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잔 B. 앤써니란 이름을 통해 여권신장운동을 다시 떠올리다

수잔 B. 앤써니(Susan B Anthony). 기억을 믿을 수 있다면, 미국 초기 여권신장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만화로 쓴 페미니즘 역사책에서 이 이름을 읽었다. 무슨 역할을 했는지 정확하게 기억나진 않지만 그 책의 저자는 중요한 인물이라고 기록했다. 물론 그 책을 읽은 이후, 기존의 미국 페미니즘 역사가 백인 중심의 역사란 사실을 배웠다. 앤써니보다는, 혹은 앤써니의 역할만큼이나 소저너 트루스(Sojourner Truth)가 중요한 인물이라고 배웠다. 실제 트루스의 글, “나는 여성이 아닌가”는 매우 감동적이다. (무리하면 트랜스젠더 맥락에서 좀 재밌게 해석할 수도 있다.)
이런 지식, 모두 몇 년 전의 일이다. 여성학/페미니즘이 나의 주요 전공 중 하나지만 트랜스젠더 이론과 좀 더 밀접한 글이나 책을 주로 읽는다. 트랜스젠더나 퀴어와 관련이 적은 글은 덜 읽는 편이다. 그래서 다 잊었다고 생각했다.
며칠 전 미국 구금시설의 역사 관련 글을 읽는데, 수잔 B. 앤써니가 등장했다. (이 이름을 읽으며 놀란 점. 내가 아직도 이 이름을 기억하다니!! 후훗. ;;;) 다시 등장한 앤써니는 유쾌한 모습이 아니었다. 1900년대 초, 노동계층 십대여성의 행동과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데 앞장섰다는 내용이었다. 여권신장운동 초기에(소위 제 1의 물결이라고 불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활동했던 (백인)여권운동가의 행동은 대체로 앤써니와 비슷했다. 그것은 정화운동이라고 부를만한 태도였다. 백인 중산층의 규범을 기준으로 다른 인종과 계급을 판단하고 처단했다. 십대여성이 ‘정숙’하지 않거나 성관계를 맺는다면 구금시설에 가두고 행동을 교정했다. 바느질하는 방법, 요리 등 가사노동 혹은 소위 ‘여성의 일’이라는 것을 가르치며 노동계급/비백인 십대여성을 관리했다.
여권신장운동 초기, 백인 여권론자의 활약을 마냥 부정할 수는 없다. 분명 긍정적 역할도 했다. 하지만 그 역할의 일정 부분은 백인 중산층 계급의 이해에 맞아 떨어졌다. 흑인 여성 노예의 성적 ‘유혹’에서 백인 남성을 보호하기 위해 흑인 노예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여권론자가 있었듯, 여권신장운동의 일정 부분은 특정 계급과 인종의 이득을 위한 것이었다. 물론 이런 제한적 운동이 그 자체로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다른 데 있다. 인종혐오, 계급혐오, 다른 말로 특정 인종과 계급의 이해에서 여권신장운동을 진행했으면서 그것을 유일한 여성운동으로 재현한 것이 문제다. 백인 중산층 여성이 아닌 여성운동가가 없었다는 식으로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문제다. 페미니스트가 순도 100% 정치적으로 올바른 사람일 수 없다. 아니 ‘정치적으로 올바른’이란 표현 자체가 허황되다. 그러니 여권신장운동을 한 사람이라고 혐오발화를 하지 않았을 거라고 믿을 수 없다. 문제는 그 발화를 어떻게 기록하는가다.
아무려나… 이렇게 과거에 알았던 이름을 다시 만나면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 확실히 즐겁다. 나의 배움이 매우 느려 몇 년에 한 번 업데이트된다고 해도, 예전 지식에 머물지 않았다고 자족할 수 있어 다행이고. ;;; 올해 안에 꼭 쓸 예정인데(공동으로) 구금시설의 역사는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관리하고 통제한 역사다. 그래서 재밌다.

잡담: 구금시설 결과보고서, 인생, 인건비

01
작년에 진행한 구금시설 인문강좌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하며 좀 괴롭다. 올해도 이 사업을 진행했다면 아마 즐거운 몸이겠지? 하지만 연속사업으로 지원했음에도, 섹슈얼리티가 왜 인문학인지 모르겠으며 인문학 확산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모르겠다며 올해는 떨어졌다. 할 말은 많지만 그냥 생략하자. 인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상당히 논쟁적인 이슈니까. 사람마다 달리 해석하니, 누가 옳고 그른 문제는 아닌 듯하다.
다만 무척 아쉽다. 학생들의 반응이 고무적일 정도로 좋았기에 더 아쉽다.
02
난 내 인생이 느긋하고 여유롭길 바랐다. 그냥 프리터로 최소한의 생계비만 벌며 살길 바랐다. 물론 2006년 이전까진 대충 그랬다. 좋아하는 책을 읽고, 읽고 싶은 책을 읽고, 빈둥거리기도 하고, 알바도 하면서 대충 그렇게 살았다. 하지만 2006년 이후 인생이 변했다. 다 활동판에 얼쩡거리면서 생긴 일이다. 아아.. 그때 그 모임에만 안 나갔어도.. 흑흑. 하지만 그 모임이 아니었어도 어떻게든 지금처럼 살고 있겠지?
아무려나 1월 말, 사업공모 프로포절을 작성해서 제출했고,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이것이 끝나면 연구논문을 공저로 하나 써야 하고, 2월 중으로 새로운 프로포절을 하나 써야 한다. 2월에 있을 강의 준비를 해야 한다. 2월 말에서 3월 초에 또 다른 뭔가를 준비해야 하고(이것은 보조라 부담이 덜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ㅠ), 제출한 프로포절의 결과에 따라 또 다른 프로포절을 준비해야 한다. 퀴어락 일도 해야 한다. 여기에 생계형 알바도 해야 한다. ㅠㅠ
내 인생, 어디로 가나요? 크크크. ㅠㅠㅠ
03
프로포절을 쓸 때마다 불만스러운 점은 도대체 왜 인건비를 책정하지 않는 것이냐!! 모든 사업은 사람이 직접 움직여야 하고, 그래서 전담 활동가가 꼭 필요하다. 그런데도 인건비를 책정하지 않는 것은 도대체 어쩌자는 것인지… -_-;; 생계는 알아서 알바로 해결하고 일은 열심히 하라는 건가? 뭔가 이상하지 않아?

유섹인 제2차 섹슈얼리티 워크샵 “피해자이면서 가해행위자가 된 십대 여성과의 만남”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 웹자보와 함께…
많이 와주시면 감사!!

==========================================================

유쾌한섹슈얼리티인권센터(유섹인)에서 주최하는 <유섹인 제2차 섹슈얼리티 워크샵 “피해자이면서 가해행위자가 된 십대 여성과의 만남: 십대 여성 구금시설에서의 인문학강좌, 그 성과와 한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얼마전 경기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에서 학생인권조례를 제정,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십대 학생의 인권과
학교에서의 삶이 다양한 방식으로 얘기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탈학교 십대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학교라는 이름의 구금시설에
머물러 있는 십대-여성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십대의 인권 논의는 많은 경우, 기존의 학교를 중심으로, 남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탈학교/구금시설 십대(여성)는 비행청소년, 문제아 정도로만 인식됩니다. 그들이 잘못한
것이라면서요. 그리곤 더 이상 얘기하지 않습니다.

외국의 경우, 많은 이론가들이 구금시설에 있는 십대 여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십대 여성이 가정폭력과 같은 폭력피해를 중단하기 위해 선택한 적극적 전략이 가출, 노숙과 같은 비행과 범죄로
분류된다고 지적합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요?

유섹인은 지난 1년간 십대 여성 구금시설에서 인문강좌를 진행하고,
멘토-멘티 관계를 형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는 29일 이 프로젝트의 내용을 여러분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유섹인 제2차 섹슈얼리티 워크샵

피해자이면서 가해행위자가 된 십대
여성과의 만남
: 십대 여성 구금시설에서의 인문학강좌, 그 성과와 한계

일시: 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18시-21시
장소: 서강대학교 마태오관 MA102호
주최: 유쾌한섹슈얼리티인권센터
후원: 한국연구재단

Workshop Program 진행/디디

Session 1
인문학강좌의 시작에서 현재까지, 남은 과제들
변혜정 서강대학교 성평등상담실 상담교수, 유쾌한섹슈얼리티인권센터 대표

인문학강좌의 성과와 어려움
박종국 정심여자정보산업학교 인문학강좌 담당자

Session 2
구금시설 십대 여성들을 만난 강사들의 소중한 경험
“선생님은 남자예요, 여자예요?: ‘다른’ 몸을 향한 궁금함 혹은 곤란함” 루인
“노브라는 충격…. 강의는 지겹지만 오매쌤은 보고 싶어요!!” 오매
“돈벌기와 섹슈얼리티, 어떤 관계가 있을까?” 볼피드

멘토들의 더욱 특별한 경험
토리, 앨, 디디, 히로리

십대 여성에 대한 다른 이야기
“학교에서 성을 이야기하다?” 우완
“성폭력 피해와 십대” 보짱

“정체성을 고민하다” 소윤
“미디어에서 십대의 성, 그러나 현실은?” 손희정

Session 3 사회/변혜정
다음을 기약하며: 꼭 짚고 싶은, 소중한 이야기
귀중한 시간을 내주신 여러분 누구나

#참가비용 없습니다!
원활한 워크샵 진행을 위해 아래의 연락처로 미리 예약 부탁드립니다.
참석하신 분들 중 추첨하여 선물도 드려요! 🙂

문의 0505-991-8075 이메일 sexuality@sexuality.or.kr 트위터 @Sexuality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