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훅스bell hooks의 말 중에서:
성차별은 다른 모든 억압의 바탕이기 때문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지배 관례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페미니스트 이론]에서
Sexist oppression is of primary importance not because it is the basis oh all other oppression, but because it is the practice of domination most people experience, whether their role be that of discriminator or discriminated against, exploiter or exploited. -[Feminist Theory]
가부장제 지배를 종식시키는 페미니스트 투쟁은, 그것(가부장적 지배)이 다른 모든 억압 구조의 토대이기 때문이 아니라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부딪히는 지배 형태이기 때문에 전 세계 여성들과 남성들에게 가장 중요하다. -[말대꾸]에서
Feminist struggle to end patriarchal domination should be of primary importance to women and men globally not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all other oppressive structures but because it is that form of domination we are most likely to encounter in an ongoing way in everyday life. -[Talking Back]
#
아는 사람은 알지만, 루인은 대학을 졸업하고 심지어 대학원 시험에 합격하기까지 한 지금까지도 토플은커녕 토익 한 번 공부한 적이 없다(사실 지금도 토익과 토플이 헷갈린다). 영어 공부라면 치를 떠니 그럴 수밖에.
세대마다 다르고 계층, 지역마다 다르지만 루인이 처음 영어 공부를 시작한 것은 중학교 입학하기 전, 초등학교를 졸업할 즈음이었다. 루인의 주변과 비교하면 무난하거나 약간 늦은 시기에 시작한 편이다. 하지만 학원이라면 너무도 싫어하니(학원을 좋아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만은) 영어는 곧바로 가장 하기 싫은 공부 중 하나가 되었다. 억지로 학원까지 다니면서 배워야 한다는 건, 하고 싶을 때 까지는 아무리 시켜도 하지 않는 루인에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을 뿐이었다. 영어 수업은 한 없이 지루한 시간이었고 영어 시험은 항상 틀린 개수 보다는 맞춘 개수를 세는 것이 더 빨랐다. 그렇게 고등학교까지 6년이 지났다.
그것으로 루인과 영어의 인연은 끝이었다. 아, 물론 대학교에서 교양영어를 듣긴 했지만 수업시간만 대충 때웠기에 공부라고 부르기 조차 민망할 지경.
더 이상 영어와 접할 일이 없어지자, 세상에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다. 크크. 그 정도로 싫었다. 토익과 토플 열풍이 엄청났지만 가볍게 외면했다. 아니, 외면한 것이 아니라 루인의 세상에 그런 건 없다고 여겼다. 새로 나온 컴퓨터 프로그램이니?
영어와 친하고 싶다는 욕망이 생긴 건 꽤나 오랜 시간이 지나, 페미니즘과 놀면서였다. 읽고 싶은 책이 있어 확인하면 어김없이 영어였다. 처음엔, 누군가 번역하겠지 하고 무시했다. 하지만 무시에도 한계가 있고 그 정점에, 벨 훅스가 있었다. 벨 훅스가 아니었다면 아마 지금 쯤 영어랑 친해지고 싶었겠지.
[행복한 페미니즘]을 읽고 다른 책들도 읽고 싶어졌다. 뭐, 당연하게도 없었다. 이때부터 영어와 친하게 지내야지 하는 몸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루인의 영어 실력은, …할 말 잃음…이 아니라 말 할 수 없어!-_-;;
#
한 페이지에서 단어를 15개 이상 찾으면 그 책은 자신에게 무리일 수도 있으니 좀더 쉬운 책을 찾아야 한다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있다. 억지로 하는 공부라면 그럴 수도 있겠다. 하지만 너무 읽고 싶어서 하는 것이라면, 다르다. 모르는 단어가 30개가 넘어도 읽는다. 더디더라도 한 문장 한 문장 읽어나가는 기쁨이 크니까. 더구나 이럴 때의 영어는 취업이나 성적을 위한 것이 아닌 오직 쾌락을 위한 것이다. 영어 공부를 하겠다는 다짐은 영어와 놀면서 루인이 읽고 싶은 책을 읽겠다는 것이지 토익 점수 몇 점 받아야겠다는 것이 아니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영어라는 부담이 덜 했다. 놀이일 뿐이니까.
하지만, 그 당시 쓴 글들을 보면 너무도 부끄러운데, 글 속에 필요 이상의 많은 영어 단어들이 등장했다. “재현re-presentation”, “투사projection”하는 식으로 영어단어들이 글 속에 난무했다. 물론 이런 것이 의미를 정확하게 하거나 확장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점은 있다. 그럼에도 루인에겐 한 가지가 더 있는데, 그건 열등감의 표현이었다는 점이다. 강제된 영어를 너무 못하다 보니 그것이 일종의 열등감이 되었고(영어에서 자유롭다고 믿었지만 결코 그렇지 않았다), 그래서 “영어 공부 한다”고 알리고 싶어 했다.
이런 열등감은 굳이 영어가 아니어도 발생한다. 루인이 쓴 글 중에 뭔가 배배꼬인 느낌이 들면서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그건 필히 루인도 모르는 것을 아는 척 하려고 애쓰다 나타난 열등감 때문이다. 물론 어렵다, 란 말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 가정은 안식처라고 믿고 있거나 그렇게 경험한 사람에게 가정은 노동 공간이며 때로 폭력을 재생산 하는 공간이라는 말은 어려울 수 있다. 이건 세상을 해석하는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이다. 하지만 어떤 어려움은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을 배배꼬아서 아무도 모르게 만들고 그런 지식을 권력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글은 쉽게 써야하고 그래서 한글을 읽을 수 있고 문장 이해력만 있으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그런 글쓰기를 지향하는데, 이때의 쉬움은 후자와 같지 않음이다. 전자에 의한 어려움이라면 그건 어쩔 수 없다. 루인의 열등감은 너무 자주 후자의 방식으로 드러난다. 그러니 글이 꼬여있다면 그건 루인도 모르면서 아는 척 하려고 안달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 열등감은 또한 루인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다.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 할 수 있게 한 ‘용기’도 이 열등감 덕분이다. 극복하려는 유인이 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