범주 설명, LGBT로 대표되는 범주 용어는 모든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하게 가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LGB와 T가 한덩어리로 묶여도 괜찮을지도 논쟁이고요. 관계를 감안하면 개인의 범주를 설명할 언어는 더욱 복잡하게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어떤 언어 전략을 고민해야 할까요?
*이 글은 E님 쓴 ‘이종교배’ 관련 글에서 촉발합니다. 아흥, 고마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