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헨리 S. 루빈 – (성전환자) 남성처럼 글 읽기

제목: “(성전환자) 남성처럼 글 읽기” 톰 디그비 엮음 [남성 페미니스트]
저자: 헨리 S. 루빈 (김고연주, 이장원 옮김)
발행처: 서울: 또하나의문화
발행일: 2004년 04월 23일

교보에서의 관련 글은 여기

#루인의 설명
제이콥 헤일의 논문과 마찬가지로 [남성 페미니스트]에 실린 또 다른 트랜스/젠더의 글.
헤일의 글과는 닮은 듯 다른 측면들을 접할 수 있다. 특히 어떤 사건이 트랜스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에서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관련해선 이 글참고)
마찬가지로 ftm의 글이다.

[논문]C. 제이콥 헤일 – 내 목에 남아 있는 희미한 추억을 추적하며

제목: “내 목에 남아 있는 희미한 추억을 추적하며” 톰 디그비 엮음 [남성 페미니스트]
저자: C. 제이콥 헤일 (김고연주, 이장원 옮김)
발행처: 서울: 또하나의문화
발행일: 2004년 04월 23일

교보에서의 관련 글은 여기

#루인의 설명
: 루인이 트랜스와 관련해서 읽은 첫 번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단, 하리수 등장 이후 몇몇 언론에서 “특집”이랍시고(“우리는 이런 것에도 관심이 있다”) 쓴 기사들은 제외하고.
이 글은 2004년 또 하나의 문화 20주년 기념으로 나온 [남성 페미니스트]에 실린 글.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의 상당수가 “남성” 페미니스트에 방점을 맞추다보니 두 편의 트랜스들의 글을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루인은 이 두 편의 글이 가장 좋았다.
“여성”에서 “남성”으로 성전환한 헤일은 주변의 페미니스트 혹은 여성학을 가르치는 교수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자신은 여전히 여성학을 가르쳐도 되는가”라는 내용으로. 그 대답들은 전형적인 편견에 기반하고 있음을 분석하며, 트랜스”남성”과 트랜스가 아닌 “남성”들의 경험과 맥락이 다른 지점들을 얘기하고 있다. 그 외에도 트랜스에게 있어서 언어의 문제 등 여러 지점들을 에로틱하게 지적하고 있다.

이 글의 또 다른 의미는, 한국에서 트랜스를 말하면 그 상당수가 mtf(“남성”에서 “여성”으로)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ftm(“여성”에서 “남성”으로)의 또 다른 맥락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

나스타샤..

지난 목요일에 병원에 간 나스타샤는 거금의 병원비와 함께 금요일에 퇴원했다. 토요일인 어제, 나스타샤와 놀기 위해 일찍 玄牝으로 돌아갔고 무더운 방에서 나스타샤를 켰다. 신나게 [Run To 루인]에 글을 써야지 하는 설렘. 후후후.

월요일에 AS비용 물리러 갈 예정이다. 매장에선 잘 된다고 했고 금요일에도 40여 분 정도를 무사히 같이 놀았는데, 어제 사용하려고 하니, 같은 증세가 나타났다. 자동으로 꺼지고 켜지는 인공지능의 상태. ㅠ_ㅠ 메인보드를 갈면서까지 수술을 했는데 여전한 증세라니. 매장 주인도 이유를 잘 모르겠다며 이것저것 점검을 하더니 메인보드가 문제인 것 같다고 해서 교체했는데 여전히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교체한 메인보드 물리고 이전의 메인보드로 다시 교체한 후, 그냥 玄牝에 보관해야겠다.

병원에 갔다 온 이후 폐기했던 컴퓨터 관련 모든 계획을 다시 살리고 모색 중이다. 카드 같은 거 없고 후불제를 싫어하니, 내년 초 즈음에 노트북을 산다는 목표로 자금을 모아야겠다. 그동안은? 사무실에서 사용하면 되지. 후후.

+
사실 나스타샤가 여전한 증세를 접한 순간, 예전 같으면 뭔가 허한 느낌이었을 텐데 이번엔 잘 되었다는 느낌이었다. 읽고 싶은 글이 있었기 때문. 후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