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가 [Korea Skeptic]란 잡지 5호를 건네주며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줬다. 잡지에 실린 캐롤 타브리스의 칼럼이 무척 재밌다고.
보통 자신의 분노를 억누르기보다 표출하고 발현함으로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이것이 정신 건강에 더 좋다는 논의가 있다. 그래서 많은 심리 치료사가 욕설, 큰소리, 인형을 향해 방망이질 등을 권한다. 그러고 보면 일전에 본 어느 영상에서도 분노를 표출하라며 있는 힘껏 방석을 방망이로 내리치도록 처방하는 장면을 봤다. 이를 통해 감정을 표출하고 분노를 억누르기보다 표출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이 사람에게 더 좋다는 주장이다. 타브리스에 따르면 이것은 프로이트의 논의에서 출발하지만 프로이트 논의의 일부를 놓치고 있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분노 등을 배출할 때 예술의 창조와 같은 건설적 활동으로 승화할 것을 권했다. 방망이질이나 욕설, 큰소리가 아니라.
그러나 현실에서 많은 사람이 분노를 욕설로 표출한다. 그것은 특히 인터넷 시대에 악플이나 키보드 워리어의 형태로 자주 나타난다. 프로이트의 논의 일부를 놓친 카타르시스 이론에 따르면 이것은 어쨌거나 분노를 표출하는 사람에겐 좋은 일이다. 그 욕설을 듣는 입장에선 스트레스겠지만. 그리고 타브리스는 어떤 악플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고민하다 선물과도 같은 논문을 찾았다. 그 제목은 “트위터에 나타난 심리적 언어와 지역별 심장병 치사율의 상관관계”다.
논문의 연구 방법은 생략하고 결과만 말하면 “부정적인 사회관계, 이탈, 특히 분노, 증오, 공격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언어 패턴은 심장질환의 가장 강력한 위험 요인으로 트러났다”고 한다. “일반적인 인구 통계학이나 사회경제적 요인, 흡연, 당뇨, 고혈압, 비만을 포함하는 건강 위험 요인을 통합한 전통적인 모델보다 언어가 죽상동맥경화성 심장질환 위험도를 더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타브리스가 전하는 이 논의의 교훈이 뭐냐고? “인터넷에서 멍청한 욕쟁이 악플러 때문에 분노하게 되거든 그냥 내버려둬라. 그 트롤들은 어느 날 심장병으로 쓰러지게 될 것이다. 우리들은 러셀 베이커가 남긴 교훈을 따라 아름답고 교양 있는 댓글을 추구하면 될 일이다.” 이렇다고 한다.
타브리스의 어떤 표현이나 어떤 순간순간은 비판하고 싶지만(“병으로 죽어버렷”, “쟤는 심장병으로 죽을 거야”와 같은 언설은 질병을 혐오하는 사회적 인식을 재생산한다), 그 결론엔 동의한다. 어그로꾼이나 악플러엔 그냥 무시하는 게 가장 좋다. 애당초 논의가 가능한 집단도 아니니까. 물론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내가 멘탈갑이라고 하는 것이겠지만. 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