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근육통(?)

어제부터 이불 속에서 거의 꼼짝을 못 하고 있다. 어제 아침부터 갑자기 허리에 극심한 통증이 왔고 그때부터 일어서는 일 자체가 거의 불가능했다. 한 번 제대로 일어서려고 시도했다가 온 몸이 통증이 퍼지면서 토하기까지 해서 가능하면 누워지내고 있다. 앉아 있는 것도 가능하긴 한데 한두 시간 앉아 있으면 허리가 더 무리인 듯하며 그냥 가급적 누워있으려 한다. 원래 이번 연휴 계획은 글 읽기와 쓰기였는데 쓰기는 물건너간 듯하다. 에휴…

허리 통증이 심하면 병원에 가는 게 우선일 수도 있다. 일단 병원에 갈 수 있는 거동이 불가능해서 병원에도 못 가고 있다. 그런데 병원에 갈 의지 자체가 부족한 편이기도 하다. 2년 전에도 비슷한 일을 겪었고 그땐 병원에 갔었다. 그런데 처방약을 먹다가 며칠 뒤 피를 포함해서 계속해서 토한 적이 있다. 처음엔 이유를 몰라 위내시경검사를 따로 하고 약 처방을 따로 받았다. 나중에 살임 의원에 가서야, 근육통에 대한 처방약이 피를 토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이런 일이 있고나니 근육통으로 다시 병원에 가고 싶지가 않달까… 그렇다고 자연치유될 때까지 마냥 누워있을 수도 없어서 걱정이다. 화장실 가겠다고 몇 분에 걸쳐 간신히 일어난 다음 기어가는 게 나라고 좋은 건 아니니까.
암튼 E느님 덕분에 어떻게 생활은 잘 유지하고 있지만(고마워요 ㅠㅠ) …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다.
+
근데 2년 전에도 그랬듯 근육통이 맞겠지..? ;;;

LGBTAIQ 혹은 LGBT/퀴어 같은 방식으로 연대는 가능할까?

하나의 지향이나 가치가 아니라 현재 상황에 비추어 고민하면 LGBTAIQ와 같은 식의 범주 구분, LGBT/퀴어와 같은 방식의 범주 구분이 작동하는 현재 상황에서 이들 간의 통합적 연대가 이루어지는 논의는 거의 불가능하지 않나, 이런 고민을 한다. 물론 이 고민은 [삐라] 2호에 쓴 글에서도 표현한 내용이지만 연대를 하기 위해선 근본적 변화, 유토피아를 향한 열망이 필요하다.

물론 연대는 하나의 통일 이론을 지향하는 운동이 아니다. 연대는 가치 지향이며 그래서 서로 다른 논의, 서로 다른 입장과 위치에 있더라도 어떤 가치를 위해 연대는 가능하다. 하지만 연대는 그 과정에서 ‘나’와 연대하는 집단을 배제하거나 삭제하는 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나의 위치를 근본적으로 다시 점검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나의 입장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진행하는 연대는 억압이거나 점거일 뿐이다.
익숙한 예를 들어 보자. 이성애에 대항하여 동성애가 가능하다는 논리는 단 하나의 젠더를 일평생 변화없이 사랑한다는 인식 구조를 전제하는 측면이 있다. 이것은 바이섹슈얼/양성애를 배제하는 논리의 밑절미다. 단 하나의 젠더만을 일평생 변화없이 사랑해야 한다는 규범은 바이섹슈얼을 미성숙, 불완전 등으로 이해하고 존재 자체를 삭제하거나 부정하는 발언을 뻔뻔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 중 하나다. 또한 질문하기를, 저 두 사람의 연애 관계가 이성애나 동성애라고 가정하는 태도는 어떤 인식론을 가정하는가? 그런데 이런 인식론은 트랜스젠더퀴어를 사유하지 않는 인식이기도 하다. 트랜스젠더퀴어, 특히 젠더퀴어는 질문한다. 젠더는 정말 확정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가? 당신은 나와 같은/다른 젠더인가? 남성 혹은 여성으로인식하는 방식은 어떤 사회적 상상력에서 가능한 것인가? 트랜스젠더퀴어의 이런 젠더 인식론을 인식의 주요 토대로 받아들인다면 이성애나 동성애와 같은 범주는 성립하기 어렵다. 불가능하진 않지만 언제나 불안정하다. 트랜스젠더퀴어는 비트랜스여성이나 비트랜스남성 범주, 이성애나 동성애와 같은 범주를 불안정하고 취약한 것으로 만들었기에 트랜스젠더퀴어 혐오나 배제는 바이섹슈얼 혐오나 배제만큼이나 오래 되었다. 인터섹스를 사유의 한 축으로 고민하기 시작하면 논의는 다시 복잡하다. 당신은 정말 시스남성 혹은 시스여성으로 태어났는가? 남성 혹은 여성이란 범주는 어떤 몸 경험, 어떻게 태어나는 몸을 중심으로 구축된 상상력인가? 이 사회에서 인간을 인식하는 방식은 누가 생산한 ‘과학’을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른바 ‘과학적 사실’이란 것이 어떻게 기획된 것인가를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성적 지향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의 많은 부분을 불안정하게 한다. 무성애는 질문한다. 인간의 관계는 왜 성적 욕망, 육체적 관계 중심으로 사유되는가? 이것을 상대화했을 때, 사랑과 성적 욕망을 등치했던 기존 논의는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폴리아모리는 질문한다. 배타적 연애 관계는 이 사회의 무엇을 보호하는가? 왜 연애는 둘 만의 관계로 가정하는가? BDSM은 질문한다. 관계를 맺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논의와 합의가 필요한가? 그런데 LGBT/퀴어면서 장애인은 질문한다. 합의란 어떤 의미인가? 몸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더 많은 복잡한 사유와 질문이 등장한다.

그리하여 LGBTAIQ로 연대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서로가 서로의 기본 토대로 여기는 것, 혹은 당연하다고 여긴 것을 근본적으로 다시 사유하고 때론 나 자신을 부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작업이 충분히 진행되었을 때 LGBTAIQ니 LGBT/퀴어니 하는 방식의 긴 호명이나 연대가 가능하다. 나는 그렇게 믿는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결국 LGBTAIQ니 LGBT/퀴어니 하는 행사나 농성에 연대라는 모이면서도 그것이 동성애 중심으로 구축될 것이며 다른 범주는 누락되거나 삭제될 것이다. 때로 부정되거나 비난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것은 가정이 아니라 실제 일어난 일이고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수면제

수면제라도 처방을 받아야 할까 고민이다.

봄이 오고 비염이 발동이 걸리면서 잠을 제대로 못 자고 있다. 자는 와중에 비염이 터지기도 하고 혹은 코가 너무 막혀서 잠을 잘 수 없기도 하다. 새벽에 한 번은 깨어나고 두세 번 깨는 것도 여사다. 하지만 두세 번 깨는 건 그나마 다행이다. 처음 깨어났다가 다시 잠들 수 있었다는 뜻이니까. 한 번 깨어 다시 잠드는 경우도 있지만 3시 즈음 깨어났다가 비염이 지속되어 혹은 잘 수 없게 코가 답답하여 아침까지 뜬눈으로 뒤척일 때도 많다. 그러다보니 낮에 정신을 차릴 수가 없다.
잠을 못 자는 건 아니다. 주행성이기도 하고 출근을 하기도 하니 낮엔 어쨌거나 깨어있다. 그래서 밤에 잠들기는 쉽다. 문제는 중간에 깬다는 점과 그렇게 깨어났을 때 다시 잠들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는 점이다. 그래서 수면제를 먹어야 할까란 고민을 진지하게 하고 있다. 어쨌거나 잠을 자야겠으니 어쩌겠는가. 그러고 보면 전엔 잠을 얉게라도 들었는데 이제 잘 수가 없다.
물론 수면제가 최선도 차선도 아님은 안다. 하지만 잠을 자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