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의 아내다, 감상

지난 달, 연극 <나는 나의 아내다>를 봤다. 그것도 두 번.. 한 번 보고 뭔가를 확인하고 싶어서 한 번 더 봤다. 그러고 나서 책을 샀다. 연극 대본과 샬로테의 자서전. 이 연극으로 나중에 글을 쓰고 싶다는 뜻인데…
기본 정보는 http://goo.gl/UVGDE
기본적으로 내용은 재밌다. 두 시간 동안 진행하는 연극인데 언제 두 시간이 지나가나 싶게 금방 지나갈 정도다. 기본 줄거리는 작가 더그가 게이-트랜스베스타잇인 샬로테를 인터뷰하는 내용이고. 게이 남성과 관련한 연극이 일정 수요를 지닌다는 점에서 상연할 수 있었으리라. 이런 시장에서 이 작품이 올랐다는 건 기쁜 일이긴 하다. 무엇보다 내용을 알 수 있다는 점이 좋은데… 좋은 점이나 의미 분석은 대본을 직접 읽고, 샬로테의 자서전을 읽은 다음에 다시 하기로 하고… 몇 가지 아쉬운 점과 고민인 점 먼저 쓴다면…
우선 번역 문제. 연극 중간에 마그누스 히르쉬펠트의 책이 나오는데, 독일어 제목은 <Die Transvetite>인데.. 이걸 독일어로 한 번 읽은 다음 한국어로 “동성애에 대하여”라고 말한다. 맙소사. 처음엔 이것이 더그 라이트가 쓴 대본에도 이렇게 나오는 줄 알았다. 그래서 판단을 보류했는데… 정확하게 찾은 건 아니고 대본을 대충 넘겨서 해당 부분으로 짐작하는 구절엔 별도의 영어 번역이 없다. 독일어 그대로 적혀 있다. 이 말은 “동성애에 대하여”가 한국어 연극에서 추가되었다는 뜻이다. 몇 가지 가능성은 있다. 연극 기획단에서 트랜스베스타잇의 뜻을 정확하게 몰랐다거나 한국 독자를 ‘배려’했거나. 즉, 트랜스베스타잇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지 몰라서 동성애로 이해했을 가능성이 한 가지. 이건 배우의 연기를 통한 혐의기도 하다. 하지만 트랜스베스타잇의 의미를 알았음에도 관객에게 그 의미를 좀 더 분명하게 밝히기 위해 이를 동성애로 번역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쨌거나 트랜스베스타잇이 익숙한, 널리 통용되는 용어는 아니니까. 그럼에도 나는 이 번역이 히르쉬펠트의 주장과 업적을 배반한다는 점에서 명백한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싶다. 히르쉬펠트는 동성애와 트랜스베스타잇/트랜스젠더를 구분해서 설명하려고 한 선구적 이론가다. 그러니 그나마 협상한다면 트랜스젠더여야 한다. 이것도 적절한 번역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트랜스베스타잇을 동성애로 번역하고 유통하는 방식은 작품을 해석하는데 많은 방해를 야기한다(뒤에서 다시).
연기와 관련해서 중요한 불만 중 하나는 소위 여성역을 연기할 때다. 1인 35역 정도라서 혼자 각 배역에 다른 캐릭터를 부여하기가 쉽지 않다는 건 안다. 하지만 소위 남성역과 여성역에 부여하는 성질에 편차가 크다. 여성역엔 다소 우스꽝스럽거나 단순한 성질만 부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모 역할을 들 수 있는데 이모는 어느 나이부터 남장 혹은 남성스런 복장만 입은 인물이며, 샬로테가 처음 여장한 바로 그날 목격했고 히르쉬펠트의 책을 알려준 인물이기도 하다. 이 말은 이모를 연기할 때 부치 젠더나 ftm 젠더를 연기해야 함을 뜻한다. 하지만 배우(지현준 분)는 그저 왈가닥하지만 상당히 여성스러운 성격으로 연기한다. 이것은 단순히 캐릭터를 잘못 잡은 것이 아니라 소위 여성 젠더 범주라고 불리는 인물의 다종다양한 성격을 연기할 줄 모르거나 이에 대한 이해가 없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할 듯하다.
이모와 관련해선 연기만 문제가 아니라 번역의 문제도 동시에 등장한다. 이모는 히르쉬펠트가 쓴 “동성애”에 관한 책이 아니라 “트랜스베스타잇”에 관한 책을 소장하고 있었고 이 책을 “새로운 성경”이라고 표현했다. 이 말은 이모가 자신을 부치 레즈비언으로 정체화했을 수도 있지만 ftm 트랜스남성으로 정체화했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꼭 이 두 가지 범주가 아니어도 이모는 지배 규범적 여성으로 자신을 정체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트랜스베스타잇을 동성애로 번역하는 순간, 이모에게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범주/캐릭터는 다소 평범해진다. 더구나 이모 연기는, 연극 내에서 중요한 비중임에도, 다른 여성 젠더 인물과 비슷하여 상당히 무난했달까…
연기의 문제는 샬로테와 더그를 혼동시키기도 한다. 극을 1부와 2부로 나눌 수 있다면(딱 한 번 옷을 갈아입기 위해 암전 상태가 나온다) 1부에선 샬로테와 더그가 상당히 구분된다. 샬로테는 허리를 구부리고 나긋나긋한 목소리며, 더그는 조금 여성스럽고 조금 밝은 목소리랄까.. 그런데 이런 구분이 2부로 넘어가면 무너진다. 2부에선 주로 젊은 시절 샬로테가 등장하는데, 젊은 시절 샬로테를 연기하며 허리를 구부리고 나긋나긋한 목소리를 할 수는 없는 법. 그렇다보니 1부에서 더그에게 부여한 특징이 2부에선 샬로테에게 부여된다. 그래서 연기만 떼어놓으면 1부의 더그와 2부의 젊은 시절 샬로테가 구분이 안 가는 찰나가 발생한다. 바로 이런 이유로 2부의 더그는 좀 더 남성스럽게 연기한다. 좋게 해석하면 이건 고의일 수 있다. 더그는 샬로테란 인물이 존재함을 처음 듣고 흥분하며 샬로테를 찾았고, 샬로테에게서 자신의 잃어버린 역사를 발견했다고 말한다. 이 고백, 샬로테와 더그의 연속성과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1부의 더그와 2부의 젊은 시절 샬로테를 비슷하게 연기했을 수 있다. 하지만 35가지 캐릭터를 구분하며 연기해야 하다보니 발생한 한계로 해석할 수도 있다.
연기에 아쉬움이 있다보니 내가 본 지현준 씨의 연기말고 남명렬 씨의 연기는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궁금했다. 남명렬 씨는 어떻게 연기했을까? 남명렬 씨와 지현준 씨가 번갈아 가며 무대에 올랐다면 좋았을 텐데 애석하게도 전반기엔 남명렬 씨, 후반기엔 지현준 씨가 무대에 섰다.
아쉬움은 아쉬움이고… 좁은 무대를 잘 활용한 점, 흥미로운 내용의 연극을 무대에 올린 점 등은 분명 좋았다. 아울러 꼭 이것만 좋았던 건 아니고… 히히히.

나는 나의 아내다, 트랜스젠더 관련 연극

ftm 트랜스남성과트랜스젠더게이 트랜스베스타잇 관련한 연극이 있어 소개합니다. 🙂
출처:
제목: 나는 나의 아내다 I Am My Own Wife
일시: 2013/05/28 ~ 2013/06/29 // 화수목금 8시, 토 3시 7시, 일 3시
장소: 두산아트센터 Space111
금액: 일반회원 30,000원
::작품설명::
초연의 세계적 작품
브로드웨이, 웨스트앤드 등 모든 시상에서 최고의 상을 휩쓸며 각종 평단에서 최고의 찬사를 받았던, 그러면서도 연극이란 장르로 약 1년 동안 브로드웨이 장기공연에 성공한 세계적 작품이다.
논픽션 드라마
이 연극은 동베를린에서 태어나 격동의 세월 속에서 살아갔던 CHARLOTTE VON MAHLSDORF 라는 실제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가 가지는 시대적 혹은 개인적 특수성, 그리고 인간으로서 가지는 일반적 가치성 등의 이야기가 그려내는 사실설으로 더욱 깊은 감동을 준다.
1명의 배우가 30인 이상의 역할을 하는 모노 드라마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독특한 소재와 작품성을 바탕으로 그리고 단 한 명의 연기자가 30인 이상의 역할을 연기하는 국내의 대표적 남자배우 모노드라마가 될 것이다.
 
::줄거리::
존은 동베를린의 붕괴 이후 동독에서 근무하고 있던 미국 기자인데 어느 날 '샬롯'이라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샬롯은 로다라는 이름으로 동베를린에서 태어나 히틀러가 파워를 갖기 시작할 때 자라났고 나치제제와 독일의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살아 왔던 트랜스젠더였다. 또한 그가 1800년대 독일의 축음기, 시계, 가구 등을 수집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임이 알려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존은 이 이야기를 미국에 살고 있는 그의 작가 친구 '도우'에게 들려 주게 되고 도우는 이 이야기에 관심을 갖고 어렵게 여비를 마련하여 독일로 여행을 와 샬롯의 개인 박물관을 방문하여 그를 만나게 된다. 샬롯의 삶의 매혹된 도우는 그(그녀)에게 그녀의 인생에 관한 연극을 만들어 보겠다는 허락을 받고 그녀와의 인터뷰를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