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 단상: 생명과 윤리 이슈 – 질문만 던지기

얼마 전, 가슴 아픈 일이 있었다. 자세히는 언급하지 않으리라. 동거묘가 있는 입장에선, 행여라도 냥이가 외출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겠다고 중얼거렸다. 물론 동거묘가 잠깐 외출한 사이에 사건이 발생하는 일은 빈번하니 이번 일이 특별한 건 아니다. 이번 일로 유난스레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하지도 않았다. 그저 이와 같은 사건이 특별할 게 없음을 새삼스레 깨달았을 뿐이다. 그래서 더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했을 뿐이다.
 
다른 많은 사건처럼 그 사건도 여성혐오를 동반했다. 많은 이들이 가해자로 가정하는 이를 비난했다. 이런 비난의 언설이 불편하여, 그 사건을 외면했다. 아울러 그렇게 비난하는 이들의 불안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렇게 비난하는 행위를 통해 얻고자/보상받고자 하는 것이 무엇(윤리? 권력? 규범적 지위? 욕설 자체?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했다.
 
일각에선 채식-육식 논쟁이 벌어졌다. 모두가 예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흘러갔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가 별로 다르지 않다는 논쟁은 어김없이 그럼 식물을 먹는 행위는 정당하냐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동물학대와 육식의 연관성을 지적하는 언설에, 그럼 식물은 생명이 아니냐는 반론은 잊히지 않고 등장한다. 이 반론은 채식이 정치적 행위로 이해되기 시작한 그때부터, 음식을 먹는 행위가 더 이상 정치적이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리라(즉,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듯).
 
비록 이런 반론의 일부는 혐오발화에 가깝지만, 나 역시 가끔은 묻고 싶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가 무관하지는 않겠지만 둘을 동일시해도 괜찮은걸까? 둘은 정말 대응관계에 있는 걸까? 채식하는 사람도 동물을 학대한다는 식으로 말하려는 게 아니다. 동물학대와 육식행위를 동일시할 때 놓치는 부분, 동물학대와 육식행위를 동일시하며 그 대안으로 채식을 얘기할 때 놓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왜 채식이 대안이어야 할까? 난 잘 모르겠다.)
 
채식을 하는 이들 중 일부는 채식이 윤리적으로 정당하다고 얘기하며 채식행위와 육식행위에 윤리적인 위계(이른바 생명윤리)를 부여한다. 채식이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것. (최근에 와선 이런 주장을 자중하는 분위기지만..) 하지만 이런 윤리는 늘 동물이라고 불리는 범주의 생명과 식물이라고 불리는 범주의 생명을 구분하고, 둘 사이에 우열관계를 만든다. 이 우열관계에서 죽어도 괜찮은 생명과 죽으면 안 되는 생명이 정해진다. 하지만 누가 이 둘의 위계관계를 정할 수 있는 걸까? 누구의 편의일까? 나를 비롯한 모든 판단은 결국 인간이 기준이라는 점에서 인간중심이라고 비판하는 게 아니다. 인간중심이 아닌 것이 어디있으랴. 그저 채식에 윤리적 우위를 부여하는 이들에게 육식이 문제인 것처럼, 동물-식물의 생명위계를 가정하는 언설 역시 논쟁적이라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그리고 이렇게 위계를 설정하겠다면, 생명윤리에서 식물의 생명을 하위에 둘 수 있는 근거를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설득력이란 게 매우 논쟁적인 영역이라, 실현할 수 없는 영역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런 요청을 하고 싶다.
 
그리고 남은 질문에 나는 언젠가 어떤 모색을 하고 싶다. 지금은 나도 잘 모르겠다. 그저 동물학대-육식행위-채식행위의 관계를 좀 다른 방식으로 고민 해야한다는 고민만 있을 뿐. 뭐, 누군가 울림을 주는 그런 글을 쓰거나 이미 관련 글이 있어 추천해준다면 너무 고맙고!

+
이 글은 콩단백이란 글과 같은 날 썼다. 그런데 이제야 공개하는 건, 내용이 부담스러워서가 아니라 까먹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