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캔디레인, 노 엔드, 뉴 월드: 퀴어영화제 SeLFF 상영작

헝 아이 첸Hung-I Chen [캔디 레인]
로베르토 쿠질로Roberto Cuzzillo [노 엔드]No(End, Senza Fine)
Etienne Dhaene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

어제까지 퀴어영화제, SeLFF에서 상영하는 세 편의 영화를 꼼꼼하게 살폈다. 말 그대로다. 어떤 영화는 5분 정도의 분량에 한 시간이 걸렸다. 어떤 일로 꼼꼼하게 살펴야 했다. ;;

[캔디 레인](Candy Rain)을 살피는 시간은 내내 유쾌했다. 이야기와 영상 모두 감각적이다.
[캔디 레인]은 기본적으로 네 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때 행복한 사람, 혼자 있을 때 행복한 사람, 함께 하고 싶지만 함께 할 수 없어 불행한 사람, 함께 하고 싶은 사람과 함께 있지만 행복하지 않은 사람. 이렇게 네 종류의 사랑 이야기가 느슨하게 이어져 있다. 영상의 색채가 같은데도 에피소드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는 건 이 영화만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네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개그코드는 완전 내 취향이다. 흐흐. 살피는 내내 계속해서 키득 거리며 웃었다. 어떤 장면에선, 앉아 있는 장소가 도서관 혹은 공공장소란 사실을 잊고 박장대소를 할 뻔 했다. 주변 사람들에게 너무 미안했지만, 손으로 입을 가리고 연신 웃었다.
두 번째 에피소드와 네 번째 에피소드에 공감했다.
소개글은 여기

다른 두 편은 인공수정과 아동양육 이슈와 관련 있다. 파트너 관계에서 아이를 갖기로 결정하고, 아이를 갖는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다양할 테다. 어떤 이들은 의료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입양 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대리모’를 고용할 수도 있고, 그리고 …. 두 편의 영화는 서로 다른 이슈를 전하고 있다.

[노 엔드](No End, Senza Fine)는 인공수정을 하기까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공수정을 하고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건 깔끔하게 줄였다. 인공수정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다뤘다. 아이를 갖기로 했을 때, 부모의 반대를 직면할 수도 있다. 이건 두 영화 모두 같다. 문제는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파트너에게 죽을 수도 있는 병이 생겼을 때, 이 글을 읽는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유사한 주제를 다룬 영화들에서, [노 엔드]의 변별점은 이 부분이다. 아이를 갖기로 합의했는데, 파트너가 죽을 수도 있는 병에 걸렸다는 걸 알게 된다면 어떤 선택을 할까? 참, 이 영화에선 인공수정 방법으로 의료기술을 사용한다.
소개글은 여기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의 초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아이를 갖기로 결정한 후 이성애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해소과정이다. 다른 하나는 정자를 제공한 ‘아버지’의 문제다. 레즈비언 관계에서 임신을 한 사람과 정자를 제공한 타인은, 현재의 가족개념에서 어떻게든 연결이 된다.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한 사람은 엄마로 불릴 것이고, 정자를 제공한 사람은 아빠로 불릴 것이다. 그럼 임신한 사람의 파트너는? 아이의 엄마인 것 같기도 하고, 아빠인 것 같기도 하고, 아이와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지만, 또한 완전한 타인 같기도 하다. 정자를 제공한 이가 ‘아버지’로서 자신의 역할을 요구한다면 파트너의 소외는 가중된다. 이 영화는 이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영화에서 선택한 인공수정 방법은, 직접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꽤나 코믹하다. 놓치기 아쉬울 수도 있다.
두 영화를 살피면서 인공수정이슈와 파트너 관계에선 임신을 할 수 없어 다른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관계를 새롭게 고민할 수 있었다. 공동체, 관계, 아동양육, 인공수정, 출산, 엄마노릇, 아빠노릇과 같은 이슈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상당히 흥미로울 듯하다. 커밍아웃이란 주제에 관심 있다면 [뉴 월드]의 몇 장면들이 인상적일 것 같다.
소개글은 여기

암튼 세 편의 영화를 살핀 후, 좋은 영화의 기준이 조금 바뀌었다. 이야기가 탄탄하고 편집이 잘 된 영화가 좋은 영화일 수 있지만, 이제부턴 대사가 적은 영화가 좋은 영화다. ㅡ_ㅡ;; 아, 무성영화 만세!! ;;;;;;;;;;;;;;;;;; 흐흐.

이쯤해서 고백하자면, SeLFF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자막을 제작하고 있다. 덕분에 네 편의 영화를 미리 살피는 행운을 잡았다. 위의 영화 평은 준 내부자의 입장에서 쓴 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호하다. 아마 단순 관객으로 영화를 접했어도 비슷한 글을 썼을 거 같다.

포스터 및 프로그래머 추천작은

[#M_ more.. | less.. | ..



_M#]

[영화] 기담

[기담] 2007.08.06.월, 15:55, 아트레온 7관 9층 J-5

일전에 읽은 [검은 집]은, 어쩌면 마지막 부분만 없었어도 그럭저럭 괜찮은 영화였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욕으로 느껴지는 사족을 덧붙임으로서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겼다. ([검은 집]을 언급한 이유는 따로 있다.)

오전 회의를 하고 나온 길에, [기담]을 읽었다. 욕심을 부리지 않으면서도 꽤나 괜찮은 영화를 찍었구나 하는 감탄. 우울증적 사랑을 이렇게 근사한 이미지로 만든 역량에 일단 박수를! 장르 상 이 영화는 “공포”란 형식으로 포장하고 있지만, 비록 영화 내용 중에 공포가 나오긴 하지만, 공포가 초점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지독한 집착, 그리고 사랑이라는 우울증적 통합을 공포라는 도구 혹은 형식을 사용해서 그리고 있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감독이 공포를 의도했다면 꽤나 미안한 말이지만, 공포보다는 서사를 전개하는 방식, 이미지를 그려가고 이미지를 통해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 등이 더 매혹적이고, 그러다보니 공포 외적인 부분들이 더 인상적이다. (굳이 장르를 나눌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그렇게 의미 있는 말은 아니네;;)
(이 영화의 경우, 줄거리 설명보다, 이미지 한 컷이 더 효과적이어서 스틸컷을 찾아봤는데, 괜찮은 게 없네… 아쉽…)

#이제부턴 스포일러 있음.

이 영화는 총 세 개의 에피소드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진행하는데, 루인으로선, 인영(김보경 분)과 동원(김태우 분)의 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죽은 동원을 자신(인영)과 동일시하다, 동일시한 동원은 살아있고 자신(인영)이 죽은 것으로 믿는 과정. 그리하여 죽은 사람은 동원이 아니라 자기 자신인 인영이고, 동원으로 살아가며 죽은 인영이 유령으로 나타났음을 깨달았을 땐, 죽을 때까지 헤어지지 말자고 약속한다(둘은 완벽하게 합치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끝까지 인영은 죽은 유령이며, 살아있는 자기(이땐 동원)의 속에 들어와 내(이땐 동원)가 환각을 일으키도록 하는 존재라고 믿는 인영의 모습을 보며, 아팠다. 아니 슬펐다. 아니, 그냥 울지도 못하고 체한 감정이었다.

공포의 코드들이 다소 진부할 수는 있다 해도, 영화의 과정에서 무섭기도 하거니와, 그 공포가 끔찍하거나 죄악으로서의 처벌의 의미가 아니라, 슬픔이란 점에서 나쁘지 않았다.

상대방을 완벽하게 자신으로 믿으며 진짜로 죽은 사람은 자신이라고 믿고 행동하는 장면들 때문에, 한 번 더 읽고 싶은 영화다.

그리움, 사랑, 우울증

진이정은 지장경에서 그리움이란 단어를 발견하고 울었다고 했다. 보살도 그리움에 울었다고 했던가, 그리움으로 윤회한다고 했던가….

북향인 사무실에서 버틀러를 읽다가 (짝)사랑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을 발견하고, 상당히 위로 받았다. 그러며 진이정이 떠올랐다.

만약 무언가를, 발달단계처럼, 어떤 단계로 나눠서 설명해도 괜찮다면, 우울증을 사랑의 “완성”으로 읽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런 식으로 얘기하지 않는다고 해도, 우울증이 자기처벌이 아니라 자기보상의 형태라면, 대상을 상실한 혹은 대상에게 다가가길 포기한/고백하지 않는 사랑의 우울증은 가장 멋진 형태의 “보상”임을 깨달았다. 당신과 내가 합쳐진 상태, 더 이상 당신과 나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 더 이상 그리워할 필요 없다고 말하고 싶은 상태…. 하긴, ㄹㄲ은 (“이성애”) 사랑 자체가 우울증이라고 말했지만[물론 이건 전후 맥락을 몽땅 무시하고 쓴 것임].

삶을 이끌어 가는 힘은 그리움인 것 같다고…. 그리움만이 우리를 윤회케 한다고 했던가, 기억이 잘 안 난다. 당신을 그리워하는 힘, 우울증의 윤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관련 있을 법한 글: 프로이트의 애도/슬픔과 우울증, 그리고 루인
관련 글: 짝사랑은 성적 지향성이 될 수 없을까

키워드: 짝사랑, 짝사랑이라는 섹슈얼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