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수배합니다

제목: 행복을 파는 여자 / 행복을 파는 여자들 / 행복을 사는 여자 / 행복을 사는 여자들

뭐 대충 이런 제목입니다. 상당히 오래 전에 기자가 썼다고 합니다. 전 순간 르포작가가 쓴 “서울서 팔리는 여자들”인가 했지만 아닌 듯합니다. 내용은 레즈비언 관계를 다뤘다고 하니까요.
혹시 관련 정보를 아시면 제보 부탁합니다!!

정보 습득 경위
: 한 손님이 대충 이런 제목으로 매우 오래되었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이 책을 찾았습니다(그러니 정확한 제목은 아니며 전혀 다른 제목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낯설었지만 찾았으나 없었습니다. 그래서 없다고 하니, 레즈비언 소설 혹은 레즈비언이 나오는 소설이라는데, 그이는 제가 레즈비언이란 단어를 모르는 사람으로 대하며 부연 설명을 하려고 하더군요. 그래서 더 들을까 하다가 관뒀습니다. 레즈비언 관련 소설이란 정보를 획득한 순간, 그 책이 있어도 없다고 말해야 하니까요. 하하. ㅡ_ㅡ;; 불량 점원! 그리고 다시 한번 열심히 찾았지만 역시나 없네요. 그래서 조금 전 검색사이트를 통해 확인했지만 보험설계사 자서전만 나오고 제가 찾는 책은 안 나와요.

혹시나 해서, 이 넓고 넓은 웹의 바다에서, 여러분들의 엄청난 정보력을 믿으면서 부탁합니다.
혹시 정확한 제목이나 관련 정보를 아는 것 있으신가요?

연애: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그리고 이렇게 부를 수 없는

01
ㅅ은 대학에 입학하고 두어 달 정도 지나, 동아리 선배 ㅁ과 사귀기 시작했다. 이 둘은 아마도 ㅅ이 졸업할 때까지는 연애관계를 유지한 듯하다. 같은 동아리에 ㅁ의 동기인 ㄴ은 ㅅ을 처음 본 순간 반했지만 고백이 늦었다. 망설이고 있을 때 ㅅ과 ㅁ이 사귀기 시작했고, 이후 ㄴ은 속만 태웠다. ㄴ이 ㅅ을 좋아한다는 건 ㅅ과 ㅁ을 포함한 동아리 사람들 모두가 알고 있었다. 하지만 ㅅ과 ㅁ이 헤어질 것 같진 않았다. ㄴ 역시 드러내놓고 ㅅ에게 감정 표현을 하진 않았다.

나는 그 동아리에 잠깐 속했다가 탈퇴했기에 이후의 자세한 소식은 모른다. 그저 몇 해 전, ㅅ이 결혼을 했다는 소식을 아는 사람에게 전해들었다. 상대는 ㄴ이라고 했다.

02
ㅇ과 ㅂ은 연애를 하고 싶다는 말을 했지만, 둘이 사귀지는 않았다. 이런 건 웹에서도, 오프라인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데, a도 b도 c도 연애를 하고 싶다며 커플들을 부러워하지만, 부러움을 표현하는 이들 각자가 만나고 연애를 하진 않는다. 지극히 당연한 이 풍경. 서로 연애를 하고 싶다는 푸념만 반복할 뿐이다.

다시 ㅇ과 ㅂ의 경우. 주민등록번호의 성별이 같은 ㅇ과 ㅂ에게 ㅊ은 서로 사귀면 어떻겠냐고 말했는데, 이 말과 동시에 둘은 “나는 동성애자가 아냐!”라고 답했다. 하지만 ‘동성’이 사귄다고 동성애인 건 아니잖아. ㅊ은 ㅇ과 ㅂ의 반응이 무척 흥미로웠다고, 내게 말해줬다.

나의 경우를 상상하자. 연애를 안 하고 있지만, 하고 있다고 치고. 나의 파트너가 레즈비언이라면, 바이라면, 이성애자라면 각각의 상황은 어떻게 다른 걸까? 이 모든 관계가 피상적으론 이성애관계로 보일까? 그렇다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곳에선 동성애일까? 레즈비언이 레즈비언과 연애를 한다고 반드시 그 관계가 동성애/동성“연애”일까? 레즈비언과 바이의 연애는 동성애일까, 양성애일까?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의 연애는 동성애일까, 양성애일까, 이성애일까? 아니, 다 필요없고 그냥 변태성애일까? 흐흐.

다른 한편, 나의 성적지향과 상대의 성적지향은 반드시 일치해야 할까?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의 연애를 상상할 때, 이성애 ‘여성’은 이 관계를 이성연애관계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성애 ‘여성’의 파트너가 레즈비언 트랜스며 ‘여성’보단 ‘남성’으로 더 잘 통하는 외모라면. 파트너가 여성으로 더 잘 통하는 외모라도 상관 없다. 만나는 둘(혹은 그 이상의) 사람 각자가 자신의 상황을 다르게 설명할 수 있지만, 다를 수 있는 가능성은 무시된다. 한 사람이 동성애자라면 상대로 동성애자, 한 사람이 이성애자라면 상대도 이성애자란 식이다. 개인의 외모로 젠더를 단정하는 것과 꼭 같다.

이런 고민은 일상 생활에선 크게 문제될 것 없지만, 그냥 개개인이 만나는 순간엔 문제가 안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설명을 해야 하는 순간, 누군가에게 ‘해명’해야 하는 순간 심각한 문제가 된다. 동성애자는 동성애자끼리, 이성애자는 이성애자끼리(그럼 바이는 누구와?) 만난다는 인식이 만연한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함을 설명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니까. 그럼에도 이성애 여성과 이성애 여성이 연애를 할 경우 둘의 관계를 어떻게든 분류해야 한다면 어떻게 부를 수 있을까? 글쎄 ….

03
암튼 제목처럼 저의 연애 경험은 아니었습니다. 요즘 연애하고 있다는 글을 기대하셨다면 낚이신 거죠. 케케. 😛

[영화] 은밀한 유혹Affinity

[은밀한 유혹Affinity]를 꼼꼼하게 살폈다. 세라 워터스의 원작을 바탕으로 Tim Fywell 감독이 만든 영화다. 폐막작이라 다행이었다. 일요일에 상영하는데 자막 작업이 토요일 낮에 끝났거든-_-;; 아쉬운 건, 미리 홍보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 단연 최고였는데!

영화를 15분 정도 남겨뒀을 때까지만 해도, 난 이 영화와 관련해서 쓰고 싶은 글은 다음과 같았다.

트랜스젠더 범주를 정의하는 문제는 상당히 많은 논쟁을 유발한다. 누구의 입장을 반영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범주가 되기 때문이다. 미국 학제의 맥락에서 트랜스젠더는 규범적이지 않는 젠더 표현을 실천하는 이들을 아우른다. 물론 여기서도 미묘하게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트랜스섹슈얼, 퀴어, 레즈비언, 게이, 바이, 드랙, 크로스드레서, 간성, ‘여성’인지 ’남성’인지 모호한 사람 등을 아우른다. 어떤 이들은 이 정의를 미국 백인에 제한한다. 다른 이들은 인도의 히즈라, 미국 원주민의 두 영혼의 사람들(버다치로 알려진), 동남아 지역의 카토이 등을 아우르기도 한다.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폭넓게 적용하는 몇몇 활동가들과 역사학자들은 잔다르크를 트랜스젠더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리고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확장할 수 있을 때까지 확장하면, 한국의 무당도 트랜스젠더일 수 있다. 물론 이는 미국의 백인 중심, 학제 중심의 해석이다. 그나마 이런 정의가 그들의 학제에선 어느 정도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하다.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란 말은 상당히 골치 아프다. 일단 학제에선 합의 과정은커녕 아예 관심 밖이다. 그리고 이 용어를 일상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이들은, 모두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합의가 불가능하다 싶을 정도로. 그래서 더 즐겁기도 하다. 생생하니까. 각자의 입장을 좀 더 활발하게 드러낼 수 있으니까. 어떤 의미를 암기하는 식으로 배울 필요 없이 개개인의 경험 속에서 정의할 수 있으니까.

용어 정의를 둘러싼 논쟁은 잠시 접어두고,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비규범적인 방식으로 젠더를 표현하는 이들로 정의하고, 무당까지도 포함한다고 치자. 그렇다면 영화 [은밀한 유혹]은 트랜스젠더 영화로 해석할 수 있다.


난 이 영화의 감상문을 이런 내용으로 시작하려고 했다. 하지만 마지막 15분을 마저 살폈을 때 이렇게 시작하면 안 된다는 걸 깨달았다. 그렇다고 이 영화에서 ‘트랜스젠더 실천’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건 아니다. 표면적으로 레즈비언 관계를 다루는 이 영화를 트랜스젠더 영화로 독해할 수 있었던 건 어째서일까.

줄거리를 대충 쓰면, 일단 시대적 배경은 1870년대. 셀리나 도즈란 영매가 살인죄로 여자 감옥에 갇혀 있다. 이 감옥에 마가렛이 수감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일을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도즈를 만난다. 둘은 서로를 알아 가는 과정에서 사랑에 빠지고, 마가렛은 영매들의 세계를 배워간다.

[현재 이 영화는 개봉하지도 않았고 개봉 일정도 잡히지 않은 것 같으며, 책도 한글로 옮기지 않은 상태라 스포일러 남발합니다. 알아서 피하세요. :P]

내가 주목한 부분은 도즈의 영이 피터란 남성적인 존재란 점이다. 무당으로 치면, 주민등록번호 2번인 무당이 모시는 신이 주민등록번호 1번인 사람이랄까? 여성과 남성으로 개인을 분명하게 나누는 사회에서 도즈와 피터는 서로 다른 성별 번호를 부여 받은 사람이다(이런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당시 서구에서 이런 신분제도가 있었다는 건 아니다). 피터는 도즈의 몸을 매개하고, 이 과정에서 도즈는 피터를 체화해서 피터로 행동한다. 도즈가 피터를 불러들이지 않을 때와 피터를 불러 들여 도즈의 몸을 매개로 피터로서 말을 할 때, 도즈의 목소리부터 행동까지 상당히 많은 부분이 변하는데 이 과정이 묘하게 성별 전환과 닮았다. 비록 피터를 통한 젠더 전환/변화가 ‘영구적인 사건’이 아니라 ‘일시적인 사건’이라 해도 나는 이것을 트랜스젠더스러운 실천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고 느꼈다. 아울러 피터가 도즈의 영으로서 평생 함께 한다면, 이 또한 ‘영구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도즈는 접신 경험을 통해 ‘남성다움’을 실천한다. 주변 사람들이 도즈가 영매란 사실을 알고 경외하는데, 이를 통해 도즈는 빅토리아시대의 여성다움을 실천하지 않는다. 이는 도즈의 젠더 실천을 상당히 흥미롭게 해석할 여지를 준다. 그렇다고 내가 이 영화를 레즈비언과 ftm/트랜스남성간의 경계분쟁을 논하려는 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 학제의 개념으로서 트랜스젠더 실천이 상당히 일상적으로 발생한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

다른 한편, 젠더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아가는 이유로 영을 소환했다는 혐의도 강했다. 내가 문제가 아니라, 영에 씌어서 나도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도즈는 살인죄로 기소되었지만, 자신이 살인한 것이 아니라 피터가 살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접신 상태에서 피터를 통제할 수 없었고, 그 과정에서 피터가 살인을 저질렀다고. 이는 도즈의 젠더 실천이 규범적이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즉, 도즈는 자신을 영매로 소개하는 순간부터, 자신의 행동이 상당히 자유로워진다는 걸 알고 있었다.

[이제 본격적인 스포일러. 영화의 핵심이기도 함]

문제는 후반부 10분 정도를 남겨 놓고 등장하는 반전에 있다. 도즈는 소수의 사람들을 모아선 자신의 접신 경험을 공연한다. 이때 도즈 뒤에 피터가 등장하고 도즈의 입을 매개로 말을 한다. 근데 피터는 사실 도즈의 파트너, 바이거스였다. 바이거스가 피터로 분장해선, 영혼인 것처럼 사람들 앞에 나타난 것. 이렇게 되면 도즈가 영매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도즈가 진짜 영매인지 여부도 중요하지 않다. 도즈는 자신을 영매로 소개함으로써 사회에서 공인 받을 수 없는 존재가 되는 동시에 행동 제약이 줄어드는 것을 선택했으니까. 이제 방점은 바이거스의 행동에 찍으면 된다.

바이거스는 영화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가능하게 하는 인물이지만 실제 등장하는 분량은 상당히 적다. 배후에서 모든 것을 움직이기에 사건을 조율하고 지배하지만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국에 머물 때의 드라큘라를 닮았기도 하다. 일종의 안개 같은 역할이다. 그래서 바이거스의 행동을 분석하는 건 쉽지 않다. 그저, 피터로 분장했을 때 바이거스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적어도 영적 사기를 위한 단순한 도구 같지는 않다. 피터가 바이거스가 분장한 인물이란 게 밝혀지는 사건에서, 피터는 “여기까지 왔는데 그냥 갈 순 없지!”란 말을 한다. 바이거스는 항상 도즈 옆에서 살았기에 피터가 특별히 멀리서 온 건 아니다. 피터의 모습으로 분장했을 뿐이다. 그런데도 아주 멀리서 온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분장에 걸리는 시간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피터로서 바이거스와 하녀로서 바이거스, 도즈의 파트너로서 바이거스가 상당히 다른 자아들이란 걸 암시한다. 적어도 피터로 변해서 나타난 바이거스는 피터로 변장했거나 분장한 바이거스가 아니라 피터, 그 자체이다. 이런 점에서 피터/바이거스의 변환 관계 역시 의미심장하다.

이런 식으로 해석한다고 해서, 도즈와 피터/바이거스가 트랜스젠더라고 주장하는 건 아니다. 그들의 어떤 행동을 트랜스젠더스러운 실천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것일 뿐.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고민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런 게 중요한 것 같지도 않다. 그저, 영화 속 시대를 살고 있는 비규범적인 존재들이 생존을 위해 사용한 전략들이 중요하다. 그 전략들은 그 사회의 규범과 규범의 허점을 알려 주기 때문이다.

암튼, 정말 흥미롭고 재밌는 영화다. 정식 개봉을 안 한다면 비공식 개봉이라도 했으면 좋겠다.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