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어제 밤, 전화 통화를 한 이가 루인에게, 자기가 죽어도 모르겠다며, 루인의 연락 없음을 타박했다. 전화상으론 미안하다고 했지만 속으로 중얼거린 말 두 가지: 루인만 연락 안 한 것이 아니라 서로가 연락을 안 한 거잖아(항상 억울해ㅠ_ㅠ); 근데 4월 초에 만난 적 있지 않나? (루인의 입장에선 두어 달 연락 안 하고 지내는 것도 그렇게 드문 일도 아니라;;)

아무려나, 그 사람과의 통화를 끊고 나서, 문득, 어느 날 루인이 갑자기 죽는다면… 이란 가정에 빠져 들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핸드폰도 분실하거나 부서진다면…. 이런 갑작스런 상황에서 안타까운 건, 다름 아니라 블로그임을 깨달았다(오프라인만으로 만나는 사람은 드물고, 적지 않게 온라인으로도 만나고 있으니까).

만약 부산에 내려가 있는 와중에 사고가 나고 그 과정에서 핸드폰도 부서진다면 어떻게 될까? 부모님을 비롯한 혈연가족들의 경우, 루인의 친구들을 전혀 모르기 때문에 루인이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이들에게 소식이 닿지 않겠구나, 하는 상념들. 그렇다면 루인이 활동하고 있는 지렁이나 위그 사람들은, 부모님들 혹은 혈연가족과 친족들에게 부재하겠구나, 하는 상념들. 그렇다면 루인은 소리 소문 없지 조용히 사라지는 걸까?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Run To 루인]은 어떻게 될까? 어느 날, 결제일이 지나고 보름 정도가 더 지나면 이곳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란 표시와 함께 사라질까? 열심히 글을 쓰던 어느 블로거가 어느 날 갑자기 잠수모드를 취하더니 그렇게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곳처럼(루인의 첫 번째 블로그도 그러했고) 그렇게 사라질까? 그렇게 [Run To 루인]을 통해 만난 사람들과 끝나는 걸까? 포탈사이트나 블로그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블로그가 아니라 루인이 계정을 사서 운영하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런 상념들이 떠올랐다. 정말 [Run To 루인]은 어떻게 될까?

그런데 만약 핸드폰이 남겨져 있다면, 또 어떻게 될까? 핸드폰에 저장한 번호로 행여 연락을 하다가 “루인”이란 이름을 알게 되겠지? 그러면서 루인이 어떤 활동을 하고 다녔는지 안다면, 어떤 기분이 드실까? 죽음과 “커밍아웃”을 동시에 경험하는 셈인가?

뭐, 이런 상상을 하지만, 결국 루인은 징 하게 오래 살 거란 걸 안다. 그래서 어쩌면, 이렇게 만난 사람들 모두의 죽음을 볼 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런 세월에도 다들 블로그를 하고 있을까?

혼자 하는 감정싸움

울음에 체하기라도 한 것 마냥, 종일 짜부라져 있다가, 결국, 이른 저녁, 터벅터벅 걸어서 玄牝으로 돌아왔다. 지겹지도 않은지, 혼자하는 감정 싸움을 매일 하면서도, 또 이렇게 혼자서 지친다.

29편의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그 중 17편의 시나리오는 기승전결까지 완성하고, 이렇게 완성한 시나리오들의 결론들이 서로 충돌하고, 서로가 서로의 결론이 더 좋다고 우기고, 서로가 서로의 취약함을 들추어 내고, 있지도 않은 일을 상상하고 과민반응하며, 혼자하는 감정싸움. 그러다 제풀에 지쳐, 울음에라도 체한 것 마냥, 푹삭 짜부라지면, 영화를 볼 힘도 없어, 마냥 시간을 흘린다.

커밍아웃과 아웃팅, 사이에서

ㅈㄱㅇ님의 블로그에서 아웃팅과 관련한 글(아웃팅은 범죄다, 란 식의 운동방식이 가지는 한계 혹은 문제점)을 쓰고 싶다는 글[링크를 걸어도 되나 잘 몰라, 일단 생략]을 읽으면서, 종종 차라리 아웃팅이 더 편한 경우도 있다고 중얼거렸다. 아웃팅을 범죄화하는 운동이 오히려 커밍아웃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과 함께. 종종, 아웃팅을 하면 안 된다는 정도로 알고 있는 집단에서 커밍아웃을 할 때의 그 “철렁”하는 혹은 “술렁”이는 반응. 아웃팅의 범죄화가 커밍아웃조차 하지 못하도록-말 그대로 조용히 지내도록 만드는 (역)효과를 가진 건 아닐는지. (아웃팅 자체가 범죄인 것도 아니거니와.)

그런데, 또 이런 의문들 속에서, 커밍아웃을 한다는 건 무엇을 혹은 어떤 맥락을 커밍아웃 한다는 걸까? 모든 사람들에게 커밍아웃의 의미가 다른 상황인데. 소위 말하는 “이성애자”가 아닌 루인은, 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는 곧 이성애자라고 간주하는 사회에서, 루인은 트랜스예요, 라고 커밍아웃하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트랜스젠더다 혹은 동성애자다와 같은 커밍아웃보다는 좀 덜 무겁다고 여겨지는, 채식주의자라고 밝히는 행위, “루인은 채식을 해요, 우유나 계란도 안 먹어요.”라고 말을 하면 사람들은 루인이 채식주의자라고 여기기 시작하지만, 이때의 반응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다음날 고깃집에 가자고 얘기하고, 어떤 사람은 빵을 권하고, 어떤 사람은 반복해서 무얼 안 먹는지 물어보고. 한동안 이런 식의 반응은 채식주의를 정치학이 아닌 취향으로 간주하는 행위이거나 루인이 채식주의자임을 무시하는 것으로 해석하곤 했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 루인이 채식주의자임을 알고 있고, 때로 루인보다 더 신경 써주는 사람들도 종종 이런 식으로 반응하는 걸 접하며, 채식주의자라고 얘기하는 것이 모두에게 동일한 의미와 무게로 다가가지 않는다는 걸 깨닫기 시작했다.

커밍아웃이라고 큰 차이가 있겠는가, 싶다. 루인의 친구 중 한 명은, 작년 초에 커밍아웃을 했음에도 1년 정도가 지난 최근에야 루인이 트랜스임의 의미를 고민하기 시작했음을 얼마 전에 깨달았다. 1년 정도의 시간. 하지만 루인은 루인에게 커밍아웃 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렸고, 지금도 커밍아웃 앞에서 취약하게 반응하곤 한다. 커밍아웃으로 인해, 어떤 부분들, 경험들을 말함으로서 상대방이 루인을 떠나면 어떡하나 하는 불안, 두려움. 하지만 커밍아웃 자체가 애초 상대방을 믿는 만큼이나 어떤 불안이나 두려움을 안고 시작하는 건 아닐는지.

사실, 누군가에게 “나는 ○○이다”라고 커밍아웃을 하면, 상대방이 곧장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고 얘기할 지를 깨닫길 기대하는 것 혹은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인지도 모른다. 커밍아웃이 인정투쟁이 아니라, 상대방과 커밍아웃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사표시라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커밍아웃을 하겠다고, 고민한 시간만큼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상대방에게도 필요할 테다(지금의 사회적인 맥락에서). 커밍아웃을 하는 사람조차도 자신과 소통하고 관계 맺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을 텐데. 커밍아웃의 의미가 다들 조금씩 다른데 자신이 원하는 기대 수준으로 상대방이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것, 그것이 어쩌면 커밍아웃과 아웃팅을 고정적인 것으로, 그래서 단 하나의 의미로 규정하려는 건지도 모를 일이다. 더구나 커밍아웃과 아웃팅의 경계가 그렇게 명확한 것도 아니잖아.

그런데 커밍아웃을 하며 자신이 감당해야 할 몫과 상대방이 감당해야 할 몫 사이에서, 무엇을 감당해야 할까?

그냥, 어쩔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으라지… 라고 중얼거려야지. 떠날 테면 떠나라지, 여기서 끝이라면 그런가 보다고 중얼거려야지. 관계가 어색해진다면 그러라지…. 커밍아웃 혹은 아웃팅 사이에서, 서로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관계를 맺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것의 의미를 모색할 수밖에 없으니까. 이런 중얼거림이 체념은 아니니까. 지금의 시간을 견디면서 모색하는 과정일 뿐.

그나저나, 커밍아웃 혹은 아웃팅과 관련한 글을 참 많이 쓰는구나, 싶다. 키워드로 커밍아웃만 눌러도, 적지 않은 글이 쏟아지는 걸 보면…. 아무려나, ㅈㄱㅇ님의 글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