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일시Disidentification, 경험을 재구성하기

역시나 수업 쪽글로 제출한 글입니다. 뮤노즈의 비동일시 서문을 읽고 쓴 글이고요.
글에 추가로 부연설명을 붙일까 했지만 뭘 또 그렇게 하나 싶어 관두기로 했습니다.
(“뮤노즈와 비동일시”는 개념을 서명하는 부분이라 건너뛰고 읽으셔도 무방합니다.)
서지사항은
루인. “비동일시Disidentification, 경험을 재구성하기” Run To 루인. 2012.10.04. 웹. 2012.10.04.
정도면 되려나요?
======
비동일시Disidentification, 경험을 재구성하기
-루인
뮤노즈와 비동일시
호세 에스테반 뮤노즈(José Esteban Muñoz)는 비동일시 개념을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한다. 첫째, 생존전략인 비동일시는 소수자 주체 범주 혹은 비규범적 범주와 동일시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동시에 지배 규범이 창조한 전형-재현실천과 다른 방식으로 비규범적 범주를 해석하며 동일시하는 것이다(3-4). 이것은 어떤 대상과 동일시하는 동시에 동일시하지 않는 수행성을 통해 자기 범주를 부정하지 않고 유지하는 전략이다. 이는 지배 규범의 안정성에 공모하는 듯한 환상을 지배 규범에 부여하지만 지배 규범 내에서 비규범을 실천하며 지배 규범의 불안정한 지위, 상태를 폭로하는 행위기도 하다. 지배 규범의 불안정한 상태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얼핏 지배 규범을 전면 부정하는 것으로 독해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둘째, 뮤노즈는 비동일시 전략이 지배 규범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다시 쓰고 다시 만드는 작업이라고 설명한다(23). 즉 “비동일시는 지배 규범의 모순 요소를 쫓아버리지 않는다. 그렇다기보다 상실한 대상을 쥐고 있는 우울증적 주체처럼, 상실한 대상을 붙잡고 작업하며 새 삶에 그것을 투자한다”(12). 그리하여 모순은 비동일시 혹은 정체성 범주 형성에 기본 요소다. 정체성 형성이 애당초 단일하고 정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란 점에서 모순, 불안정, 불안은 어떤 의미에서 범주 형성에 필수 요소기도 하다. 셋째, 비동일시는, 페쇠가 알튀세르의 주체 개념을 재해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듯, 지배 규범에 동화를 선택하지 않으면서 단호하게 반대하지도 않는 전략이다(11). 그래서 비동일시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 동시에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며[working on and against] 작동하는 전략”(11)이다. 이것은 내부에서 비동일시하고 외부에서 동일시하는 전략이기도 한데, 지배 규범의 호명에 반응하면서도 그것에 온전히 포착되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호명 실천이 성공하지 못하고 빗나가는 곳에서 비동일시가 발생한다.
하리수 씨, 매혹과 외면
하리수 씨가 주인공으로 나온 방송 <인간극장>이었을까? 정확한 방송명은 기억나지 않는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신기한 존재를 대하는 호기심과 관음증으로 텔레비전 모니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사람들은 “남자래…”와 “정말 예쁘다”라는 말을 연발했다. 나는 외면했다. 그때 나는 단 한 번도 화면을 바라보지 않았다. 더 정확하게는 나의 관심을 직접 표현하지 않았다. 주변 누구도 내가 그 방송에 관심이 있는지 몰랐다. 하지만 나는 귀를 쫑긋 세우고 있었다. 관심 없는 듯 행동했지만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놓치고 싶지 않았다.
그때 나는 나를 딱히 트랜스젠더로 설명하고 있진 않았다(그전까지 트랜스젠더란 범주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몰랐다). 당시 내 고민의 팔 할은 다른 것이었고 젠더 범주는 덜 중요한 이슈였다. 그럼에도 마가 고메즈(Marga Gomez)가 “homosexual hearing”(Muñoz, 3)이라고 부른 것처럼, 나는 “트랜스젠더 듣기/부름”을 들었는지도 모른다. 하리수 씨가 등장한 방송을 매혹으로, 그러면서도 다소 불안한 몸으로 접하고 있었다. 관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온 신경은 방송에 쏠려 있었다.
나의 경험은 정체성 범주 형성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언제 처음 자신이 트랜스젠더란 것을 알았나요?”라는 말도 안 되는 질문에 누군가는 아주 어렸을 때를 소환할 것이다. 나라면 하리수 씨의 텔레비전 방송 청취(!)를 그 기원으로 소환할 것이다(“<XY 그녀> 보고 트랜스젠더 된 내 아들”…?!?!). 하리수 씨의 방송을 엿들을 뿐 곁눈질도 하지 않은 행동은 그때 이미 트랜스젠더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일까? 더 정확하게는 이 사회가 어떤 몸과 범주만을 규정하고 권장하는지를 포착하고 있었기 때문일까? 그 시간 나는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기민하게 알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적극적 관심은 단순히 ‘진기한 것을 보는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동일시 욕망으로 비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그때 나의 행동은 비동일시의 생존전략과 매우 닮았다. 그런데 그 경험을 이렇게만 해석해도 괜찮을까?
원가족, 공공연하게 말하(지 않)기
원가족과 함께 있을 때 가장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논문이나 책은 『성폭력을 다시 쓴다』나 『재생산에 대하여』와 같은 것이 아니다. Transgender History 혹은 Normal Life처럼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한 것이다. 원가족과 함께 지내야 할 때면 트랜스젠더 이슈나 퀴어 이슈와 관련한 글을 꼭 챙긴다. 원가족이 내가 트랜스젠더란 점을 알기 때문이 아니다. 나의 관심사에 적극 호응하기 때문도 아니다. 단지 원가족 중 영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나 뿐이기 때문이다. 영어 논문이나 영문도서를 집 어딘가에 대충 두어도 나는 안전하다. 그 책은 내가 학생임을 증명하는 증거일 뿐이다. 혹은 영어 공부를 한다는 증거로 쓰일 수도 있다. 그것이 트랜스젠더 이슈, 퀴어 이슈와 관련한 공부라는 상상력은 원가족에게 없다.
원가족은 이태원이 아니라 부산 변두리에서 살았고 (부)모님은 고졸 학력에 먹고 사는 문제만 해결하면 충분하고 먹고 사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고민하는 계급이다. 광고에 나오는 영어를 간신히 읽거나 아예 읽으려 들지 않는 그런 삶을 살고 있다. 그리고 나는 거의 언제나 영어 논문을 읽는다. 내가 트랜스젠더란 점을 밝힌다면 아마 상당한 충격을 받겠지만 나는 원가족과 있을 때면 무척 편하게 트랜스젠더 논문을 읽는다. 이성애-비트랜스젠더 규범을 자연질서로 체화하는 원가족과 있는 자리에서 영어 논문을 읽는 행위는 숨통이 트이도록 한다. 나는 공공연히 내가 트랜스젠더 이슈에 관심 있음을 밝히지만 원가족 중 누구도 그 사실을 포착할 수 없다. 아니다. 나는 공공연히 밝힌다고 쓰지만 나는 공공연히 밝히지 않는다. 원가족 중 누구도 영어를 읽지 않는다는/못한다는 사실을 알기에 할 수 있는 행동이다. 나는 이성애-비트랜스 규범에 정면으로 대항하지 않으면서 그것과 동일시도 하지 않을 뿐이다. 원가족은 나를 그냥 학생으로 포착하고 나는 가장 안전한 방식으로 나를 드러낼 뿐이다. 그리하여 원가족과 있는 자리에서 나는 트랜스젠더인 동시에 트랜스젠더가 아니다. 슬픈 일이다. 트랜스젠더인 동시에 트랜스젠더가 아니라서 슬픈 것이 아니다. 원가족의 계급과 학력, 출신지역이 나의 안전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성애-비트랜스젠더 규범에의 ‘공공연한 저항’ 혹은 그것과의 비동일시는 어떤 의미에서 다른 범주 경험을 ‘무시’하는 실천이기도 하다.
비동일시를 비동일시하기
위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서사를 구축할 때 나의 역사, 나의 삶은 이제 더 이상 ‘나의 것’이 아니다. 뮤노즈는 “픽션을 통해 존재가 되는 ‘진짜 자기’는 픽션을 생산하는 자기가 아니라 픽션으로 생산되는 자기”(20)라고 말했다. 비동일시 전략/논의로 내 삶의 특정 경험을 재구성할 때, 혹은 비동일시 논의에 부합하는 어떤 경험을 발굴할 때 내가 그 경험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서사로 바꾼 사건이 나를 (재)생산한다. 나는 비동일시 주체로 호명되고 그것이 나를 주체(지배규범에선 ‘나쁜 주체’지만 비동일시 맥락에선 ‘좋은 주체’)로 만든다. 즉 내가 구술한 서사는 특정 형식에 맞춰 (재)구성된/(재)생산된 것이고 그것은 특정 인식체계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 포착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바뀐다. 이렇게 바뀐 ‘나의 경험’은 나를 설명할 수 있을까? 그간 설명하기 힘들었던 특정 경험을 비동일시 서사로 바꿔내면서 그제야 나는 그 경험을 이해하지만, 그와 동시에 나와 그 경험은 또 다른 틈새, 균열을 만든다. 그리고 서사로 바뀐 경험은 나와 동일시할 수도 대항동일시할 수도 없는 상태, 즉 비동일시 상태가 된다.

우기, 어린 시절, 기억을 경험하기

비가 주르륵 내린다. 아침에 인터넷으로 기사를 훑다가 읽은, 기상청에서 장마 대신 우기란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 떠오른다. 정말 이젠 햇볕 쨍쨍하게 내리쬐는 그런 여름은 없어지는 걸까? 책에서나 읽던 그런 우기를 준비해야 하는 날이 온 걸까?

며칠 전, 어느 가게에 들렀다가 라디오에서 재밌는 얘기가 나왔다. 뭐, 익숙한 얘긴데, 요약하자면, 요즘 초등학생들은 학원이다 과외다 해서 너무 바빠 시간이 없다는데, DJ는 어릴 때 학교 마치고 집에 오자마자 가방을 내팽겨 치고 밖으로 놀러 갔다는 얘기. 자신의 이런 기억과 다른 요즘 아이들은 나중에 어린 시절을 어떤 식으로 기억할지 염려하는 듯한 뉘앙스.

이 얘기를 듣자 옛날 생각이 났다. 현재의 기억 속에서 초등학생시절 다닌 학원이라곤 얼추 2년 정도의 서예학원(이른바 글씨를 교정하려는 목적이었으나, 애초 목적은 간데없고 그저 한자에 친숙해지는 정도로 끝났다 -_-;; 흐흐) 정도랄까. 그 외에 딱히 다닌 학원은 없었다. 학교에서 내준 숙제만 하면 놀러 다녀도 상관없고(숙제는 또 어찌나 하기 싫던지). 지금의 언어로 얘기하면, 영어는 중학교 들어가야 공부하는 거지, 초등학생 때 미리 배우는 게 아니었다. 초등학생 시절 영어를 얼마나 몰랐냐면, 한글로 쓴 “메리 크리스마스”나 “해피 뉴 이어”가 무슨 뜻인지도 모른 체 카드에 적었고 그 뜻은 중학교에 들어가서야 알았다. 무슨 호기였는지, 6학년 땐 “메리 크리스마스”를 영어스펠링으로 쓰겠다고 맞은편에 앉은 이에게 어떻게 적는지 물었다가, 무슨 소린지 못 알아들어 결국 한글로 썼던 기억도 있다. 크크크 ;;; 시험공부는 시험 전날부터 준비하는 거라고 여겼고, 때론 시험공부가 싫어서 시험 친다는 얘길 안 하고 전날까지 놀다가 걸려서 엄청 혼난 적도 있고. 중학생 때에야 비로소 학원이란 곳엘 가긴 했지만, 사실상 놀러 가는 곳이었고, 그나마 학원을 한 군데만 다녔는데, 그럼에도 공부할 게 너무 많다고 궁시렁거리곤 했다. 고등학생 때야 학원엘 안 갔고.

이런 루인의 경험이, 지역적인(그리고 학군이 없었음에도 학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거란 건, 당시 나온 소설들을 나중에 읽고서야 알았달까. 한국 고3들의 생활을 찍은 미국 프로그램의 제목이 “Believe or Not”(믿거나 말거나)이라며 한국 입시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말들은 많았지만, 적어도 루인에겐 “그래, 우리 이렇게 힘들게 생활해”가 아니라 “진짜 믿거나 말거나 잖아”였달까. 그런 프로그램 속의 입시생활은 루인과 꽤나 동떨어진 얘기였고, 입시학원에 다니는 이들도 이런 얘길 드러내고 말하지 않았다. 자신이 공부하는 걸 숨기는 게 아니라, 루인이 다니던 중고등학고에선 학원에 다니는 일이 드물었다는 의미. (아닌가? 루인만 안 다니고 다들 조용히 다녔나? -_-;;)

언제 출간되었는지 모르겠지만, ps가 읽었던 책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와 같은 책을 물려받아 읽으면서도, 감정은 좀 미묘했다. 루인이라고 성적 스트레스를 안 받은 건 아니지만, 학원과 과외와 같은 경험에 있어선 이질감을 느꼈달까. 하지만, 이런 기억들이, 학원 안 다녀도 대학은 갈 수 있다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니다. 루인이 다닌 학교들은 입시학원에 안 다니는 이들이 상당수였을 뿐, 비슷한 시기에 사교육비가 얼마라느니 하는 얘기들, 학교에선 자고 학원에서 공부한다는 식의 얘기들은 언제나 주요뉴스였다.

이에 반해 요즘 초등학생들에겐, 학원엘 안 가면 놀 사람이 없어서 가야하고, 학원 한 두 곳이 아니라 대여섯 곳에 다니는 것이 기본처럼 여겨지는 상황이다. 물론 이런 식의 기사들이 특정 계급의 경험을 반영한다고 의심하지만(대여섯 곳의 학원에서 많게는 10곳의 학원에 다닌다는 식의 얘기는 그렇게 많은 학원에 다니고 사교육 시장이 엄청나단 걸 의미하는 동시에, 그 정도의 학원에 다닐 수 있는 계급/계층이란 걸 동시에 의미한다) 많은 사람들(혹은 학부모들)이 이런 기사를 접하며 조바심을 내고 그래서 어떻게든 학원에 보내려는 경향이 있는 건 사실이니까. 명절을 빌미로 만나는 먼 친척들 중에, 초등학교나 유치원에 입학할 정도의 나이인 아이가 있는 이들은, 항상 이런 사교육과 관련한 걱정을 토로하고. 약간 다른 맥락에서, 루인의 부모님은 루인이 어학연수는커녕 토익/토플학원에 한 번 안 간 걸로 꽤나 불안해 하셨다. 학원에 가야 영어 실력이 향상 된다는 건 부모님도 안 믿었지만, 어쨌거나 학원에 등록해야지만 요즘 추세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부모님이 안심할 수 있는, 일종의 보증수표였던 셈이다. 지금의 초등학생들이 불행하다 혹은 노는 방법을 잊었다고 얘기하고 싶은 게 아니라, 학원을 중심으로 어린 시절을 경험한 아이들은 나중에 어린 시절을 어떤 식으로 기억할지 궁금할 따름이다. 컴퓨터 게임만 할 줄 아는 아이들이 안타깝다면서 밖에서 뛰놀게 했다는 얘기, 아이들을 밖에서 뛰놀게 했더니 자식들이 좋아하더라는 얘기들 모두, 결국, 그렇게 논 ‘어른들’의 욕망을 반영한 건 아닌지 의심스러우니까. 그런 욕망으로 아이들을 통제하고 조정하려는 건 아닌지 의심스러우니까.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동심”을 투사하고 싶은 건 아닌지, 아이들에게 자신의 어린 시절을 박제해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어린 시절을 만들고 싶은 건 아닌지 의심스러우니까. 학원과 컴퓨터 게임으로 10대를 보낸 이들은 20대에 10대를 어떤 식으로 기억하고 경험할까.

날씨도 마찬가지다. 한 달 가량의 장마와 그 후의 후덥지근하고 뜨거운 햇볕으로 기억하는 여름을 어쩌면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지도 모른다. 여름의 따가운 햇살이나 봄/가을과 같은 날씨는 외국에 나가야 경험할 수 있을 뿐, 이젠 우기와 건기로, 여름과 겨울로 계절이 변할 테고, 계절과 관련한 얘기들도 사계절이 아니라 우기/건기, 여름/겨울로 변하겠지. 여름은 너무 덥고 겨울은 따뜻할 테고. 어쨌거나 사계절을 경험했다고 기억하는 루인의 계절 기억과, 사계절을 경험한 적이 없다고 여기는 이들의 계절 기억은 어떻게 다를까. 이렇게 다르게 경험한 사람들의 기억이 궁금하다. 한국의 특성으로 사계절로 꼽은 책들도 그 내용을 수정할 테고, 식물들을 비롯한 생태계도 서서히 변하겠지. 아마 10년 정도 지나면, 한국의 사계절을 묘사한 ‘과거’의 소설들은 다른 기후대에 있는 외국의 소설만큼이나 이국적이고 이질적이겠지. 그리고 루인 역시 10년 정도 지나면 사계절이 있었다는 사실을 잊거나 그저 아련한 옛날로 기억하겠지. 그때 만약 지금 이 글을 읽는다면, 낯설까? 기묘할까? 애늙은이 같은 글이라고 피식 웃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