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의 시조에서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라는 구절로 유명한 정철의 이 시조는, 통념상 날 낳은 사람은 “아버지”가 아니라 “어머니”란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 구절을 트랜스젠더의 맥락으로 읽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트랜스젠더들 중엔, mtf(/트랜스여성)와 (ftm/)트랜스남성 커플이 있다. 이런 커플들 중엔 아이를 가지고 싶어 하는 이들이 있고, 이들이 수술을 하지 않았다면 트랜스남성이 임신을 한다.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의 입장에서, 아버지는 자신을 낳은 트랜스남성이고, 어머니는 자신을 낳지 않은 mtf이다. 그러니 정말로 “아버지가 날 낳으시고, 어머니가 날 기르시니”, 이런 맥락에서 정철의 구절은 꽤나 정확하다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철의 부모님은 ftm과 mtf 커플이었다는 의미? *힐끔* ( “) ;;

+
책으로 출간할 원고에 들어간 내용이라 앞뒤로 다른 내용들이 더 있긴 함;;;

하리수의 여성성, 책

항상 고민하고 있는 건, 하리수의 “여성성”이야. 왜냐면 연예인 중에서 하리수만큼, “여성성을 과잉 재현해서 여성들을 억압한다”는 비난을 받은 이도 없기 때문이지. 적어도 루인이 아는 한. 혹은 2001년 하리수가 등장한 이후.

하지만 따지고 보면 “여성성을 과잉” 재현하는 건 단지 하리수만은 아니잖아. “여성”연예인으로서 TV에서 살아남기 위해 “여성성”을 “과잉” 재현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지. 그럼에도 이효리의 “여성성”은 종종 “멋진 여성성”의 표본이 되곤 하지만, 하리수의 “여성성”을 이렇게 얘기하는 건 아직 못 들어 봤어. 이효리가 “여성성을 과잉” 재현하는 건 “멋진 여성성”이 될 수 있지만, 하리수는 비난의 대상이 될 뿐인 건 왜일까. 이런 의문에 가능한 대답 혹은 혐의는 “하리수는 여성이 아니라 트랜스젠더이기 때문이다”일까? 왜 이효리의 “여성성”은 트랜스젠더(mtf/트랜스여성) 커뮤니티건 아니건 상관없지만, 하리수의 “여성성”은 mtf/트랜스여성 커뮤니티 정도에서만 “모범”(혹은 “규범”)이 될까? 어쨌거나 트랜스젠더 영화라고 일컫는 [천하장사 마돈나]의 오동구마저 하리수가 아니라 마돈나를 이상으로 삼고 있는 건, 단지 감독의 취향 때문일까 아님 하리수가 소비되는 방식 때문일까. 하리수는 트랜스젠더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과정에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 많은 경우엔 그렇지 않은데, 이건 단지 하리수가 TV에서 보여주는 모습 때문일까?
#조금 딴 소리: 다시 확인을 안 했기에 이런 판단이 무리인 건 알지만, [천하장사 마돈나]는 트랜스젠더 영화라기보다는 게이 드랙퀸 영화란 혐의가 더 짙어. “마돈나”가 “게이코드”인 건 별도로 하고라도.

루인은 정말로 언젠가, 하리수와 관련한 글 혹은 책을 쓰게 될까? 예전에 하리수와 관련해선 몇 권의 책이 나와도 부족하다고 한 적이 있어. 그렇다고 루인이 하리수와 관련한 책을 쓰고 싶지는 않다고 했는데. 하지만 결국은 쓰게 되는 걸까? 수동태로 말할 정도로, 쓰고 싶지 않아도 쓸 수밖에 없는 걸까?

[영화] 트랜스포머: 근데 누가 침략한 거야?

[트랜스포머] 2007.06.29. 20:10, 아트레온 1관 지하 3층, E-8

01
영화 초반부를 읽다가, 이 영화가 코미디영화인줄 알았다. “지구를 구해야 한다”, 운운하며 영화는 시작하는데, 이런 얘기들이 너무 웃겨서, 푸핫, 큰소리로 웃을 뻔 했는데, 영화관에 사람들이 많다는 걸 깨닫고 간신히 참았지만, 꽤 오랫동안 웃었다. 근데 이런 코미디는 영화 말미에도 등장한다. 인터뷰 장면에서 “미국은 자유국가” 운운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코미디로 시작해서 코미디로 끝나는구나, 했다.

미국은 자유국가며, 정부는 국민들에게 비밀이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맥락은 무엇일까. 지금에 와서 이런 얘기들을 하며 “미국은 자유국가”라는 얘기를 하려는 건 어째서일까. 9.11이후 영화에서 건물이 부서지는 방식이 달라졌다고 하는데, 9.11과 계속되는 (침략)전쟁과 관련 있는 걸까.

02
영화의 시작은 중동 카르타 지역에 있는 미군기지가 “적”(“악”)으로 여겨지는 디셉티콘에게 공격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장면은 미국에 대한 공격이자 지구를 공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영화의 정치학은 이 장면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미국의 입장에선, 카르타에 주둔하며 다른 중동국가로부터 카르타를 “보호”하고 지구를 “방위”하는 거겠지만 카르타인들의 입장에선 미국이 카르타를 침략하고 점령한 거 아냐?

미국의 입장에선, 큐빅과 “트랜스포머1″을 연구하고 이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미국의 이득이겠지만, 이런 연구와 기술이 사실상 미국의 이득을 위해 다른 국가를 침략하거나 경제적으로 착취하는 토대이기도 하단 점에서, 과연 오토봇이 디셉티콘에 대항해서 싸우는 것이 “선”이며 “지구방위”인 걸까? 어떤 의미에선 미국의 이득을 위해 싸우고 있을 뿐이다. 영화에선 카르타 사람들도 디셉티콘의 공격에 죽거나 다치지만 이 영화는 이들의 죽음엔 관심이 없으며 디셉티콘을 목격한 군인들의 정보와 미군의 생존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어떤 의미에서, 디셉티콘이 미국의 군수산업*만* 파괴한다면, 이것이 마냥 나쁘기만 한 걸까?

미국을 지키는 건 곧 지구를 지키는 것이며, 그리하여 미국을 지키는 것이 곧 세계의 평화이자 정의라는 과대망상을 이 영화는 그대로 반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디셉티콘과 오토봇의 싸움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는데, (은유로, 문자 그대로)영화의 엑스트라로 등장하는 이들의 입장에선, 디셉티콘이나 오토봇이나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웃기게도 오토봇은 큐빅을 가지고 곧장 우주로 가서 싸울 수도 있었다. 디셉티콘들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라면 영화에서 등장하는 그 넓은 벌판에서 싸울 수도 있었고. 하지만 오토봇과 미군들은 도심 한 가운데로 간다. 영화는 볼거리를 만들려고 도심을 싸우는 장소로 선택했겠지만(허허벌판이 아니라 도심에서 싸워야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뽐낼 수 있을 테니까), 루인의 입장에서 굳이 도심으로 가서 싸우는 건, 오토봇들이 그토록 강조하는 내용, “인간을 다치게 해선 안 된다”를 과시하려는 쇼로 여겨질 뿐이다. 만약 정말로 “인간이 다치게 해선 안 된다”가 그들의 주장이라면 도심으로 갈 이유도 없고, 도심 밖으로 유인해서 싸울 수도 있었다. 이들의 싸움으로 다치거나 죽은 이들의 입장에선, 오토봇/미군이나 디셉티콘이나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03
영화 초중반에 디셉티콘과 싸우고 있는 미군이 핸드폰으로 미 국방부와 통화하려고 교환수에게 연결시켜 달라고 하는데, 이때 교환수는 신용카드로 결제해야 한다고 대답한다. 미군은 지금은 전투상황이라 그럴 경황이 없다고 얘기하지만 교환수의 반응은 심드렁하다. 심지어 국제통화와 관련한 상품소개도 한다. 감독의 의도가 무엇이건 간에 이 장면이 가장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