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두리

많은 글을 쓰고 지우길 반복하고 있다. 무언가를 쓰고 싶은데 쓸 말이 없다. 거짓말이다. 쓰고 싶은 말을 쓸 수가 없어 다른 어떤 이야기를 찾고 있는데 쓸거리가 없다. 그래서 쓰고 지우길 반복한다.

그저 음악이 없었다면 난 지금을 어떻게 견뎠을까 싶다. 음악이 있어서 참 다행이라고 몇 번을 중얼거리고, 또 중얼거린다. 하지만 요즘은 니나(Nina Nastasia)를 피하고 있다. 얼마 전, 니나를 들으려다 알 수 없는 무서움을 느꼈다. 그냥 들으면 안 될 것 같았다. 듣고 있으면 큰일이라도 날 것만 같았다. 돌이켜보면 어처구니없는 느낌이지만, 그땐 그랬다. 그 느낌 이후로 피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도 피하고 있다. 지지(mp3p)의 용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재생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곧 듣겠지.

아침에 눈이 왔다. 나에겐 올해 처음 본 눈이다. 많은 눈이 내렸지만 이젠 다 녹았다. 덮어서 가릴 수가 없다. 햇빛이 빛난다. 사금파리 끝에서 반짝이는 붉고 비린 햇살에 눈이 아프다.

그리고… 미안하다는 말만 몇 번이고 되뇌고 있다.

상상하는 독자와 글의 현실

논문을 쓰면서 느꼈던 가장 큰 어려움은 내가 쓰는 글의 독자는 누구인가였다. 학위논문이기에 심사위원들이 대상인지, 석사논문을 쓰고 있기에 관련해서 공부하려는 학부생들이 대상인지, 아님 석사논문에 요구하는 수준으로 여성학과 혹은 젠더 이론에 기여할 어떤 막연함인지 헷갈렸다. 학위논문이란 점에서 예상 독자는 모호했고, 나의 욕심 속에서 독자는 분명했다.

나는 이론으로는 잘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실천을 하지 않고 있는 부분을 지적하고 싶었다. 외국에선 상당히 풍성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이론의 일부를 정리한 나의 글은, 바로 이런 이유로 누군가에겐 진부한 이론이다. 젠더 이론과 관련한 책을 좀 읽었다고 하는 사람들에겐 한없이 태만하고 진부할 내용일 테다. 그럼에도 나는 이 얘기를 해야 했다. 누구나 아는 얘기지만, 그 얘기를 트랜스젠더나 비규범적인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하는 이들과 관련해서 얘기하거나 고민할 땐 별개로 감안하는 분위기 때문이었다. 젠더는 고정되지 않은 것이라는 걸 안다고 말하면서도 트랜스젠더들은 왜 성을 바꾸려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트랜스젠더는 말하지만 트랜스젠더가 아닌 사람들과 관련해선 질문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말하고 싶었다.

바로 이 욕망은, 내가 상상하는 또 다른 독자들 때문에 진부하다. 트랜스젠더이건 아니건 상관없이 나의 글에서 하는 얘기는 이미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겪을 만한 내용이다. 그리고 비규범적인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하는 사람들이라면, 너무도 당연한 얘기를 비비꼬아서 하고 있으니 웃길 따름이다. 이 부분이 나의 고민이었다. 이 부분에서 나의 소심함이 발동했다. 지금까지 쓴 나의 글들처럼, 이번에도 어김없이 소심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활동가들에게 나의 이야기는 진부할 수밖에 없다. 너무도 익숙한 얘기를 하고 있으니까. 이 진부함을 문자로 표현했다는 것이 차이라면 차이랄까.

결국 나의 글은 내가 원하는 독자들 모두에게 진부한 내용일 수밖에 없다는 걸 알고 있다. 이 진부한 얘기를 몇 달이나 생색을 내며 썼다는 사실이 좀 웃길 뿐이다. 아마 내가 상상하지 않은 어떤 사람들에게만 낯선 얘기일 테다. 물론 내가 상상하고 있는 독자들에게도 낯설거나 새로울 수 있다. 그럼에도 나는 익숙하다고 말하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논문에서 요구하는 언어 말고, 대화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설명하면 “그건 너무 당연하잖아”라는 반응이 나올 거란 걸 알기 때문이다. 실제 관련 주제를 학제나 논문의 언어 형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간결하게 설명했을 때 그의 표정은 ‘당연하지’였다. 난 그 표정에서 용기를 얻는 동시에 걱정도 얻었다. 이 진부한 얘기를 꼭 이렇게 풀어야 할까, 하고.

이론에 익숙한 사람들이나 [Run To 루인]에 오시는 분들에겐 새로울 것 없는 이론/언어로 설명하고 있고, 커뮤니티건 운동이건 관련해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겐 바로 이런 이유로 진부하고. 나는 이 사이 어딘가에서 조율하는데도 실패하며 이도저도 아닌 상태란 걸 깨닫고 있다. 그래서 두려움에 떨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하긴 항상 새로울 필요가 없다는 건 알면서도, 그냥 내 고민을 정리하는 것으로 만족하자고 중얼거리면서도, 변화에 강박이고 진부함을 못 참는 나는 나의 진부함을 못 견디고 있다. 물론 진부함과 새로움은 나의 몫이 아니다. 내게 진부한 내용, 그래서 다른 사람들도 이건 진부하다고 느낄 거라고 가정했던 내용인데 새롭다는 반응이 돌아온다거나, 그 반대의 경우는 너무 많으니까.

+
요즘의 나는 아무려나 단두대에 목을 올려놓고 재판관의 엄지손가락만 쳐다보고 있는 기분이다. 다음 주 수요일이다.

붉은 꽃

붉은 꽃 피고 진 자리에 풍성한 붉은 꽃 아홉 송이 피었네. 황홀하고 달콤했네.
나는 숨죽이고 조용히 있었네. 그 공간엔 침묵만 감돌았네.
붉은 꽃 피는 모습을 바라보며, 나는 달콤했네. 너무 달아서 조금 매스꺼웠네.
그래도 좋았네. 그 순간이 지나가면 나는 좀 더 많은 시간을 견딜 수 있다는 걸 알기에, 기쁘기도 했네.

꽃 핀 자리.
꽃 진 자리.
다시 아침이 오고 나는 눈을 떴지만, 유예한 시간은 꽃 진 자리에서 똬리를 틀고 있네.
붉은 꽃 아홉 송이 피고 진 자리가 초라하게 빛나고 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