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퀸] 2007.02.20. 20:20, 아트레온 9관 11층 G-10
00
학생할인이 대학생까지를 의미한다면 더 이상 학생할인을 하지 않았다. 뭔가 찔렸다. 판매하는 분은 학생증 있으면 달라고 했지만 차마 그럴 수 없었다. 지난 일 년 동안 대학생증을 내밀고 할인을 받았는데, 더 이상은 그럴 수가 없었다. 흑흑흑. 천원~~!!! ㅠ_ㅠ
스포일러가 없는 리뷰가 어디 있겠어요? 하지만 이 영화에서 무엇을 스포일러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01
이 영화가 다이애나란 사람의 사건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걸 알았기에 영화가 시작하는 초반, 이 사건과 관련한 정보를 기억하려고 애썼다. 하지만 이 영화의 토대를 이루는 사건, 혹은 다이애나의 죽음과 관련한 얘기들 중에 루인이 아는 것은 없었다. 1997년이면 루인은 십대였고, 배철수의 라디오 방송을 통해 엘튼 존의 노래가 몇 주간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정도만이 유일하게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그렇기에 이 영화를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해 어떤 정보를 떠올리려고 해도, 떠올릴 내용이 없었다. 그러다, 왜 굳이 이 영화의 내용을 실제 있었던 사건과 결부시키려고 하는지 되물었다. 이 영화를 말 그대로 하나의 허구로 간주하면 안 되나. 영국과 프랑스란 나라, 영국의 여왕과 군주제의 존재, 다이애나의 죽음 등을 모두 영화에서 창조한 영화적 허구로 간주하고 본다면 더 재밌을 것 같았다. (일테면 “궁”이라는 드라마처럼.) 이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어떤 사건으로.
그리고 깨달았다. 이 영화를 어떤 맥락과 분리시켜서 영화적인 허구로만 접근하는 순간,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꽤나 불친절하거나 엉성하다는 걸. 영화 속에서, 다이애나의 죽음에 전 세계가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하지만, 루인은 그 죽음에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다. 이 영화는 바로 이 지점에서 상당한 간극을 가지고 출발하는데, 이 영화를 읽는 사람은 이 영화의 토대를 이루는 사건을 알 거라고, 영국왕실의 맥락들을 알 거라고 가정하고 그런 가정 아래 사건을 전개하지만, 이런 맥락들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 영화는 하나의 허구일 뿐이고(이럴 때, 영국왕실과 군주제 뿐 아니라 영국이라는 나라 자체도 허구가 된다) 그럴 때 이 영화는 꽤나 재미없게 다가온다.
그래서 이런 전제에 슬쩍 화가 났다. (물론 이런 “화가 남”은 루인에게도 향해야 하는데,) 마치 자신들이 하는 말의 맥락을 당연히 알 거라는 전제가 가지는 오만함 때문이다. 그 오만함은 소위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가 가지는 오만함이고.
02
이 영화의 맥락을 영화적 허구로만 가정하지 않고 루인의 접하고 있는 현실에 토대를 두고 읽는다면, 토니 블레어가 “진보” 정당이라는 사실에 당황했다. 루인이 알고 있는 토니 블레어는 미국의 이라크침략전쟁에 파병한, 파병을 주장한 사람, “부시의 친구” 혹은 조지 마이클이 “부시의 개”[이런 묘사는 반드시 블레어라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개에 대한 모독이다]로 묘사한 뮤직 비디오 속의 모습과 같은 것들이다.
처음으로 총리로 당선될 당시엔 “진보”였을 지 몰라도, 루인이 접하기 시작한 지금의 모습에선, 잘 모르겠다. 저항으로서의 전쟁이 아니라 침략으로서의 전쟁에 참여하는 걸 “진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이런 선입견으로 이 영화를 접할 때, 두드러지게 다가오는 모습은 인기를 위해 어떻게 연설문을 기획하고 언론을 이용하는가 하는 장면들이다. 그리고 “진보정당”의 당수이자 “가장 진보적인 인물”이라고 평가 받는 블레어가 집에선 음식준비를 하지 않고 부인이 음식을 차려주길 기다리는 모습이다. 무엇이 “진보”인가, 라는 진부하지만 언제나 유효한 질문을 다시 한 번 던질 수밖에 없다.
03
이 영화의 재미는 전혀 다른 곳에서 발생한다. 여왕 역을 맡은 헬렌 미렌의 연기는 그것만으로도 볼만 한데, 헬렌 미렌의 연기가 이 영화를 끝까지 읽을 수 있게 한 힘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연기력에 덧붙여, 이 영화의 재미는 여왕과 총리의 관계에 있다.
영화 중간 즈음에 가면, 블레어의 부인은 블레어에게 블레어의 죽은 엄마와 관련한 얘기를 한다. 여왕과 동년배이고 성격도 비슷하다고. 그래서 여왕을 감싸도 도느냐고.
여왕과 총리인 둘의 관계는 어느 순간 더 이상 여왕과 총리가 아님을 깨닫게 된다. 블레어 부인의 말처럼, 하지만 블레어 부인의 말과는 달리 토니 블레어는 여왕을 엄마처럼 여겨서 지지하거나 지키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여왕과 엄마를 동일시 한 것이다. 여왕과 총리 사이의 긴장관계 혹은 적대관계는 어느 순간 총리가 여왕을 지키려는 관계로 바뀌는데, 이 장면에서 블레어의 역할은, 헐리우드 영화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성역할을 떠오르게 한다. 싸움터에 나가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네 엄마와 누나/동생을 지키거라”는 말을 할 때, 엄마를 지켜야 한다는 의무감이 생기는 서구의 아들역할. 블레어의 역할은 어느 순간 이렇게 바뀌고, 여왕을 부르는 호칭 맘(Mom)은 어느 순간 엄마를 부르는 호칭 맘(mom)의 뉘앙스로 바뀐다. 영화 말미에 여왕을 알현하는 장면에서 블레어의 모습은 엄마에게 칭찬 받고 싶어서 설레어 하는 모습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여왕과 총리의 관계는 엄마와 아들의 관계로 바뀐다. 어떤 경우에도 군주제를 폐지할 수는 없다는 블레어의 말이, 군주제 자체가 아니라 엄마-여왕(Mom)을 (또 한 번) 잃고 싶지 않다는 바람으로 읽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나저나, 왜 이 지점에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라는 단어를 떠올렸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