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악몽

트랙백: 애드키드님의 “빨간 물결의 공포

적어도 2002년 5월까지는 빨간 색 옷을 종종 입는 편이었다. 파스텔 톤의 옷 보다는 선명한 색깔의 옷이 잘 어울리기 때문에, 빨간 색 옷은 선호하진 않는다 하더라도, 옷장에 한 두 벌 정도는 있는 그런 옷이었다. 딱 2002년 5월까지.

그런 경험도 있다. 당시 한 수업 시간, 컴퓨터 관련 수업이었고 별다른 재미를 못 느끼고 있는 수업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교수가 뜬금없이 “어이, 빨간 색”이라며 루인을 지칭했다. 빨간 색 옷이 그 교수에겐 못마땅했다. 그날 그 교수는 루인이 꽤나 불쾌할 법한 얘기와 함께 몇 번이고 “빨간 색”이라고 불렀다. 소심한 루인은 그날은 조용히 있었지만 그 날 이후, 그 수업시간이 있는 날은 챙겨서 빨간 색 옷을 입었다. 물론 교수는 질린 표정으로 그 날 이후 다시는 그렇게 부르지 않았다. (함부로 건드리지 말라고!)

그렇게 지내던 그 해, 6월 어느 날 사람들이 갑자기 빨간 색 옷을 입고 왔다. 한 두 명이면 몰라도 수십 명이 넘게. 다른 사람이 뭘 입든 (루인이 좋아하는 스타일이 아닌 이상) 무관심하지만 이렇게 집단적으로 제복 마냥 입고 온다면 거슬리지 않을 수 없다.

몰랐다. 며칠이 지나서야 우연히 안 사실-월드컵 응원복이 빨간 색이란 것. 사실 그 해 6월, 월드컵을 하는 줄도 잘 몰랐고 한국의 경기가 언제인지는 더더욱 몰랐다. 하지만 모를 수 없게 되었다.

축구를 하든 말든 응원을 하든 말든 루인으로선 상관할 바 아니다. 하면 하는 거지 무슨 상관이람. 운동은 고등학교 체력장을 끝으로 끝이었다. 체육시간엔 어지간하면 광합성을 했었다([시모츠마 이야기](한국에서의 제목은 [불량공주 모모코])에서 모모코의 행동에 엄청 공감했다, 흐흐). 운동이나 스포츠 자체에 무관심하거니와 루인의 생활방식 특성상 뭘 하든 모르고 지나갈 수 있다. 하지만 응원전 ‘덕분’에 그럴 수 없었다.

무슨 경기였는지 모르지만 6월 어느 날, 하이퍼텍 나다에서 영화를 보고 나온 길, 거리는 한산했다. 저녁 시간이었고 그 시간이면 꽤나 많은 사람들이 붐빌 시간인데 그 날, 유난히 한산해서 좋았다. 이 좋음은 얼마 안 가, 엄청난 스트레스로 바뀌었다. 지하철을 타고 몇 정거장을 갔을까, 갑자기 사람들의 소리가 들리고(이어폰으로 음악을 듣고 있었음에도) 빨간 색 옷을 입은 사람들이 몰려왔다. 지하철 안이 빨간 색 옷을 입은 사람들로 가득했을 때의 끔찍함이라니. 사실 이 끔찍함은 루인의 반응-그들의 함성과 응원을 완전히 무시하고 종종짜증을 내는 루인의 반응에 주변 사람들은 삭막하고 살벌함을 느꼈을 때, 정점에 이른다. 이 분위기를 기억하고 있다. 집단 광기에 동참하지 않을 때, 한국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몸 깊숙하게 남아 있다.

그리고 몸의 흔적이 있다. 이른바 진보라고 나대는 인터넷매체가 이른바 “효순이 미선이 사건”으로 부르는 미군 장갑차 사건을 월드컵이 끝날 때까지 철저히 무시했음을. 그 정도면 상관없지만 이런 무시에 화가 나서 항의 메일을 보냈을 때, 그 매체는 첫 화면으로 “월드컵 땐 죽지도 맙시다”란 글귀와 함께 장례식장에서 월드컵을 응원하는 사진을 실었다. 그 사진은 소름끼치는 일이었다. 이른바 “진보”든 “반미”든 “민족주의”든 뭐든, 제 편의에 따른 구분이며 정치성일 뿐임을 그때 느꼈다. “민족주의”? “반미”? 웃기는 소리다. 그 잘난 “진보”매체에게, 제 흥을 깨는 일은 뒷전이었다.

요즘 월드컵이 다가오나 보다. 오든가 말든가. 하지만 슬슬 짜증나기 시작한다. 루인의 불만은 간단한데, 왜 원치 않는 사람까지도 이런 소식을 접해야 하고, 왜 “모든 국민”이란 식으로 도매금 하느냐, 이다.

아침에 눈을 뜨고 라디오를 켜면 가장 먼저 듣는 소식은 월드컵과 축구다. 그날 경기가 있고 전날 경기라도 했으면, 라디오 뉴스의 반 이상이 관련 소식이다. 스포츠뉴스야? 밤 9시 뉴스도 마찬가지다. 계속해서 축구 소식만 전한다. 그리면서 덧붙인다. “전 국민의 …” 라고. 루인은 바로 이런 지점이 폭력이라고 느낀다. 원하지도 않는데 강제로 정보를 주입하는 것, 그리고 끊임없이 “우리”의 범주로 소환하는 것.

원하는 정보를 듣기 위해 원하지 않는 정보에 과다하게 노출되는 거, 이거 폭력 아냐? 도대체 이른바 스팸메일이나 스팸문자와 뭐가 달라? 월드컵이나 축구 응원은 “전 국민의”, “민족적인” 운운 하지만 그것도 웃긴다. “민족”이라고? 그 “민족”의 구성원은 누군데? 평소엔 그렇게 “반미” 운운하며 소리치다가도 월드컵 기간엔 “죽지 말자”고 말할 때, “민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는 너무도 자명하다. 누가 “민족구성원”이고 어떤 목적에서 “민족”으로 호출하는지.

아침에도 축구 소식을 잔뜩 들었다. 짜증. 사실 이 글만 아니었어도 잊었을 테다. 원치 않는 소식은 곧 바로 흘리기 때문이다. 라디오도 끄고 살아야 하나? 수업 준비를 하며 바쁜 일정에 루인이 접하는 세상 밖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싶어 듣는 라디오다. 그날그날 일기예보를 듣기 위한 라디오기도 하고. 하지만 6월 한 달, 끄고 살아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해야겠다.

종종, 붉은 악마는 정말 “악마”라고 느낀다.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6: 더글라스 샌더스 교수 초청 강연회

더글라스 샌더스 교수 초청 강연회
LGBT인권: UN과 아시아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LGBT Rights: Fights at the UN and in Asian courts)

일 시 : 2006년 6월 2일(금요일) PM 7:00
장 소 : 서울iSHAP센타
주 최 : 퀴어문화축제 기획단
주 관 :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후 원 : 아름다운 재단 공익변호사모임 <공감>

더글라스 교수는 일본(Occur 건), 한국(Exzone 건), 홍콩, 그리고 피지, 필리핀, 인도 등의 국가에서 있었던 법적 투쟁들을 소개하고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가령, 홍콩의 경우, 중국반환을 앞두고 개정한 법령에서 동성애 허용 연령을 21세로 제정한 것과 관련해 William Roy Leung이 소송을 제기해 승리를 얻어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승소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남성, 여성의 성적 지향은 대부분 청소년기 이전에 결정된다는 연구결과와 Willaim Leung 자신이 청소년기 이전에 이미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 증언이었다.
피지의 경우, 동성애가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고 음란하며, 나아가 사회의 주요한 위치에 있는 보수층들의 윤리와 충돌하기 때문에 동성애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동성애를 합법화하는 조항을 피지 법령에 추가시키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법정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유를 보장하는 헌법조항과 UN의 인권 협약에 따라 동성애를 인정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들 판례들이 보여주는 것은 CHR(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나 UNHRC(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와 같은 국제 단체들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동성애인권에 관한 기준들이 아시아 각국의 법정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만약 국내적인 반대에 부딪치더라도, 국제법이라는 강력한 근거를 들어 동성애 합법화를 요구하면, 정부에서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분석해 인권운동의 또 다른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는 길 약도

홈페이지는 여기로

퀴어문화축제 무지개2006의 행사에요. 루인은 내일 여기로 갈 예정이에요. 흐흐흐.

여이연 제 17회 콜로키움: 성노동자 권리와 폐지주의

[17회 콜로키움] 성노동자 권리와 폐지주의- 네덜란드와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일시: 2006년 6월 2일 금요일 오후 6시 연구소
발제: 김혜진

발제를 해주실 분은 네덜란드 성노동자 운동 활동가로 발표를 영어로 하게 됩니다.
물론 친절한 통역이 있구요.
통역은 박이은실 님이 해주십니다.

성산업내에서도 엄청난 다양성이 존재한다. 성노동자들의 경험은 매우 긍정적인 데서부터 매우 부정적인 데에까지 다양하며, 이 중 대부분은 양 극단에 있기보다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서로 다른 유형의 성노동에 따라 노동조건도 다르며, 성노동을 하는 지역들도 매우 다양하고, 또한 이러한 조건 하에서의 경험들도 개별 성노동자들의 개인적 맥락에 좌우되기 마련이다. 그런데도 성노동과 (인신)매매(trafficking)을 다루는 담론들은 다양성을 거의 이야기 하지 않는다. 이를 폐지주의와 함께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노동의 논의를 살펴보려 한다.

최초 게시물은 여기로

관심있는 분은 참고 하세요. 루인은, 아마 다른 곳에..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