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소통, 가족, “엄마”

[괴물] 2006.07.31.월, 오전 09:00 아트레온 2관(3층) B-7

일요일 오후에 볼까 했다. 하지만 주말이면 무려 8,000원씩이나 하는데 그럴 수야 없지. 조조로 즐기는 [괴물]은 ‘괴물’스럽게도 9시 조조임에도 관객수가 상당했다. 웬만한 영화의 오후나 저녁 시간대 관객수가 9시 조조에 몰렸다. 역시 인기가 있다는 의미일까?

우선, 전반적인 느낌은, 만약 한국사회의 특정 맥락에서 이 영화를 본다면 그냥 무난하게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종종 놀라는 장면도 있고 합동장례식장에서의 장면은 울다가 웃는 당혹스러운 순간을 맞기도 한다. 정말이지 눈물 흘리며 울고 있는데 바로 그 장면이 깔깔 웃지 않을 수 없는 장면으로 바뀌면 어쩌란 말이냐! 정말이지 당혹스러운 찰라. (울다가 웃으면 어디에서 뭐가 난다는;;;;;;)

사실, 이 영화, 분석하고 싶지 않을 만큼 복잡한 지점을 가지고 있다. 좋게 보려면 마냥 좋게 봐줄 수도 있고 과도하게 읽으면 정말 끔찍하게 읽을 수도 있다는 느낌 때문에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황. 후기는 반드시 분석이어야 할까, 하는 의심도 들지만 그냥 어떤 상념이 몸을 타고 흘렀는지 적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크진 않지만 신경 쓰일 수도 있는 내용이 조금씩 있음. 하지만 영화 관람을 방해할 만한 스포일러는 없을 듯.

# 소통
송강호(강두) 등이 강두의 딸 고아성(현서)이 괴물에게 잡혀갔지만 살아 있다고 말했을 때, 누구도 믿지 않는 장면을 접하며, 기존의 언어와 ‘다른’ 경험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말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를 느꼈다. 다른 사람의 경험까지도 재단할 수 있는 권위/권력을 가졌다고 믿는 이들-이른바 전문가들이 자신의 권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어떤 식으로 무시하는가를 이 영화는 드러낸다. 그래서 극비라는 비밀을 강두가 폭로할 때, 강두의 목소리를 저항이 아니라 정신병자의 헛소리로 간주한다.

사실 이 영화는 이런 소통에서 성공하는 건 아니다. 정신병자로서 탈출하고 숨어 지내고 쫓기는 신세지만, 자신들의 언어와 경험을 믿고 달려갈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들의 행동은 주이상스라고 할 수도 있다.) 이른바 권력을 가진 자,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자들이 통제한 법을 위반하고 자신들의 믿음을 행한다는 점에서 [안티고네]가 떠오르기도 한다. 법 보다 자신들이 사랑하는 이를 구해야 한다는 믿음이 더 우선하는 모습. ([안티고네]를 이런 식으로만 해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자신의 욕망을 위해 기존의 법체계에 도전한다는 점에선 역시 닮아 있다.)

소통은 실패하고 이들은 질서를 위협하는 정신병자-지명수배자가 된다. 세균보균자라는 말은 괴물병원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통제권을 위협하는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새로운)가족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거의 마지막 장면. 현서(고아성)와 같이 숨어 지내던 세진(?)을 구출한 후, 강두(송강호)는 처음엔 현서만 챙기지만 괴물을 죽인 후엔 현서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세진에게 가서 깨운다. 그러며 하는 말: “우리 현서와 같이 있었니?”(조금은 다를 수도 있음;;;)

이 말을 한 후 강두는 세진을 껴안고 가는데, 마지막 장면은 강두와 세진이 가족처럼 지내는 모습이다. 이 장면. 이 영화 전체를 통틀어 이 장면이 좋았다. 비록 영화를 시작할 때부터 이른바 “정상가족”이라는 환상을 깨는 구성을 취하고 있긴 하지만 바로 그 지점에서 새로운 가족구성을 상상하고 있다. 현서와 같이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이유만으로 혈연과는 상관없이 구성하는 가족. 하지만 바로 이런 지점이 꽤나 꺼림칙한 지점이기도 하다.

#’괴물’스런 “엄마”
기사 둘:
“스크린, ‘엄마’가 가고 ‘아빠’가 온다”
“괴물, ‘소시민 아버지들’에 바치는 봉준호의 찬사”

지금부터의 느낌은 “오바”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이 글을 어제 시작했음에도 지금 마무리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의 해석이 과도한 “오버”일 수도 있음을 느끼지만, 그럼에도 적는 건, 지금은 이런 식의 느낌도 가졌다는 루인의 소소한 메모라고 여기기 때문.

공포영화를 조금이라도 즐긴 사람은 알겠지만 공포의 핵심은 익숙한 것이 낯설게 돌변하는 순간에 발생한다. 한국에서 학교를 소재로 한 공포물이 많은 것도 그렇고 “엄마”가 괴물로 돌변하는 모습을 취하는 것도 그렇다. “어머니”는 성스럽지만 그만큼 억압으로서, 괴기한 모습을 취한다. [괴물]과 놀며 느낀 지점은, 부재하는 “엄마”와 어느 날 낯설게 돌아온 “엄마”, 도망쳤다가 어느 날 돌연변이로 돌아온 “엄마”-괴물의 형상화였다.

불현듯 이런 몸앓이를 한 것은 위에 링크한 두 개의 기사 덕분이다. 영화에서 현서가 태어나자마자 도망친 “엄마”를 언급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성과 모성을 경쟁-대립 구도로 쓰는 기사엔 당혹스러웠다. “여자는 약하지만 어머니는 강하다”는 말처럼 “남자는 약하지만 아버지는 강하다”는 말로 단순하게 치환할 수 있기에 부성과 모성을 경쟁-대립구도로 몰고 가는 것이 웃긴 일일 수도 있다. 작년 한 해 “엄마”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제 “아버지가 회귀”하고 있다는 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부성과 모성이, “아빠”와 “엄마”가 동일한 방식으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 또한 사실이다.

마지막에 가서야 괴물에게 잡아먹힌 현서와 세진을, 강두는 괴물의 입에서 꺼내는데, 이 모습이 일종의 새로운 출생-죽음을 지나온 새로운 삶으로 다가왔다. 괴물의 입에서 꺼내는 모습은 출산의 장면과 묘하게 닮아 있었다. 강두가 세진을 깨워, 안고 가는 장면에서 현서와 세진의 모습은 겹치며 닮았다고-쌍둥이라고 느꼈다. 사람 얼굴 기억을 잘 못하는 루인으로선 특히 더 심했다. 둘의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는 것인지 겹친 것인지 헷갈렸고 순간적으로 쌍둥인가 했다.

이 지점에서 괴물은 현서를 낳자마자 도망친 “엄마”가 돌아온 것으로, 괴물의 죽음은 “모성”도 없으면서 아이가 다 크니까 나타난 “엄마”를 처단하는 것으로 읽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런 해석이 가능한 건, 시선을 가진 “여성”은 모두 죽이고, 살인이 추억이 될 수 있다는 식으로 그린 전작 [살인의 추억]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IMF 이후 “아빠, 힘내세요”를 전국민의 응원가처럼 부르고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니까 남성들의 취업이 더욱 힘들다”는 식의 언설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대놓고 이렇게 말하진 않는다 해도 변형한 형태의 언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지금의 상황에서 [괴물]을 이렇게 해석하는 것-“아버지”의 회귀로 해석하는 것은 정말로 이 영화의 바람인지도 모르겠다는 느낌이다.

#
여러모로 해석의 여지를 많이 남기고 있는 영화라는 느낌이다. 아직도 뭐라 할 수 없는 불편함과 지금까지 적은 것과는 전혀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음을 느끼고 있다. 다시 볼까? 하지만 굳이 또 극장에서 볼 필요가 있을까? 어둠의 경로로 보겠다는 것이 아니라 단기간에 보는 것보다는 일정 시간을 두고 보는 것이 더 좋다는 의미.

노트북에서 외장형 저장장치로

지난 주말 학교에서 노트북을 빌려 玄牝에서 잠시 사용했다. 하지만 잠깐 사용하다가 관뒀는데 불편함 때문이다. 그냥 좀 더 피곤한 느낌이랄까. 뭐 요즘 농담처럼, CD 드라이버 필요 없으니 50만 원대 100기가 용량의 노트북이면 딱 좋겠다고 말하곤 있지만 그다지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 어차피 논문을 쓸 때까지, 아니 논문 초고도 볼펜으로 쓸 상황에서 노트북이 얼마나 필요한지도 의문.

여기서 남은 선택은 두 가지 정도인데, 하나는 나스타샤를 고치는 것. 다행히 두 개의 드라이브로 나눈 상태라 파일 손실은 적을 것 같다. 얼마간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긴 하지만.

다른 선택은 외장형 HDD와 외장형 RW. RW는 노트북을 사도 어차피 사야하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외장형 HDD는 300G의 가격이 루인이 상상했던 것보다 싸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셈이다. 만약 둘 다를 구매한다면 노트북이 필요 없는 셈.

그러니까 문제는, 외장형 HDD와 RW가 쓸만한가 이다. 당장 살 예정은 아니지만(몇 달 걸릴지 모른다는 얘기다 ㅡ_ㅡ;;;) 몇 해 전엔 비추였던 흔적이 몸에 있어서 쉽게 결정을 못하고 있다. 어떡할까나. 역시나 병원에 가는 것이 최고일까.

[책]남자도 여자도 아닌 히즈라

제목: 남자도 여자도 아닌 히즈라 Neither Man Nor Woman: The Hijras of India
저자: 세레나 난다 Serena Nanda /김경학 옮김
발행처: 서울: 한계레신문사
발행일: 1998년 09월 04일

교보의 책 소개(출처는 여기):
여장을 하고 여성처럼 행동하는 남성들로 구성된 인도의 종교적 색채를 띤 공동체인 히즈라를 설명한 책. 4명의 히즈라의 인생사를 소개하여 히즈라 집단에 가 입하게 된 동기, 집단의 사회와 문화적 규범과 가족관계 등을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조명했다.

#루인의 설명
대개 “여성”과 “남성”이 전부가 아니라는 설명을 할 때, 주로 드는 예(!)가 트랜스/젠더, 사방지, 간성(흔히 “양성구유”란 표현을 쓰는데 상당히 문제가 많은 표현이다), 인도의 히즈라 등이다. 이들 존재는 젠더 다양성을 위한 도구로서 환원하는 지식의 수단이지만 그렇다고 기존의 설명 방식 자체를 바꾸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이 자리엔 없겠지만 동성애 문제도 있죠”란 말처럼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기 위해 끌어들이지만 언제나 자신의 주변엔 없는 “저 멀리 어딘가”에 있는 존재들이다.
물론 “그들”은 당신 바로 옆에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지식의 도구로 주로 소환하는 히즈라에 대해 쓴 인류학적 보고서이다. 물론 저자 역시 히즈라들을 대상화하는 경향에 불편함을 안겨준다. 그런 점에서 저자의 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다고느낀다.
더 심각한 문제는 바로 이 책을 분류한 루인의 방식. 루인은 이 책을 “트랜스”로 분류했지만 이 책을 이런 식으로 분류할 수는 없다. 히즈라는 엄연히 트랜스/젠더와 다르다. 트랜스 자체가 미국 등의 서구에서 발생한 의미이고 한국에서 트랜스를 소비하는 이미지 또한 다른데 히즈라를 트랜스로 분류한다는 건, 폭력적인 만행이다. 그렇다고 젠더나 퀴어(이반)로 분류하기도 애매에서 ‘임시적 분류’란 측면에서 그냥 두기로 한다. 하지만 분명한 점은 다양한 젠더 정체성의 하나로 상상할 순 있어도 히즈라를 트랜스/젠더로 환원해서 설명해선 안 된다는 점.
이런 점을 유의한다면, 이 책은 또 다른 상상력을 줄 수도 있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