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Susan Stryker “My Words To Victor Frankenstein …”

Susan Stryker “My Words To Victor Frankenstein Above The Village Of Chamounix: Performing Transgender Rage” GLQ, vol.1 (1994)

메리 셸리를 읽고 나서, 스트라이커의 논문 제목을 읽으려 했을 때, 이전엔 무슨 의미인지 몰랐던 제목의 의미를 금방 짐작할 수 있었다. 샤뮤니(Chamounix)는 괴물과 빅터가 만나, 빅터를 떠난 괴물이 그 후 어떻게 지냈는지, 그리고 빅터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얘기하는 곳이다. 그러니 제목 “샤무니 마을에서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 하는 나의 말들”은, 괴물이 빅터에게 하는 말이자, 스트라이커가 하는 말이기도 하다. 스트라이커는 괴물과 거의 동일시하고 있으며, 이 논문은 바로 이런 감정에서 출발한다.

이 논문이, 처음으로 읽은 스트라이커의 논문은 아니다. 그간 몇 편의 논문들을 읽었지만, 그 중 몇 편은 읽기 쉬운 편은 아니었다. 짧은 몇 편의 글은 읽기 쉬웠지만, 어떤 글들은 수월한 영어는 아니라고 느꼈다. 하지만 이 논문 “My Words”는 정말이지 읽는 내내 감동 받을 수밖에 없는 그런 글이다. 여러 많은 문장들이 감동의 도가니지만, 단 한 마디면 충분할 것 같다. 비록 그 한 마디가 이 글을 요약하진 않지만.

할 수 있는 한 무례하게 나는 말한다: 나는 트랜스섹슈얼이다, 고로 나는 괴물이다.(240)

아무려나, 트랜스 관련 글을 읽고자 한다면,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함께 이 글을 꼭 읽으라고 말하고 싶다.

[프랑켄슈타인] 혹은 괴물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 오숙은 옮김, 서울: 미래사, 2002
Mary Shelley, Frankenstein, London: Penguin Books, 2003/1818/1831

[프랑켄슈타인]을 읽어야지 했던 건 꽤나 오래 전이라고 기억한다. 하지만 언제나 “나중에”란 말로 미루기 일쑤였다. 그러다 5월 어느 날, 수잔 스트라이커의 글을 읽어야겠다는 다짐을 했을 때, 그렇다면 [프랑켄슈타인]을 먼저 읽어야겠다고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한참의 시간이 흘렀다. 책을 사고 한 달이 흘러서야 읽을 시간이 생겼고, 오랜 만에 읽는 소설책이었다.

사실, 루인에게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주는 이미지는 기껏해야 공포영화에 등장하는 “괴물”이었다. 그러니 소설책으로 읽은 [프랑켄슈타인]은 낯선 내용이었다. 물론 다른 책을 통해, 프랑켄슈타인은 과학자이며, 괴물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소설을 읽으며, 내내 괴물에 감정이입했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 괴물의 고백과 감정은 트랜스젠더들이 겪는 경험들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일테면

나는 당신의 피조물이니 (…) 당신은 아무 죄도 없는 나를 기쁨에서 몰아내었소. (…) 그들은 날 멸시하고 미워하오. 인적 없는 산과 황량한 빙하가 내 피난처요.(152-153)

아무리 그들에게 나의 존재를 드러내고 싶어도, 우선 그들의 언어를 완전히 습득하기 전에는 안 된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었고, 언어 지식이 있다면 그들에게 내 흉측한 모습을 무시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소. 내가 보기에도 내 일그러진 모습과 너무나 대조적인 그들의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깨닫게 된 사실이오.(171)

내 생김새는 소름이 끼쳤고 체구는 거대했소.(191)

괴물이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 샤뮤니 언덕에서 얘기하는 내용들, 인용하지 않은 너무 많은 구절들로 읽는 내내 숨이 막혔다.

“내 생김새는 소름이 끼쳤고 체구는 거대했소”가 특히 와 닿은 건, 이 말이 마치 mtf들의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ftm과 달리 mtf들의 경우, 소위 “남성체형”이라는 몸의 형태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성별로 통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일테면 넓은 어깨, 근육이 있는 팔이나 다리, 각진 얼굴 등등. 호르몬으로 몸의 형태가 변할 때에도 이러한 체형 때문에 “트랜스젠더란 사실”을 들키기 쉽고 그래서 혐오범죄에 노출될 가능성도 상당하다. 트랜스젠더 중 ftm보다 mtf가 더 두드러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인지한다면, 그건 이런 체형이 한몫하는 셈이다. 물론 이는 그 사회에서 “남성”의 체형은 이러이러해야 하고, “여성”의 체형은 이러이러해야 한다란 인식에 기인하고.

메리 셸리야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괴물을 만드는 과정은,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들이 수술을 하는 과정과 닮아 있고, 괴물의 고백과 빅터의 반응은 트랜스젠더의 고백과 의사의 반응처럼 들린다. 그러니 아마, 두고두고 읽을 책이 될 것 같다.

[영화] 뜨거운 녀석들

[뜨거운 녀석들] 2007.07.04. 17:05, 아트레온 8관 11층 H-12

#스포일러가 있을 리 없음.;;;

01
다행히 비가 내리지 않았다. 종종 걸음으로 극장으로 향했고, 매표소에 가서 “뜨거운 녀석들 한 장 주세요.”라고 했는데, 직원은 전혀 다른 말을 했다. “성인이세요?” …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들었고 직원은 다시 물었다. “성인이세요?” 헉. 저, 저, 저기요… 제가 동안도 아니고요, 요즘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루인의 나이를 얼추 비슷하게 짐작하는 듯 하여 좋아하고 있는데, “성인이세요?”라요… -_-;;

방금 찾아봤는데, ’18세 이상 관람가’란다. 하긴, 표를 발급할 때 직원 표정도 좀 무안한 표정이더라. 요즘의 루인이 루인의 나이와 얼추 비슷하게 보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18세 이상이세요?”란 질문을 들으려면 최소한 중고등학교는 검정고시였다는 얘긴가? 아니,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시간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도 검정고시로 통과해야 가능하구나. 그랬다면 벌써 신문에 벌써 몇 번이나 났다는 얘기? 낄낄. (또, 이러고 논다. -_-;;;)

02
이 영화를 읽으며 두어 번 웃었는데, 그 중 두 번째엔 완전 뒤집어지는 줄 알았다.

첫 번째: 마을 자치회 사람들과 만나 인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신부? 목사? 아무튼 종교에 종사하는 이와 인사를 하는데 주인공은, 자신은 종교는 없다고 얘기한다. 이 말에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사람이 “그럼 회의주의자(skepticism)군”이라고 말한다. 이 말이 재밌었던 게 아니라, 그 다음에 주인공과 인사를 나누는 사람이 “외과의사”인데 이 사람을 지칭하며 “skeleton”이란 말을 사용해서. 특별할 것 없는 말장난인데, 루인에게 너무도 웃겼던 건, 두 단어가 생긴 게 비슷해서 한동안 헷갈렸고,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말이 아님에도(루인이 읽는 글에선 자주 등장하지만 -_-;;) 기억하고 있어서. 더구나, skepticism이란 말이 등장했을 때, 속으로 다음엔 skeleton이 나오겠군, 했는데 정말 나오더라는. ;;;

두 번째: 새로 만난 파트너에게 전 애인과 관련한 얘기를 하면서, 자신은 애인에게 불성실했고 일만 알았고 기르고 있는 일본백합에 신경을 많이 썼다고 말한다. 이에 새로 만난 동료가 주인공에게, 일본백합과 바람나서 헤어졌냐고 묻는다. 이 말에 주변 사람들에겐 너무 미안했지만, 발을 구르며 웃었다. -_-;; 이 말이 이종(異種, hetero-species) 간의 사랑으로 읽혔고, 어떤 연상 과정을 거쳐, “‘이성애’를 해서 헤어졌냐?”란 의미로 읽혀서. 크크크.

03
아무려나 이 영화는 꽤나 지루했고, 예고편이 영화의 전부였구나 싶고, 영화를 읽기 전에도 예측할 수 있듯, 결국 “파트너”란 말처럼 엔젤(주인공)과 대니(새 “파트너”)가 사귀는 형상이고. 뭔가 재밌을 법한 내용일 수 있었는데, 총격전 같은 건 싫어하는 루인의 입장에선 무지 지루하게 풀었더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