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대법원 트랜스젠더 성별정정 허용할까

대법원 트랜스젠더 성별정정 허용할까[연합뉴스 2006-05-11 06:03]

이 기사의 마지막 문구:
이는 성전환자들이 장애를 극복하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협력하고 도와주는 것이 사회 다수자 및 그들의 의사를 대변하는 국가의 임무라는 시각을 토대로 하고 있다.

아, 예. 고맙습니다. 너무 고마워서 눈물이 앞을 가려요. 하긴, 트랜스가 “장애”에 “정신병”이긴 하죠. 그런데도, 심지어 트랜스의, 루인의 의사를 대변해 주시기까지 한다니 몸 둘 바를 모르겠어요. 고마워서 넙죽 엎드려 절이라도 할까요?

논할 가치도 없지만 그냥 지나치기엔 자료로 남겨둘 만 해서. 한국에 살면서 느끼는 것 중 하나는, 참 공부할 내용이 많다는 것. 어찌나 많은지 몸이 다섯 개만 되었으면 좋겠다 싶을 때가 있다.

[#M_ 그리고 이 기사에 달린 리플 | 2006년의 ‘코미디’ |

리플의 제목만 캡쳐.
_M#]

[#M_ 그리고 최고의 리플.. 하나. | 푸훗. |

흐흐. 그렇지요.
그런데 누가 다수예요? 그건 어떻게 알아요?
참, 그 시기가 언제가 좋은지 알려주세요.. 크크크
_M#]

[#M_ 또 하나의 최고 | 푸흐흐 |

크크
_M#]

어렵다는 것의 의미: 누구의 경험인가 – 포스트모더니즘

그런 경험이 자주 있는 편이다. 루인은 쉽다고 느낀 텍스트를 다른 사람들은 어렵거나 이해할 수가 없다고 반응하는. 특히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작가나 이론가들이면 이런 반응의 간극은 더 커진다. 일전에 수업을 통해 식수Cixous나 이리가레Irigaray를 읽은 적이 있는데 루인의 경험은 너무너무 재미있고 쾌락적이었다면 다른 사람들은 어렵고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였다. 이 간극.

작년, 어떤 글을 쓰면서 차이와 관심/무관심의 관계를 쓴 적이 있다. 그 글을 읽은 친구는, 이런 해석이 (데리다인지 들뢰즈인지 기억나지 않지만) 암튼 그런 누군가도 이와 비슷한 논의를 한 적이 있는데 루인은 이와는 다른 각도로 해석하고 있다는 얘길 전해준 적이 있다. 이 지점.

포스트모더니즘이 어렵다는 얘기가 워낙 많아서 아직 접근할 엄두를 못 내고 있지만,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접할 때마다(비록 2차 텍스트라는 문제가 있지만) 느끼는 건, 루인을 설명하고 읽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바로 그 지점 혹은 그 언어를 그 사람들도 고민하고 언어를 모색하고 있음을 깨닫곤, 깜짝깜짝 놀라곤 한다. 이 느낌.

이렇게 적으면 마치 엄청 잘난 척 하고 있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그런 얘길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언어의 위치를 말하고 싶을 뿐이다.

흔히 포스트모더니즘을, 탁상공론이니 배운 사람들이나 하는 것, “현실”에선 아무 쓸모도 없는 것으로 얘기하는 경향이 있다. 루인도 그 말을 믿었고 그래서 포스트모더니즘이란 걸 어렵기에 아직은 범접할 수 없는 그런 영역으로 여겼다. 하지만 이런 해석들이 누구의 경험을 반영하는지는 조금도 묻지 않았다. 기존의 언어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어렵다는 걸, 왜 진작 깨닫지 않은 걸까. 루인의 몸앓이와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하는 내용과 일정 부분 접점이 있고 그래서 때로 ‘쉽게’ 다가온다면 그것엔 이유가 있을 텐데, 그 지점은 고민하지 않고 여전히 어려우니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영역으로 간주한 건 왜일까.

일전에 “어렵다”는 것은 누구의 입장인가로 글을 쓴 적이 있다. 일테면 트랜스베스타잇이나 MTF/FTM과 같은 언어들, 트랜스를 조금도 고민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런 언어는 어려워서 암기용 지식이며, 돌아서면 잊어버릴 만한 내용이지만, 트랜스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언어는 절실하며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절박한 언어라는 얘기.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이런 위치에 있다고 느낀다. 어떤 사람들에겐 어렵겠지만 어떤 사람들에겐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는 쾌락의 언어들이다. 그러고 보면 어렵다고 반응한 사람들 대다수가 ‘이성애’-젠더 구조에 익숙한 시스젠더들이었나. 물론 이런 식으로 구분할 수 없지만, 단순히 어렵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왜, 어떤 맥락으로 인해 어렵다고 느끼는지, 그 지점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농담처럼 하는 말: 그러고 보면 루인은 존재 자체가 근대의 언어체계에선 존재 자체가 불가능하구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원단일 수밖에 없구나. 이거 철저히 농담이다. 근대와 후기근대를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 포스트모더니즘을 관념놀이로 여기는 사람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나누는 사람들 모두에게 보내는 농담이면서 조롱인 셈이다. 이런 구분 자체가 웃긴 일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언어에서나 루인을 설명할 수 있다는 얘긴 근대/모더니즘을 누구의 언어로 구성하고 있는가를 질문하게 한다. 항상 존재했지만 없다고 간주하며 삭제했던 역사를 복원하는 작업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근대와 후기근대란 구분은 웃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