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끄럽지만 그래서 반복해서 말해야만 하는 사례 하나. 학부 시절, 중간에 휴학을 한 덕분에 9학기를 다녔었다. 그래서 몇 학기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농담처럼 했던 말, 4학년 3학기에요. 그럼 다들 웃었고 재미있어 했다. 이런 얘기를 가장 친한 친구에게도 했다. 그리고 분위기는 변했다. 그 친구는 2년제 대학을 다니고 있었고 언제나 4년제 대학 혹은 학벌과 그 위계를 아쉬워했다. 자기도 4년제이고 싶어 했고 종종 농담처럼 자신은 대졸이 아니라 고졸이라고 말했다(농담처럼 얘기했지만 농담이 아니다).
그 친구가 말해주지 않았다면 몰랐을 사실 중 하나는 “대학교”란 말은 4년제에만 붙일 수 있고 2년제엔 “대학”이란 말만 붙일 수 있다는 것. 그래서 “○○대학”이냐 “○○대학교”냐, 로 곧 몇 년제인지 알 수 있다고. 학벌은 특별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깨닫지 못하는 곳에 산재하고 있다. 명절마다 부산에 내려가는데 가기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는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학벌-공부를 잘 한다는 어떤 권력/권위를 느끼기 때문이다. 루인은 그런 것이 없다고, 서울에 다닌다는 것이 곧 공부를 잘 한다거나, 뭔가 대단한 건 아니라고 속으로 중얼거리지만 부산에서 학교를 다니는 사촌이나 그 사촌의 부모들에겐 그렇지 않았다.
처음엔 그냥 그런 말이 짜증이었지만 이내 깨달았다. 그렇지 않다고 중얼거릴 수 있는 것이 바로 학벌이며 특권의 증거라는 것. 루인은 토익, 토플 공부를 한 번도 안 했지만 이 역시 학벌이라는 특권에 기반을 두고 있다. 루인은 루인이 다닌 학부가 대단하다고 느끼지 않지만, 과거의 어떤 풍문을 안쓰럽게 붙잡고 있다고 느끼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어떤 서열 같은 것이 있을 때, 그리고 서울에 소재하고 있을 때, 결국 토익/토플을 공부하지 않아도 루인의 영어 실력은 바로 그런 학벌에 의해 충분히 보증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토익/토플 공부를 안 한다고, 안 하겠다고, 말할 수 있는 것도 종종 그 사람의 특권 과시이다. 학벌이, 그 사람의 토익/토플 성적이 몇 점이든 상관없이 그 모든 걸 담보해주기 때문이다.
(얼마 전 신촌에 나갔다가 연고전을 알리는 파란 색 현수막을 봤다. 또 다시 학벌/특권 과시인가? 아니면 “정상성” 과시인가?)
#
예비역 혹은 이제 군대에 입대할 사람들이, 군대 경험이나 군 입대를 낭비로 얘기하는 것이 “그들”에겐 푸념일 수 있고 정말 “낭비”일 수 있지만 듣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선 그것은 자신의 권력 과시일 수도 있다고 느낀다(물론 “그”가 누구냐에 따라 이건 전혀 다른 얘기가 된다). 한국 사회에서 군대문제가 쉽게 건드리기 힘든 성역이기도 할 때, 대한민국 헌법이 “남성”만을 “국민”으로 간주할 때, 예비역의 군대 관련 발화들은 종종 특권 투정으로 들린다.
#
며칠 전, 누군가가 자신이 아들이었다면 과외도 받았을 테고 고등학생 시절부터 유학을 했을 테고, 등등의 얘기를 했었다. 비단 그 “누군가”의 그 이야기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여성”으로 사는 ‘어려움’을 들을 때마다(특히 여성학 수업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복잡한 위치에 빠진다. 그 말의 맥락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모르는 건 아니지만, 루인에게 그 말은 특권 투정으로 들리기도 한다. 그런 말들을 할 수 있는 젠더적인 특권들-즉 트랜스젠더가 아니기에 가질 수 있는 어떤 특권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가 가지는 어린 시절의 경험과 트랜스젠더가 아니기에 가지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 다르고, “남성”(혹은 “여성”)으로 간주되지만 자신은 “여성”(혹은 “남성”)이라고 말하는 트랜스젠더들에게 트랜스젠더가 아닌 이들과 공유할 수 없는 하지만 때론(꼭 그렇지는 않고,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공유하고 싶은 어떤 경험들이 부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그런 말들이 특권처럼 다가온다. 그런 얘기들에서 애시 당초 배제되는 상황에서 그 말의 맥락은 전혀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
언어가 모두에게 동일한 것은 아니다. 누군가에겐 고통이나 ‘어려움’이 그것 자체에서 배제된 이들에겐 특권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트랜스젠더가 아닌 여성으로서의 불편함을 말하는 목소리들은 종종 예비역 병장들의 군대 얘기처럼 들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