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궁금한데, 공길이 그렇게 “예쁘지” 않았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왕의 남자]를 홍보하며 가장 많이 나온 얘기는 이준기의 “미모”였다. “트랜스젠더가 아니냐는 말도 들었다”는 이준기의 말처럼, [왕의 남자]가 ‘동성애’를 담고 있는 영화라는 홍보가 있었을 때, 그 핵심엔 이준기의 “미모”였다. 하지만 루인이 접했던 ‘게이’영화 중에서 이준기처럼 “마르고 예쁜” 배우는 (거의) 없었다. 대체로 근육을 자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잘 생겼다”고 불리는 사람들이었다. 이 말이 ‘게이’영화에 나오는 배우는 모두 이래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한국의 외모지상주의가 가지는 의미를 말하고 싶다.
홍석천이 커밍아웃(아웃팅과의 경계가 애매했다)했을 때의 반응과 하리수가 등장했을 때의 반응은 달라도 너무 달랐다. “페미니스트라도 예쁘면 OK”라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정치적 입장이 얼마나 위협적인가가 아니라 그 사람이 “보기 좋은가”의 여부이다. 트랜스젠더라는 “구역질 나는” 존재가 별 다른 거부 반응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었던” 이유는 하리수의 외모가 “여자 보다 더 여자답게 예쁜 외모”를 가졌기 때문이었다. 만약 공길 역에 이준기가 아니라 (요즘 반말로 욕을 먹고 있는) 최민수였다면 어땠을까. 혹은 지상렬(지상렬이 못생겼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듣고 있는 라디오에 나오고 있어서)이었다면 어땠을까. 지금처럼 이렇게 호의적인 반응으로 영화가 흥행에 성공했을까. [청연]을 두고 친일이라고 반응하며 불매운동이라도 펼치려는 마당에 [왕의 남자]에 “비윤리”적이고 청소년의 정서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는 ‘동성애’가 등장하는데도 환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왕의 남자]에서 주목하려는 지점은 ‘동성애’가 아니라 “여자로 오해 받을 만큼 예쁜” 외모를 가진 공길을 욕망하는 연산이라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영화를 보고 나서 접한 몇 가지 반응 중에는 “표현 수위가 약해”서 뭔가 부족하다는 글과 “입맞춤 장면에서 토할 뻔 했다”고 표현한 글들이 있다. 둘 다 별로 다르지 않은 내용으로 읽었다. 루인에겐 공길과 장생의 관계는 너무도 ‘노골’적이었다. (연산과 공길의 관계를 ‘동성애’관계로 부르는데 꺼리고 있다. 어떤 분은 “사랑했는데 남자”라는 감독의 인터뷰 내용을 들어 퀴어가 아니라 야오이라고도 했는데, 야오이를 접한 적이 없어 잘 모르겠지만, 그럴 듯하기도 하다. 루인은 좀 다른 이유로 꺼리고 있다. 다만 그 지점을 아직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표현 수위가 약하다는 것이 누구와의 관계에서 그렇다는 건지는 애매한 구석이 있지만 아마 연산과 공길의 관계가 그렇다고 여겨지는데 “패륜아” 연산 정도면 더 높은 수위의 장면을 연출할 수도 있었다는 걸까. 아니면 감정선을 중심으로 표현하고 있어서 아쉬웠다는 걸까. 하지만 “입맞춤 장면에 역겨웠다”는 반응처럼 더 ‘높은’ 수위로 18세 관람가였다면 그런 이유로 상당히 욕먹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감독이 참 영악(靈惡)하다고 느끼고 있다. ‘동성애’가 등장하지만 그것이 욕먹지 않고 한국 사회에서 수용될 수 있는 정도를 알고 딱 그 만큼만 표현하고 있으니까.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권력에 관한 영화라고 했는데, 그 말처럼 감독이 원하는 건 ‘동성애’가 아니라 ‘동성애’라는 “상품성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더 몸앓아야 할 부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