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리는 특권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60425023207005

[중앙일보] 시리아 난민 28명, 창 없는 방서 5개월째 햄버거로 끼니 2016.04.25.
송환 대기실에서의 생활은 열악하다. 출입국장 2층의 470㎡ 공간에는 창문이 없다. 나무 평상과 샤워실, 남녀 화장실이 있지만 잠잘 공간은 없고 담요 한 장씩만 제공된다. 식사는 삼시세끼 햄버거·콜라만 준다. 세탁시설이 없어 폐렴·호흡기질환 등에 시달리고 있으며 전염병 위험마저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일 화상 인터뷰를 한 무하마드는 “하루 종일 멍하니 지내다가 스마트폰 와이파이(wifi)가 잡혀 가족들과 연락이 될 때만 기다린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리아인 A(23)는 “주로 치킨버거가 제공되고 ‘할랄 푸드’가 없어 치킨을 빼고 빵만 먹으며 5개월째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
내가 누리는 특권의 효과를 고민했다. 한국에서 발생하는 인종이슈, 이주민 이슈 등을 나는 적극 사유하지 않는다. 한국 언론에 별로 소개가 안 되는 시리아 내전이나 난민 이슈 역시 적극 공부하거나 사유하지 않는다. 그래도 당장 내가 살아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이것은 내가 한국 사회에서 누리고 있는 특권이다. 한국인으로 인식되는 외모, 한국인 신분증은 내가 인종차별이나 한국에서 미등록/이주민, 난민이 겪는 차별에 무감해도 큰 문제가 없다. 내가 이런 이슈에 엄청난 특권을 누리고 있지만, 나는 내가 특권을 누리고 있음을 망각하며 살 수 있다. 나의 망각, 사유 없음은 기사에 나온 상황을 유지하는데 강력한 지지기반이 된다. 내가 이와 관련한 글을 써왔다고 해서 사회가 별로 달라지진 않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금 내가 공모한 현실을 부정할 순 없다. 그러니까 출입국사무소의 관행이나 한국 정부, 혹은 끔찍한 내용의 글을 쓴 댓글러를 비난할 문제가 아니다. 물론 출입국사무소나 한국 정부를 살벌하게 비판해야 한다. 하지만 그 비판이 나를 심판관으로 만들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명백하게, 이런 식의 난민 대우가 지속되는데 나는 무지했고 방관했기 때문이다. 가해자가 또 다른 가해자, 더 많은 권력과 제도 운용 능력을 갖춘 가해자를 어떻게 비판하는 것이 좋을까? 비판하되, 나를 심판관으로 만들지 않는 언어는 무엇일까? 분노할 일이면서 반성할 일이라서 부끄러웠다.

모든 몸은 평등하다: 장애여성들의 몸으로 말하기

이호선_ 예전에는 목발을 짚으면, 교통사고가 나서 목발 짚어본 경험을 가진 사람이 말을 시켜요. ‘내가 다쳐봐서 아는데 너무 힘들더라’ 그런데 저는 아프진 않거든요. 나와 다른 경험인데 자꾸 그렇게 말하면 (내 경험이) 공감이 안 될까 봐, 너무 다른 몸이라서 공감이 안 될까 봐 걱정이지요. (235)

최해선_ 어릴 때부터 병 때문에 아팠지만, 이 병 외에도 아픈 데가 있잖아요? 생리통이 있다든지, 두통이 심하다든지, 감기 기운이 있다든지… 그런 이야기는 못하는 것 같아요. 큰 병 때문에 식구들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폐를 끼치고 있으니까. 그 외에 자잘하게 아픈 건 내가 알아서 약을 먹거나 그냥 며칠 아프고 말거나, 어쨌든 이야기는 못했던 것 같아요. (236)
강다연_ (중략) 제가 이야기를 끄집어내야만 ‘이런 행동이 장애여성들에겐 폭력이구나’라는 걸 알릴 수 있을 텐데 그렇게 하는 게 제 자신에게 너무 아프고 힘들어서 못 했어요.
이호선_ 못 쓴 이야기가 진짜 중요한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우리는. (238)
이호선_ 중요한 부분이네. 중도장애인 이야기는 다들 얼마나 내가 잘 나갔나, 얼마나 내가 나락으로 떨어졌나, 그런데 어떻게 다시 성공했나, 그런 순서로 쓰는데. 우리가 암암리에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쓰지 않으려고 자꾸 노력을 했던 것 같아. 아무 생각 없이 쓴다 해도 어쩔 수 없이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쓰고 있을 때도 있어. 그렇지 않도록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후략) (239)
김효진, 최해선, 강다연, 박현희, 이호선 지음. [모든 몸은 평등하다: 장애여성들의 몸으로 말하기] (삶창, 2012)
근육통으로 누워 있는 동안, 미뤄둔 이 책을 읽었다. 다른 글을 준비하여 읽어야 하는 논문이 있음에도 그랬다. 장애여성의 몸 경험이 비장애여성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비장애-트랜스젠더퀴어의 몸 경험과는 또 어떻게 다른지 조금은 배울 수 있었다. 읽는 내내 내가 상상하고 사유하는 몸은 어떤 몸인지를 되새겼다. 당연히 부끄러웠다. 물론 이 책을 통해 배운 건 극히 일부다. 그것도 문자로 기록된, 그러니까 많은 검열을 거쳐 나온 언어를 다시 내 상상력의 한계 내에서 배웠다. 그러니 배웠다는 말이 부끄럽기도 하다.
이곳에 인용하려면 대담보다는 다섯 명의 작가가 쓴 각자의 글에서 인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하지만 각자의 글은 어떤 문맥과 흐름이 있어서 일부러 뽑지 않았다. 대신 대담에서 몇 구절 뽑았다. 아마 비규범적 존재로 인식되는 사람이라면 많이 공감할 듯하다. 하지만 그런 공감이 장애여성의 경험을 나의 경험으로 등치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목발 에피소드가 정확하게 지적하듯. 타인의 경험을 내 경험과 유비하거나 내 경험에 수렴하며 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배웠다.

[바이섹슈얼 웹진 바이모임] 제 4호 발행을 위해 기고를 모집합니다

웹진 바이모임에서 투고를 받는다고 합니다. 많은 분이 투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독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바이섹슈얼 웹진 <바이모임>이 2016년에 제4호를 맞게 되었습니다. 웹진에 실릴 자유 기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의 주제는 “가족 ” 입니다. 예를 들면,
– 이럴 수가, 나의 자녀/부모/형제자매가 바이섹슈얼이라니 (?)
– 바이섹슈얼인 나, 그리고 나의 자녀/부모/형제자매 이야기
– 바이섹슈얼, 결혼 아닌 동거
– 바이섹슈얼이 꿈꾸는 가족: 바이섹슈얼과 가족구성권?
– 동성결혼과 바이섹슈얼
– 이성결혼과 바이섹슈얼
– 바이섹슈얼과 폴리아모리 생활 공동체
– 폴리아모리와 가족
– 바이섹슈얼로 살아가는 나에게 가족은 필요한가?
– 비혼과 바이섹슈얼
– 1인 가구 바이섹슈얼의 일상
– 사람 아닌 존재와 가족 만들기
– 가족에게 커밍아웃하기
– 나, 탈가정 청소년 바이섹슈얼
등의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 나열한 주제는 단순 예시로, 반드시 이러한 주제로 기고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웹진 <바이모임>에는 누구나 기고할 수 있으며, 바이섹슈얼과 약간 관련있는 글(픽션, 논픽션, 학술연구 등 모두 포함), 그림, 사진, 음악, 기타 다양한 기고를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환영합니다. 단, 기고하실 때는 아래 사항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글(텍스트 파일)의 파일 확장자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docx), 오픈오피스(odf), 텍스트 파일(txt) 중 하나로, 이미지 파일 확장자명은 jpg, jpge, bmp, png중 하나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사운드나 영상으로 기고하고자 하는 분의 경우, 유튜브 게시를 통하여 공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미지, 사운드, 영상의 기고자가 다른 플랫폼으로 공유를 원하는 경우 편집진과 상의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저작물을 인용하실 경우 출처를 명확히 밝혀 주세요.
기고자 본인이 아닌 타인의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공개하거나, 사회적 소수자를 향한 혐오나 차별을 조장한다고 판단되는 작품, 이윤을 목적으로 한 광고, 그리고 타인이나 타 단체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작품의 경우 편집진이 검토한 후 게재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다른 지면(언론기사, 타 웹진, 개인이나 단체의 블로그, 학술지, 단행본 서적 등)에 발행된 적이 없는 기고물을 보내주세요. 타 매체에 실렸던 글이나 이미지 등을 수정한 후 기고하는 것은 무방하나, 그 경우 원래 글이 실린 매체와 미리 합의하시길 권합니다.
한줄 분량의 자기소개와 이름(필명이나 닉네임 등 무방)을 같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앞서 발행된 웹진에 실린 글들의 맨 끝에 자기소개가 있으니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기고자가 원하는 경우 한 줄 자기소개 아래에 더 자세한 약력 등 긴 자기소개를 덧붙여 주셔도 좋습니다.
★웹진 <바이모임>은 온라인으로 자유 배포되는 비영리 잡지입니다. 구독은 무료이며, 자유기고자에게 고료를 지불하지 못합니다.
★웹진 <바이모임> 을 통해 공개되는 모든 창작물은 수정하지 않고, 비상업적 목적에 한해서 저자와 출처를 명기하고 이용/인용이 가능하며, 추후 별도의 합의를 거쳐 단행본 형태로 발간될 수도 있습니다.
★웹진 <바이모임>은 한국어로 발행합니다.
★기고는 bi.moim.kr@gmail.com 으로 발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기타 문의는 이메일 bi.moim.kr@gmail.com , 이 포스트 글의 댓글, 또는 트위터 @bi_moim 으로 부탁드립니다.
★제 4호 기고 마감일은 2016년 9월 14일까지입니다.
<바이섹슈얼 웹진 바이모임>은 바이섹슈얼의, 또는 바이섹슈얼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또 명명과 정체성이 제약으로 작동하지 않는 이야기 공간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이 역설의 공간이 조금 더 지탱될 수 있도록 부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