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수업 쪽글은 나중에 한 번에 올릴까 했는데요… 오늘까지 잇달은 글 마감과 수업 준비 등으로 정신이 없어서 결국 이번에 또 수업 쪽글로.. 하하..;;;
그리고 댓글 감사히 잘 읽었어요.. 답글은 곧 달게요.. 죄송해요… ㅠㅠㅠ
===
2013.10.15. 화. 15:00-  벤야민의 이야기꾼.
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루인
과거에 있었던 얘길 어떤 사람에게 들려줄 때가 있다. 과거 겪은 사건이나 운동의 역사 같은 것, 내가 참여해서 이미 알고 있다고 여기는 것 혹은 나도 전해들은 어떤 것을 마치 증언처럼 혹은 옛날 얘기처럼 들려줄 때가 있다. 그때의 일을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마치 그 일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것처럼. 그리고 어느날 그 일을 겪던 당시에 쓴 기록물을 읽는다. 나는 두 가지 다른 사건을 겪은 것만 같다. 활자로 기록된 것과 구술로 회자되는 것은 서로 다른 일이다. 활자로 기록된 사건은 그 기록 당시의 감정을 반영한 사건이고, 구술로 지금 애기하는 사건은 회고하거나 회상하는, 기억에 의존하는 사건이자 그 동안(즉 더 많은 시차와 경험)의 역사/시간이 침윤된 사건이다. 그래서 구술하는 이야기는 오래된/널리 회자되는 이야기이자 구술하는 그 찰나에 처음 쓰는 이야기다. “했던 얘기를 또 하고 또 하고 또 하는 것” 그래서 지겹도록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는 것 같아도 구술하는 동안 이야기는 매번 새롭게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이미 구성된 것 혹은 확정된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할 때의 나의 상태, 상대방의 반응으로 구성되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다. 그리하여 이야기엔 역사가 있고 시간이 있다.
그렇다고 활자로 기록된 글이 언제나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건 아니다. 벤야민은 이를 다시, 이야기와 정보로 구분한다. 이미 해석/설명되어 도착하는 순간 그 가치를 상실하는, 그리하여 청자나 화자가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는 정보와 매 순간 새롭게 해석되는 이야기는 다르다고 벤야민은 얘기한다. 이를테면 벤야민이 이름을 언급한 에드가 앨런 포의 「고자질하는 심장」이 그렇다. 별다른 해설/설명 없이 이야기만 있는 이 단편소설를 독자는 살인범의 죄의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강박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혹은 또 다른 내용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도 비슷하다. 이 이야기를 독자는 근대 기술 발전의 공포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페미니즘 작품으로 독해할 수도 있고, 동성 성애 관계로, 재생산을 둘러싼 공포로,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로, 채식주의자의 이야기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청자/독자에 따라 전혀 다른 작품으로 해석되며 시간이 지나도 그 생명을 생생하게 유지한다. 이것은 정보와 달리 이야기가 청자/독자의 개입을 통해 새로운 텍스트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야기는 읽는 것이 곧 쓰는 것인 찰나에 존재한다. 이야기는 역사성과 함께 바로 지금이라는 시간에 구성된다.
벤야민의 이야기는 활자로 구성되지 못 한, 때론 정보로도 구성되지 못한 타자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힘을 제시한다. 많은 타자의 기록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기록되거나 그 시기를 살아온 사람들의 기억에 의해 구술되고 ‘전설’로 회자된다. 기억 속 사건의 시기는 정확하지 않고 선후 관계도 얘기할 때마다 바뀐다. ‘그럼에도’가 아니라 그리하여 타자의 이야기를 듣는 순간, 우리/나는 타자의 역사를 내가 겪는 것처럼 상상할 수 있다. 혹은 내가 겪고 있는 일처럼 설레고 또 그 이야기에 기뻐한다/슬퍼한다. 내 몸의 경험과 엮어 ‘나’의 역사로 쓸 수도 있다. 역사쓰기는 상상하기라고, 상상력 없는 역사쓰기는 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나는 구전으로만 회자되는 혹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남아있는 타자/나의 이야기를 상상력이란 실과 바늘을 이용해 역사란 형태로 직조한다. 그러니 이야기하기는 역사쓰기다. 비규범적이라고 혹은 주류가 아니란 이유로 늘 은폐되었다고 하면서도 오래 전 타자의 이야기가 지금도 구전될 수 있다는 것, 많은 시간이 지나서라도 다시 들려질 수 있다는 것, 이것은 이미 정리되어 암기해야 하는 역사가 아니라 오랫동안 입으로 전해지는 ‘소문’ 속 타자의 역사, 이야기의 힘인지도 모른다.

타자/퀴어의 역사쓰기

지난 주 수업 때 제출한 쪽글입니다. 매주 제출이라 매주 쓰고 있는데 일주일에 하나 씩 공개할지 꿍쳐 뒀다가 새로 블로깅하기 귀찮을 때 할까 고민이지만요.. 으하하. ;;;
암튼.. 고민이 얕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저도 수긍할 수밖에 없고요. 상상력이 얼어버려서 고민을 밀고 나가지 못 했거든요.. 하하 ;;;
===
2013.10.08.화. 15:00-
타자/퀴어의 역사쓰기
-루인
타자가 처해 있는 “예외상태가 상례”(337)라는 건 “야만의 기록이 아닌 문화의 기록이란 결코 없다”(336)는 뜻이기도 할 터다. 타자의 역사, 야만의 기록은 지배 규범적 역사와 별개로 존재하지 않는다. 지배 규범적 역사는 타자(의 역사)를 억압하며, 그럼에도 타자를 그 자신의 토대 삼으며 구성한 시간이다. 문화의 역사는 지배자의 감성으로 구성한 역사이자(336) 타자를 예외 취급하며 구성한 시간이다. 그러니 타자는 별개의 존재 같지만 이 사회 질서에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타자는 이 사회의 규범을 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하지만 마치 예외처럼 취급되어 별도로 인지될 뿐이다.
소위 여성이나 퀴어에겐 종종 “예전에 비하면 지금 많이 좋아지지 않았느냐”는 말을 한다. 예전에 비하면 좋아졌다는 식의 언설은 진화론적, 단선적 시간, 그리하여 열악한 과거, 현재와 단절된 과거를 상정한다. 하지만 이런 시간은 소위 얘기하는 남성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남성은 늘 예전보다 지금이 ‘열악’하거나(“예전엔 남편의 말이 하늘 같..”) 남성의 현재는 과거의 남성이 아니라 다른 남성의 현재와 비교된다. 소위 여성이나 퀴어의 단절된 과거가 현재보다 열악하다고 가정하지만, 그때가 정말 지금보다 열악했다는 증거는 없다. 이미 기록이/역사가 없(다고 여기)는 존재기에 현재의 재현이 전부다. 그 과거는 구체성 없이 막연한 형태로 존재한다. 혹은 지배적 역사/문화의 기록에 누락된 형태로만 존재한다. 그리하여 그저 지금 이 순간 뿐이라서 “인용할 수 있는 것”도 없는 존재…
물론 타자도 ‘역사’가 있다. 퀴어가 늘 듣는 질문 “넌 언제부터 네가 퀴어란 걸 깨달았니?”는 퀴어의 기원, 개인의 역사를 묻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질문을 비-퀴어는 받지 않는다. 그리고 이 질문의 대답은 대체로 어떤 규정에 따라 평가받는다. 규정된 서사로 구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존재 자체를 의심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퀴어에게 혹은 타자에게 부여된 역사는 동적이고 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것, 박제된 것이다.
하지만 역사가 지금시간의 구성 대상이고(345), “역사적 인식 주체가 투쟁하는, 억압받는 계급 자신”(343)이라면 역사는 타자의 맥락에서 재구성되어야 하거나 재구성될 수 있다. 비록 현재의 지배 규범으로 유통되는 역사가 지배자의 통치를 돕고 지지하는 역사, 지배하는 자에게 감정이입해서 기술된 역사라지만, 이 역사는 또한 타자의 역사란 점에서 그러하다(336). 그리하여 타자/퀴어의 역사를 인용가능한 것으로 만든다면, 퀴어/타자의 역사를 “성좌구조”(349)에 배치할 수 있다면?
도서관에서 책을 뒤적인다. 1980년대 출판된 책을 지나 1970년대 출판된 책의 목차를 훑는다. 없고, 없고, 없다. 없는 와중에 드물게 있다. 드물게 불쑥 튀어나와 지금의 나와 조우한다. 1970년대에 출판된 퀴어 관련 기록이 2013년의 나와 불쑥 조우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긴 과거가 지금 이 찰나에 ‘현재’로 등장한다. 그리고 나는 ‘나’의 옛시간과 만난다. 나는 내가 태어나지 않은 시간에 존재하고, 내가 태어나기 전의 기록은 지금 이 순간 다시 숨쉰다. 물론 이 기록은 단절 없이 지금과 매끈하게  접합하진 않는다. 하지만 이 기록은 타자의 역사, 혹은 역사를 ‘인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바꿔낸다. ‘구원’되지는 않았다고 해도 그렇게 불쑥 튀어나온 역사의 흔적은 기존의 역사를 다시 인식하도록 하고 다시 쓰도록 한다. 그 한두 구절 속에 역사의 새로운 국면이 움트고 있다. 어쩌면 나는 역사에서, 과거에서 구원 혹은 희망을 찾는 건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