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연대
웹환경, 우분투사용자, ‘소수자’운동의 연결고리 상상하기
며칠 전 인터넷교보문고에서 책을 주문했다. 후치에선 인터넷결제를 잘 안 하니, 오랜 만에 나스타샤에서 윈도우를 실행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결제에 실패했다. 많은 이들이 알겠지만 인터넷결제를 위해선 몇 가지 Active-X(라 쓰고 악성코드라고 읽는다)를 설치해야 한다.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결제에 실패했다. 더구나 공포의 파란화면까지 떴다. ㅡ_ㅡ;; 그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건 익히 알고 있었다. 다만 파란화면은 처음이라 짜증났다.
어쩔 수 없이 후치에서 윈도우를 실행했다.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다. 키보드’보안’이라고 주장하는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나는 계좌이체를 선택했다. 다음날 아침에 입금하기로 했다.
계좌이체를 한다면, 굳이 윈도우-인터넷익스플로러(IE) 환경일 필요는 없다.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외도 있다. 텐바이텐에선 계좌이체를 선택해도 ‘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강요한다.
아무튼 난 다음날 계좌이체를 했다. 인터넷뱅킹을 하지 않아 우분투/리눅스를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었다. 물론 후치에서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 윈도우를 사용하긴 했다. 그래도 결제할 일이 거의 없었고, 결제 할 일이 있으면 그때만 잠깐 윈도우를 사용했다. 이번에 계좌이체로 결제를 하며, 윈도우를 사용할 빈도가 더 줄겠다고 중얼거렸다.
우분투/리눅스를 사용하며 좋은 건, 필요한 프로그램을 모두 별다른 비용 지불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필요한 프로그램을 불법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었다. 유료가 아니어도 사용하기에 충분히 좋은 무료/자유 프로그램이 많기 때문이다. 즉, 컴퓨터의 하드웨어만 있으면 더 이상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예전에, 컴퓨터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을 살 때마다 매번 윈도우 프로그램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에 문제제기를 한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자신에게 정품 윈도우 OS CD가 있어도, 노트북이나 다른 컴퓨터를 살 때마다 기본비용으로 윈도우 OS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글이었다. 나의 경우라면, 후치를 사며 기본비용으로 윈도우 OS를 구매했는데, 학회 넷북을 사며 또 윈도우 OS를 구매해야 했다. 같은 혹은 유사한 프로그램을 두 번 구매한 셈이다. 강매당한 건지도 모르고.
불법을 자행하지 않으면서도 훌륭한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건 분명 기쁜 일이다. 그리고 은행이나 현금인출기에 가서 계좌이체를 한다면 굳이 윈도우-IE 환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은행이나 현금인출기에 가서 계좌이체를 한다는 건, 외출을 하는데 부담이 없다는 걸 전제한다. 외출하기에 몸이 불편한 사람이라면 우분투/리눅스로는 어떤 형태로건 결제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누군가는 자신이 원하건 원하지 않건 특정 환경 사용을 강요받는다.
외출이 쉽지 않은 몸과 소득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면(이 가정이 옳다는 증거는 없다) 또 다른 이슈가 발생한다. 한국처럼 윈도우-IE를 강요하는 컴퓨터/인터넷 환경에서 특정 몸-계층은 합법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기 힘들어 진다. 만약 내가 외출할 수 없는 몸이라면, 그래서 모든 구매는 인터넷결제를 통해야 한다면, 그때도 나는 우분투/리눅스만을 사용할 수 있을까? 최근 나는 누군가에게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하는 파일을 받았다. 그 사람은 MS 오피스 최신 버전으로 파일을 작성했고, 내가 사용하는 환경(우분투와 윈도우 모두)에선 그 파일을 열 수가 없었다. 물론 그 사람에게 이전 버전으로 다시 보내달라고 하면 되지만, 자유 프로그램을 몰랐다면 어둠의 경로에서 최신 버전을 찾았을 지도 모를 일이다. 계급이 계급을 재생산하고, 계급이 불법을 재생산하는 구조다. 아울러 다른 환경을 사용하려는 선택을 제약한다.
나는 이런 구조들이 소위 말하는 ‘소수자 운동’과 밀접하게 닮았다고 느낀다. 현재 한국에선 인터넷결제를 위해 윈도우-IE만을 사용해야 하는 데, 이건 이성애-비트랜스만 강요하는 것과 비슷하다.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극히 제한되면서도 마치 모든 것이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인 것처럼 호도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리플 같은 곳에선 “불편하면 윈도우를 써라, 네가 우분투를 쓰기로 하고선 왜 그렇게 불만이 많냐”, “다수가 사용하는 걸 사용해라”란 글을 읽을 수 있다. 이런 말은 이성애주의가 아니라 비이성애자 개개인들이 잘못인 것처럼 얘기하는 방식과 다르지 않다. 비단 이성애-비트랜스만이겠는가. 비장애 중심인 구조와도 닮아있고, 정체를 알 수 없는 ‘한민족’이란 환상과도 닮아있고, 학벌, 지연 구조와도 닮아있다. 모든 것이 구조적으로 얽혀 있다는 점에서 우분투사용과 ‘소수자운동’은 무척 닮았다. 그리고 이들은 그 어느 이슈도 별개로 다룰 수 없을 정도로 얽혀있다.
닮아있다는 말이 우분투 사용자가 비이성애자나 장애인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기엔 차이가 상당하다. 그저 특정 환경, 특정 조건을 강요당하는 구조에 있다는 점에서 무척 닮았다. 일례로 우분투 사용자 집단과 비이성애 운동 단체가 연대할 수 있을까, 란 질문엔 다소 회의적이다. 우분투 사용자 집단이 모두 이성애-비트랜스라서가 아니다. 그들 모두가 이성애-비트랜스도 아니다. 그저 그 둘 사이의 연결고리를 설명하는 게 쉽지 않을 거라 회의적일 뿐이다. 그래서 이 둘이 같이 연대한다면, 그것만큼 흥미로운 일도 없겠지.
그냥, 요즘 이런 상상을 하면서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