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에겐 여성구금시설이 안전할까? : 메모

트랜스젠더와 구금시설 논의에서, 트랜스젠더가 머물 구금시설은 어디가 좋을까,라는 논쟁이 있다. 이 논쟁에서 최선은 아니지만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수술을 하지 않은 모든 트랜스젠더는 여성 구금시설에 머물도록 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다. mtf지만 호르몬 투여만 했거나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남성 구금시설에서 성폭력 피해를 겪을 위험이 크다고 한다. (ftm은 말할 것도 없고.) 남성 구금시설의 경우, 힘의 위계, 남성성 위계를 규정하는 방법으로 성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여성스러운 게이나 mtf/트랜스여성은 성폭력 피해에 가장 취약하다. 그래서 여성 구금시설이 이들에게 안전하다고 논한다.
하지만 과연 여성 구금시설이 트랜스젠더에게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거나 더 안전할까? 아니, 이런 식의 논의는 정말 안전할까?
여성 구금시설이 더 안전하다는 논의는, 여성은 남성보다 덜 폭력적이라는 지배적 젠더 규범을 근거로 삼는다. 이런 논의는 지배적 여성성과 남성성을 재생산한다는 점에서 다소 위험하다. 미국 자료긴 하지만, 여성 구금시설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의 절반 정도는 교도관이나 공무원이 아니라 구금인이 가해자라고 한다. 물론 이 폭력의 성질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매우 논쟁적이다. 여성의 폭력성과 공격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소비되는가는 매우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니 여기선 생략. 다만 여성이 덜 폭력적이란 가정은 지배 규범적 여성성을 강화한다.
mtf 기준에서 여성구금시설이 안전할 수 있다고 치자. 하지만 ftm에게도 안전할까? ftm에게 남성 구금시설이 더 안전하다는 뜻은 아니다. 여성 구금시설 역시 안전하지 않다는 뜻이다. 이는 여성 구금시설이 여성성을 강화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여성 구금시설은 여성성을 규제하려는 목적으로 세워졌다). 여성 구금시설이 ‘다양한’ 젠더 표현을 보장할까? 여성구금시설에서 남성스러움은 처벌의 일종이다. 그래서 ftm에게 여성구금시설은 결코 안전하지 않다.
그럼 트랜스젠더 만의 교도소가 따로 있어야 할까? 글쎄…
-간단하게 메모하려고 썼는데, 쓰다보니 써야 할 원고의 일부가 되었다.. 크크. ;;

[남성성과 젠더] 관련 잡담

의외로 많은 분들이 책 [남성성과 젠더]를 사줬다. 어제 KSCRC 후원 겸 북콘서트 자리에서. 물론 북콘서트에서 책을 사겠다고 준비하고 왔겠지만, 그래도 후원콘서트장인데 책이라니… 크크. 나의 예상과 달리 많은 분이 책을 샀다. 그 중 몇 분은 콘서트에 참가한 필자에게 싸인을 받기도 했다. 덩달아 나도 싸인을 몇 번 했다.(사실 책 판매 담당이 나라서… 쿨럭.. ;; )
책은 이미 지난 주에 다 읽었다. 리뷰를 쓸까 말까 고민이다. 내가 공동으로 참여한 책이라 리뷰를 쓰기 참 멋쩍달까. 내가 참여하지 않은 책이라면 부담없이 리뷰할텐데…
아무려나 한 번 쭉 읽은 느낌은 대체로 좋다.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쉬움의 팔 할은 내 글에서 비롯하고. 그럼에도 ‘좋다’는 느낌이 든 이유는 이 책이 네 가지 주제를 아우를 수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즉, 젠더 이슈에 관한 책, 남성성에 관한 책, 퀴어이론에 관한 책, 트랜스젠더 이론에 관한 책으로 읽기에 좋다는 판단을 했다. 다른 말로, 젠더-남성성-퀴어-트랜스젠더 이론이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중첩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혹은 트랜스젠더 이론을 다룬 책 혹은 트랜스젠더 이슈와 관련해서 읽을 만한 책이 거의 없는 한국 상황에서 이 책은 조금이나마 갈증을 달랠 수 있다. 젠더이론 혹은 페미니즘/여성학 입문서를 읽고 나서 다음 단계로 읽기에도 좋다. 번역서가 아닌 한국어로 쓴 책 중에서 퀴어이론서로 권할 만한 책이 매우 드문데, 권할 만한 책이 생겼다는 점에서도 좋다.
[남성성과 젠더]의 아쉬움이나 비판지점을 지적하려면 너무 많다. 그럼에도 조금 후한 점수를 주기로 했다. 어쨌거나 뭔가 하나 생겼다는 게 중요하니까.
… 책은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팔고 있습니다… 크. ;;;
+
덧붙이면…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를 냈을 때와는 느낌이 많이 다르다. 그땐 책을 낸다는 것이 어떤 건지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그냥 낸다는 사실 자체가 낯설었다. 지금이라고 책을 낸다는 것이 어떤 건지 아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모르겠다. 그럼에도 뭔가 다른 느낌이다. 별다른 일이 없다면 여름이나 가을 초에 또 다른 책이 한 권(역시나 공저) 나올 예정인데 그땐 또 어떤 느낌일까?

잡담: 존 콜라핀토, 빈둥빈둥, 안중근의 (찌질한) 남성성과 김어준-남성연대

01
존 콜라핀토의 [타고난 성, 만들어진 성]은 젠더 이론을 공부하거나, 성차, 성별 관련 이슈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꼭 읽으시길. 상당히 논쟁적이고 문제가 많지만, 그럼에도 중요한 얘기를 많이 하고 있다. ㄱ. 젠더라는 개념을 만드는데 있어 의학의 역할을 짐작할 수 있고, ㄴ. 미국의 트랜스젠더와 인터섹스/간성 운동 및 이론에 중요한 인물을 소개하고 있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ㄷ.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을 인식하고 인간으로 해석하는데 젠더와 성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책 중에서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02
주말 이틀은 카페에서 보내고 싶었지만 비가 와서 집에 있었다. 덕분에 냥이와 빈둥빈둥. 캬악. ㅠㅠ
지금 비가 그쳐서 뭔가 먹으러 나가야 하는데, 아직 씻지도 않아서 나갈 수가 없다. 집에서 버티기엔 먹을 게 없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크크크.

03

안중근은 또한 자신에게 공손하게 대하지 않는 기생들을 때리던 “사내다운” 습성을 낭만적으로 회고하기도 했다. 기생들과의 관계를 즐기면서도 그들에게 훌륭한 남자와 결혼하고 “도덕의 길”을 따르라고 훈계함으로써 자신의 유교적 “체면”을 유지하려 한 것이다.
-박노자. [씩씩한 남자 만들기] 68-69쪽.

100년 전 남성성이 지금의 남성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건 무얼 의미할까?

어제, 토요일 아침. 라디오 상담코너. 내용은 남편이 장인장모보다 자기 부모에게 용돈을 더 많이 주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상담자는 세 가지 조언을 했다. 남편이 아직 유아기에서 못 벗어났고 철이 없다. 근본적으로 아내를 동등한 동반자로 안 보는 거다. 그리고 진행자가 급히 수습하느라 말을 다 못 했지만, 이런 남편과 계속 사는 건 말리고 싶다. 꽤나 정확한 분석이며, 안중근에게도 고스란히 돌려주고 싶은 말이다.

상담자는 김어준이었다. 김어준이라 할 수 있는 말이다. 상담자가 소위 여성으로 통하는 이라면, 방송에서 하기 힘든 말이다. 몰라서 안 하는 게 아니라, 뒷감당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악플과 인신공격이 뒤따르기 때문이다(군대를 비판한 EBS 강사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듯). 이런 비판조차, 적어도 방송에선 ‘남성’에게만 허용된다. 라디오를 들으며 시원했지만, 많이 씁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