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G+에 다음과 같은 메모를 남겼다.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 여성칸을 만들겠다는 방안은, 예방의지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관련 이슈를 진지하게 고민하기 싫으며, 대충 구색맞추겠다는 안일함을 표현한 것 뿐이다. 이런 방안을 내면서 안 부끄러웠을까?( http://goo.gl/YD4za )
글의 발단은 서울시에서 지하철에 여성전용칸/여성안전칸을 만든다는 기사다(http://goo.gl/f61R0). 지하철 내 성폭력 사건을 줄이겠다는 시장의 의지에 따라 추진에 적극적이라고 한다. 비판 거리는 차고 넘친다. 이렇게 고민 없고, 철학 없는 정책이라니…
글로 남긴 나의 첫 번째 반응은 G+에 쓴 메모지만, 기사를 읽고 가장 먼저 떠오른 걱정은 다른 거였다. ‘트랜스젠더(mtf/트랜스여성)는 어떡하지?’ 의료적 조치를 선택하지 않거나, 아직 하지 않았거나, 이제 막 시작해서 남성으로 통하는 mtf/트랜스여성은 여성전용칸을 사용할 수 있을까?
트랜스젠더 관련 특강을 하면, 늘 하는 얘기가 있다. 화장실을 비롯한 몇몇 공간의 젠더 구분이 유발하는 이슈다. 여성화장실, 남성화장실과 같은 공간 구분은 트랜스젠더를 곤란하게 만들고 모든 개인에게 규범적 젠더를 내면화하도록 한다. 머리카락 길이가 매우 짧고 남자처럼 보이는 여성이 여성화장실을 사용하기 쉽지 않고, 여성스러운 남성이 남자화장실을 사용하기 쉽지 않다. 화장실을 비롯하여 젠더 이분법으로 나뉜 공간은 이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적 젠더를 실천하도록 하는 일상 장치다.
비단 이분법으로 분명하게 나뉜 공간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용공간 역시 마찬가지다. 전용공간은 특정 젠더를 위한 공간이어서 문제라는 게 아니다. 어떤 젠더를 배제하기 때문에 문제인 것도 아니다. 전용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젠더의 범위를 매우 협소하게 규정하기 때문에 문제다. 가장 진부한 질문을 던지면 다음과 같다. “여성전용공간이 얘기하는 여성은 누구인가?” 주민등록번호 상의 성별이 2/4/6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 그렇다면 ftm/트랜스남성은 여성이 아니지만 여성전용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럴 때 그 공간은 ‘여성전용’공간일까? 그렇다면 겉모습이 여성으로 통하는 사람의 공간? 앞서 말했듯 남성으로 통하는 mtf/트랜스여성은 매우 곤란하다. 모든 mtf/트랜스젠더에게 의료적 조치를 요구하는 것은 더 많은 논쟁거리를 낳지만 여기선 생략. 다시, 자신을 여성으로 정체화 하는 사람? 그렇다면 피상적으로 ‘여성전용’공간이란 구분이 무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책으로, 주민등록번호 상 여성이지만 트랜스여성은 예외적으로 출입 가능? 그럼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트랜스젠더는 행사진행요원에게 자신이 트랜스젠더라고 밝혀야 하는 걸까? 다른 말로 그 행사에 참가하는 모든 구성원에게 ‘저는 트랜스여성이에요’라고 대대적으로 알려야만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밝히길 원한다면 밝힐 수도 있겠지만 밝히길 원하지 않는 사람도 차고 넘친다. 전용공간 역시 지배 규범적 젠더를 실천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밖에 없다.
지하철에 여성전용칸이건 여성안전칸이건 어쨌거나 젠더 구분 공간이 발생했다고 치자. mtf/트랜스여성은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을까? 내 상상력에 존재하는 mtf/트랜스여성의 상당수가 사용할 수 없다. 그러니 나의 반응은 간단하다. 그런 정책은 매우 폭력적이라고(이런 표현 참 오랜만이네..; ).
+
댓글을 읽으며 좀 웃겼다. 서울시 시장이 밀고 있는 정책인데 욕은 여성가족부가 먹고 있다… 흠… 제목만 읽고 댓글 쓴다는 말이 사실이었다…
++
몇몇 댓글은 ‘남성도 매너손으로 불편하니 남성전용칸을 만들어라!’고 주장한다. 가해자로 의심 받지 않기 위한 행동(성폭력의 복잡함을 고민하길 바라는 건 아니니;; )과 피해를 겪지 않기 위한 행동을 동일시하는 언설은 매우 곤혹스럽다. 아… 가해자의 인권, 수용인(구금인)의 인권, 피해경험자의 인권 논의가 매우 지저분해지면서 논의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거야… 아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