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전하기

명절에만 내려가는 부산이고 그래서 부산에 가면 그저 집에만 머물 따름이지만 그래도 어떤 날은 목적 없는 외출을 하곤 하던 몇 해 전. 그렇게 찾은 곳 중엔 어릴 때, 대략 3살 즈음부터 6살 정도까지 살던 곳을 찾은 적이 있다. 기억 속에 그곳은 상당히 넓고 큰 동네였고 마을을 가로지르는 도로는 너무도 넓었다. 익숙한 반응일 수밖에 없지만, 20년 정도 지나 다시 찾은 그곳은 너무도 작고 좁았다. 마을을 가로지르는 도로는 몇 걸음이면 건널 수 있는 곳이었고, 그렇게 넓게만 느낀 골목길들도 좁아서 “성인 두 사람이 지나가면 어깨가 부딪힐 것만 같은” 골목이었다.

기억이란 건, 이런 식이다. 당시의 몸이 경험한 걸 현재의 몸과 동일한 것으로 유지하려 하고, 때론 현재의 몸이 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4살 정도의 몸이 느끼는 동네의 규모는 20살 정도의 몸이 느끼는 동네의 규모와 다를 수밖에 없지만, 그 동네는 언제나 크고 넓은 곳이라고 기억했다. (루인의 기억 속에 그 동네는 오정희의 소설 [새]에 나오는 곳과 비슷했다. 물론 오정희의 소설 속의 공간이 루인이 기억하는 공간과 같을 리 없지만, [새]를 읽으며 두 곳이 너무도 비슷하다고 중얼거리곤 했다. 하지만 [새]에 나오는 공간이 너무 매력적이라 기억 속의 공간을 [새]의 공간으로 바꾼 건지도 모른다.)

그러니 기억 속의 공간으로 그 동네를 유지하기 위해선, 그곳이 언제까지나 기억 속의 그곳이기 위해선, 그 동네는 그대로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엄청난 확장 공사를 해야 한다. 지금 루인의 몸 크기에 맞춰 골목길의 크기, 담벼락의 높이, 마을을 가로지르는 도로의 너비까지, 모든 것을 새로 만들어야만, 20대의 루인이 기억하는 그 동네가 어릴 때의 그곳과 같은 곳일 수 있다.

종종 어떤 노래 가사에 나오는 “변하지 않고 여기서 기다릴게”라는 구절들. 처음엔 이런 구절들이 변하지 않음, 자신을 당신의 기억에 맞춰 고착시키는 행위라고 느꼈다. 그래서 한 편으론 좋아 하면서 다른 한 편으론 별로 안 좋아했다. 당신이 낯설지 않도록 그 모습 그대로 기다린다는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며, 헤어졌을 때 혹은 내가 당신에게 보여주고 싶은 혹은 당신이 내게서 보고 싶어 한 모습으로 박제해서 살겠다는 의미로 간주했다. 하지만, 당신의 기억이 변하는데, 내가 살아가는 세월이 흐르는데 어떻게 그대로 지낼 수 있겠어.

그렇다면 언제까지나 당신이 익숙한 모습으로 기다릴게, 라는 말은 나를 박제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렇다기보다 당신의 기억이 변하는 속도에 맞춰 나도 열심히 변하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당신이 나를 똑똑한 사람으로 기억한다면, 지금 상태로 있어선 안 될 일이다. 10년 뒤에 만나도 여전히 똑똑한 사람이란 이미지로 남기 위해선, 그 시간 동안 상당히 변해야 한다.

결국, 어떻게든 변하지만, 그런 변화의 동력이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변하는지가 관건인 셈이다. 그리고 상대방의 기억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도 있어야 하고. 상대방은 나의 이런 모습을 기억할 거야, 라는 (과거)예측과 상대방이 내게 바라는/기억하는 모습 사이엔 간극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니 “조금도 안 변했다”라는 말과 “상당히 변했네”라는 말은 같은 말이다. 어떤 식으로 변했는지 혹은 어떤 식으로 기억하고 있는지가 다를 뿐.

“내가 여기 있음을 기억해줘.” 하지만 이 말은, 그저 기억이라도 해 달라는 간절한 염원이기도 하다. 기억이 변(색)하는 세월 속에서, 어떤 형태가 되었건 기억이라도 해달라는 간절함. 그 소박한 것 같으면서도 무거운 바람. 그러면서도 어떤 형태로 기억해달라는 요구. 이런 여러 몸들이 이 한 문장에 담겨 있고, 그래서 유난히 아프고도 절실하게 다가왔는지 모른다. 그런데 들키지 않고 어떻게 전할 수 있을까?

급당황, 그리고 기쁘고 아쉽고

관련 글
딸을 찾아서” by 벨로님
이상한 바톤? ;;;” by 키드님

영화와 관련 글은 훑어 읽거나 나중에 영화를 읽고 나서야 글을 다시 찾아 읽는 경향이 있는 루인은 벨로님 블로그에서 루인과 관련한 글이 있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다. more/less 기능으로 가려져 있기도 했고(라는 궁색한 변명을;;;). ;;; 그저, 문답과 관련한 글에서 연애문답을 벨로님에게 바통을 전하고 싶었지만 수줍어서 못 했다는 댓글을 남길까 갈등을 했을 따름. (이런 식으로 바통을 넘긴다? 흐흐)

그러다 키드님 블로그에서 갑자기 “루인!!!! 루인 아니예요????”라는 부분이 먼저 들어와, 상당히 당황하기 시작했다. 그렇다, 키드님의 글을 읽으려고 했을 때, 저 부분이 먼저 들어와서 글을 제대로 읽을 수가 없었다. 갑작스런 당황에 어찌할 줄을 몰라하며 글을 읽긴 읽는데, 그게 읽는 게 아니었다. 한 문장도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달까. 키드님 글을 읽고 벨로님 글을 다시 읽었지만 한 문장도 이해가 안 되었다. 잠시 진정을 하고 다시 읽으면서, 그제서야 상황 파악이 되기 시작했지만, 도대체 언제일까, 떠오르지가 않았다.

첨엔 어제 저녁의 상황이 떠올랐다. 어제 한 분이 루인의 이름을 부르며 알아봐 주셨던 적이 있었고, 그 상황인가 했다. 그러니까, 여전히 상황 파악을 못 하고 있었는데, 어제 뵌 분은 전혀 다른 분이고, 벨로님이 말하는 상황은 며칠 전인 6일에 있은 상황인데도 어제 상황과 헷갈렸다. 그럼 도대체 언제를 말하는 걸까를 한참 고민을 하다가, 시간을 추측하고 지난 글을 훑다가 깨달았다. 아하!

[물어볼까 말까/레즈비언 혐오 사건/그라운드 워크]를 읽고 나와 편의점에 들려, 저녁으로 베지밀이라도 살까 하고 아트레온의 프리존을 지나는 길에 ㅌㄹ씨와 ㄱㅈㅇ씨를 만나 얘기를 나누는 중이었다. 그렇게 얘기를 나누고 있는데, 언니네트워크에서 활동하는 ㄴㅂㅇ가 루인의 이름을 불렀고, 누군가 하고 보다가 깨닫고는 인사를 나눴었다. 워낙 오랜 만이라 반가움에 가는 길이었는데. 아항, 그때 그 자리의 어딘가에 벨로님이 계셨던 것이다!

그런데 ㄴㅂㅇ가 “벌떡 일어나 소리를 지르는” 모습까지 본 상황이라면, 바로 옆에 계셨다는 의미? (아쉬워요!) 그렇게 ㄴㅂㅇ와 인사를 나누고 나서 ㅌㄹ씨와 ㄱㅈㅇ씨가 저녁 먹으러 가는 길에 따라 갔었는데, 바로 그 자리 그 현장에 벨로님과 키드님이 있었음에도 인사를 못했다는 안타까운 사실이! 심지어 ㅌㄹ씨와 ㄱㅈㅇ씨를 만나기 직전, 베지밀을 사러 가려는 그 길엔 키드님을 지나치기도 했다는! ㅜ_ㅜ

그나저나 그날 상태가 “쑥대머리 귀신형요”의 “봉두난발” 상태였을 텐데… 흠…. ㅠ_ㅠ (하지만 그렇지 않은 날이 있기는 한지 의문이라는;;;)

키드님은 루인을 이미 지난 정희진선생님 강연 때 알아보셨다고 한다. 루인이 작년에도 올해도 같은 자리에 앉아 있기도 했고, 예전에 올린 운동화 사진을 기억하시곤 확신하셨다고. 그럼, 정희진선생님과 얘기를 나누는 모습도 보신 건가요? (자랑자랑 ;;;) 사실 그날 혹시나 키드님이 오셨을까 하고, 정희진선생님에게 강의 잘 들었다는 인사를 하려고(책 사인은 예전에 받았었고, 이번엔 강의 하느라 힘드셨을 것 같아서 베지밀을 드리려고 기다렸지요.. 흐흐 ;;;) 줄을 서며 강의실을 한 번 둘러 봤을 때, 몇 분이 남아 있었는데 혹시 그 분 중에 한 분이 키드님이었나요? 물론 그저 둘러보는 정도였지만…

혹시나 다음에 마주치면 꼭 인사해요! 🙂

너무 흥분되고 즐거운 상황이에요!

#
그렇담, 그날 어쩌면 아옹님과도 마주쳤을지 모르겠네요. 🙂

[Wffis][영화] 대만 소녀 판이췬/8월 이야기

[대만 소녀 판이췬/8월 이야기] 2007.04.08. 21:00, 아트레온 1관 E-14

[대만 소녀 판이췬]
: 이 영화 때문에 안 볼까를 망설였는데, 그럭저럭 괜찮았다. 의외로 엄청나게 공감하는 지점도 있었고.

다큐멘터리 속에서, 가족들이 주인공에게 공부 열심히 하고 살도 빼라고 하면서 상당한 “관심”을 표하는데, 바로 이 지점이 남 얘기 같지가 않았다. 즉, 듣는 사람 입장에선 불필요한 간섭이고 신경을 긁는 일인데, 말하는 입장에선 “애정”의 표현이자 “관심”을 표현한 것이란 점. 다큐를 읽다가 대뜸 이렇게 외치고 싶었다: 그딴 관심 필요 없거든!

[8월 이야기]
: 추가 예매를 하며, 이 영화가 읽고 싶어서였다고 적었다. 그리고 마지막 즈음을 읽을 때, 울컥하며 울 뻔했다. 좋아하는 사람과 있었던 일을 열거하며 내년에도 나를 기억할 거냐고, 얼음찜질을 해준 걸 기억할 거냐고, 부채 부쳐 준 걸 기억할 거냐고, 등등을 얘기하는데, [스파이더 릴리]와 겹치면서, 몸 아팠다. 왜냐면 상대방은 이런 말에도 별로 신경을 안 썼기 때문에.

과거의 시간을 직조하는 이 영화는, 옷을 만드는 알바를 하며, 옷을 만드는 과정과 기억을 직조하는 과정을 겹쳐서 풀어가는데, 그 솜씨가 일품이다. 또한 이 영화에는 여백이 많은데, 그 여백을 역시나 여백이 많은 음악으로 채워가고 있다. 그래서 정말 슬프지만 담담하게, 한편으론 애틋함으로 예쁘게 풀어가는 기억이라고 말하고 싶다.

마지막 장면(결혼식 장면)만 없었다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지만, 이 영화 좋다.

참, 이 영화 은근한 퀴어영화다. A가 B를 좋아하면 B는 C를 좋아하고 C는 A를 좋아하는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