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나의 시간에 마주치는 타인의 외모를 통해 ‘우리’는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라는 문장.
통상 외모를 통해 그 사람의 젠더, 나이대, 계급, 인종, 출신국가, 직업군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얘기한다. 이 중 어떤 것(젠더, 인종, 나이?)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것이라 당연하다고 여긴다. 또 어떤 것은 타고남은 아니지만 특정 관습을 몸에 익히면서 타고난 것처럼 자연스럽다고 여긴다. 그리하여 어떤 추리소설엔 외모 만으로 용의자의 특징을 추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추정할 수 있는 정보가 상대이 인식하는 상황과 일치하는지는 별개의 문제다. 이를테면 어떤 사람의 외모를 통해 그 사람은 남자라고 판단했다고 치자. 사실 ‘우리’는 타인을 남자, 여자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것은 구분과 인식의 영역이 아니다. 구분과 인식의 영역에 포섭되는 존재는 여성 규범과 남성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어떤 특질이 있을 때다. (비슷하게 ‘우리’는 어떤 타인을 보며 ‘저 사람은 이성애자야’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비이성애자만 인식하고 뭉뚱거리는 형식으로 분류한다.)혹은 정말 매력적이거나. 하지만 남자로 파악은 그 사람이 자신을 남성/남자로 인지하는가는 별개의 문제다. 상대는 자신을 남자로 인식할 수도 있고, 남자로 인식하진 않지만 여자로도 인식하지 않을 수 있고, 여자로 인식할 수도 있고, 이런 식의 분류 기준이 자신에게 적절/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할 수도 있다. 그의 외모는 대개 남자로 통하는 형식이라고 할 때에도 그 외모는 호르몬을 장기간 투여한 남자 형식일 수도 있고, 호르몬일 이제 막 투여해서 별다른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경우일 수도 있다.
타인의 외모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정보는 상대방과 관련한 정보가 아니다. 상대방이 인식하는 형식의 정보는 전혀 다른 것일 수 있다. 호르몬을 투여한지 일주일된 mtf 트랜스젠더를 낯선 사람으로 마주친다고 할 때 ‘이 사람은 호르몬을 투여한지 일주일 되었네..’라고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은, 단언하건데 없다.
타인의 외모를 통해 추정할 수 있는 정보는 타인에 관한 정보가 아니다. 내가 타인을 인식하고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식, 즉 나의 수준에 관한 정보만 알려줄 뿐이다. 수준이란 말이 좀 부정적이라면 내가 세상과 관계를 맺고, 내가 세계를 해석하도록 배운 방식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줄 뿐이다.
이것은 또한 공부를 하는 태도에 관한 얘기기도 하다.
+뭔가 갑자기 ‘삘’을 받아 쓰기 시작했는데 결국 뻔한 얘기다. 하지만 이 글을 밑절미 삼아 확장해서 나중에 어디 확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