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가 있어요. 뭐, 영화 자체의 줄거리야 뻔하지만.
영화를 시작하는 장면이 상당히 재미있다. 일본군들이 마을에 들어오고 강제 동원된 것으로 여겨지는 마을 사람들이 맞이하고 있다. 어른들은 욕설을 하거나 못마땅하고 화난 표정들이지만 아이들은 “와~”하는 함성을 지른다. 박수 소리도 함성 소리도 아이들의 것. 그 이유가 재밌다. 아이들에게 일본군인은 침략자이기에 앞서 하늘을 날 수 있는 닌자들이다. 이 설명과 함께 일본군은 닌자 복장으로 바뀐다. 그러면서 빤한 코미디도 나온다. 역사의 내용이 누구의 입장으로 쓰느냐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침략을 정당화 혹은 합리화 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라고 해서 반드시 피해자화되는 건 아니란 의미다. 일본에 합병되었다고 조선 사람들 대다수가 죽을상을 하며 부정적으로만 지낸 것이 아니었다. 영화는 이런 지점에서 출발한다고 느꼈다. 친일 아니면 반일, 매국노 아니면 민족주의라는 이분법적인 도식에서 벗어나려는 고민이 출발점이다.
그렇기에 [청연]을 친일 혹은 친일처럼 비방하는 글들은 황당할 따름이다. 영화 어디에도 친일 혹은 반일 하는 식의 도식이 개입할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영화 말미 즈음에 박경원(장진영 분)이 일장기를 드는 장면이 나오긴 하는데 일장기만 들면 친일? 아니면 박경원의 연인처럼 나오는 한지혁(김주혁 분)이 “조선이 네게 해 준 게 뭐 있어”란 말 때문에? (앞 뒤 맥락 다 잘라버리고 “박경원이 일장기 흔들었대”라고만 한다면 그럴 수도 있겠다-_-;;)
영화 속 박경원의 갈등은 민족과 젠더, 계급이 교직하는 지점인데, 그래서 조선인이든 일본인이든 여성이든 남성이든 하늘에선 그런 게 없기 때문에 비행을 좋아한다는 말은 아프다. 박경원을 돕는 기베(유민 분)와의 가장 큰 차이는 식민 지배국의 기베와는 달리 피식민지의 박경원은 민족이란 또 하나의 갈등을 격어야 한다는 점이다. 조선인 내부에선 계급 차이를 겪는다. 박경원은 민족차별(인종차별)과 성차별, 계급차이 속에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갈등하고, 영화는 이런 갈등이 시대와 어떤 식으로 협상하는지 그 과정을 말하고자 한다. 박경원이 고국(박경원에게 일본은 고국이 아니란 의미다)으로 돌아가기 위한 장거리 비행을 위해 후원회를 개최하는데 이때 조선인들이 외면했다는 점은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살아서 자신의 야망을 위해 노력하는 ‘여성'(인 박경원)은 민족의 구성원에 포함되는가, 같은 민족이라고 말하면서도 도움이 필요할 때 외면한다면 민족이란 정체성은 어떤 의미인가, 친일 아니면 반일이란 식으로 갈등을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가 등등. 친일이다 아니다, 침략이 정당하다 아니다, 와는 별개로, 공부하려는 박경원을 ‘여자’란 이유로 가족들은 반대하거나 외면하는데 반해 일본에선 가능했다면 조선과 일본의 의미는 조선에서도 일본에서도 제약 없이 공부할 수 있는 사람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등장인물 대다수가 단순한 도식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연대와 갈등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젠더와 젠더 역전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재미있는 영화다.
영화에서 가장 멋진 장면은, 박경원의 비행학교 선생인 도쿠다와 박경원의 관계. 흔히 많은 영화에서 이성관계를 끊임없이 연애관계로 몰아가는데 반해 이 둘의 관계는 동료관계로 나타난다. 박경원의 마지막 비행을 앞두고 도쿠다는 관제탑에서 박경원과의 연락담당을 자청하는데 이 장면은 박경원을 젠더사회에서의 ‘여성’, 즉 연애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비행사라는 정체성으로 박경원과 관계 맺고 있음을 말한다. 기베와 박경원의 관계도 멋진데, ‘여성’이란 젠더 정체성과 비행사란 정체성으로 맺어지고 있다. 후원회에 참여한 사람들의 대다수가 ‘여성’이란 점은 (의도적인 건지는 모르겠지만) “‘여성’연대”로 읽을 수 있는 장면이기도 하다. 기베와 박경원의 관계, 도쿠다와 박경원의 관계, 한지혁과 박경원의 관계 등 박경원을 둘러싼 관계들은 절대적인 정체성은 없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체성으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 조선인이란 민족 정체성은 박경원에게 다른 많은 정체성 중의 하나이지 절대적이고 최우선시 해야 할 정체성이 아니다. 조선인/한국인이란 민족 정체성을 어떤 경우에나 최우선시 해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발언은 파쇼일 따름이다. 개인의 다양한 맥락과 정체성을 제거하고 하나의 단일 정체성으로 환원하는 것만큼 폭력적인 것은 없다. [청연]은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이 어떻게 갈등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루인이 우는 거야 특별할 것 없으니 역시나 영화를 보면서 여러 번 울었다. 특히, 가장 많이 울었던 부분: 박경원의 학교 후배인 강세기(김태현 분)가 비행대회 당일 아침, 연습 중에 비행기 폭발 사고로 병원에 실려 간다. 기베로 인해 대회에 출장할 수 없던 박경원은 강세기의 사고로 대신 출장한다. (엠파스 영화 소개는, 기베로 인해 박경원이 출장하지 못하게 된다는 내용까지인데 바로 그 다음 장면들이다-_-;;) 문제는 박경원의 주력 종목이 아니기에 위험할 수도 있는 종목이었다. 이 종목에서 난기류에 휩쓸리며 위험에 처하기도 하지만 대회 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한다. 뭐, 시나리오야 뻔하다. 이 장면에 운 이유는 몸이 아팠기 때문이다. 박경원이 대회에 나갈 수 있었던 이유와 기록을 경신하며 1등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강세기의 죽음이라는 고통이 있었기 때문인데 이 장면을 접하며 불행, 질투, 집착, 상처 등의 고통 속에서 쓴 글이 다른 어떤 글 보다 빼어났던 몸의 흔적이 되 살아났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 장면은 일종의 위로였다.
#이와 관련해서 마르코스가 “당국이 체포하려고 하면 저항하지 말고 도망쳐 주장을 전파하라”란 말은 참 몸에 든다.
#글이 정리가 안 된 채 난잡하다. 디빅이 나와서 다시 접한다면-_-;; 그땐 좀더 정리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