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가 이 자리에 있다고 말하기가 쉬운 것만은 아니다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퀴어가)”이 자리에 있을 수도 있다”란 말과 “이 자리에 있다”란 말의 간극은 매우 크다. “이 자리에 있을 수도 있다”란 말은 존재 가능성은 열어 두지만 실제 존재하고 있는 개인을 다소 모호한 상태로 만든다. 있을 수도 있다는 말은 없을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함께 내포하기 때문이다. 퀴어를 긍정하기 위한 표현이 자칫 퀴어의 존재를 애매하게 만든다. 그래서 난 강의를 할 때면 “이 자리에도 있다”고 말한다. 실제 나 외의 다른 어떤 퀴어가 있는지는 모를 일이다. 없어도 상관 없다. “이 자리에도 있다”와 같은 단정적 표현은 퀴어를 모니터 너머에만 존재한다고 알고 있는 이들에게 어떤 구체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요지는, 그 자리에 나 아닌 퀴어가 있는가, 없는가가 아니다. 퀴어를 구체적 개인으로 고민하는 것이다.
이런 나의 전략은 대학생 이상이 있는 자리에선 큰 문제가 없다(라고 믿고 있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라면? 글쎄.. 쉽지 않다. 한국 사회에선 퀴어 혐오가 상당하고, 초중고등학교의 왕따 이슈가 심각하다. 트랜스젠더도 아니고 게이도 아니지만 여성스러운 남학생이 있을 경우, 그 아이가 트랜스젠더로 혹은 게이로 왕따 당할 수 있다. 여성스럽지 않은 여학생이 있을 경우, 그 학생이 트랜스젠더 혹은 레즈비언으로 왕따 당할 수도 있다. 가능성은 이것 만이 아니다. 평소 어떤 소문이 돌았다면 나의 말은 내가 의도하지 않은 증거가 될 수 있다. 초중고등학교가 단체 생활을 하는 폐쇄 집단이란 점에서 단정적 발언은 다소 위험하다.
몇 년 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든 적 있다(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ㅅ; ).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초안을 작성하고 공부방에 찾아가 시연도 했다. 그때 만난 초등학생 집단이 꽤나 재밌었다. 한 초등학생 ㄱ은 공공연하게 같은 공부방의 친구에게 좋아한다고 말했고 나중에 결혼하자는 말도 했다. 물론 이런 발언만으로 ㄱ을 레즈비언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 ㄱ이 레즈이언이다, 아니다가 쟁점도 아니다. 동성 친구에게 나중에 결혼하자고 말했음에도 ㄱ은 그 집단에서 왕따를 당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ㄱ은 그 집단에서 이른바 짱이었다. 나이도 가장 많았지만 가장 힘있는 구성원이었다.
또 다른 구성원 ㄴ은 좀 달랐다. 그때 나는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강의를 하고 있었는데 ㄴ은 나중에 여자가 되고 싶다고 했다. 그 말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는 모른다. ㄴ이 정확하게 “여자가 되고 싶다”고 했는지 그저 그와 비슷한 어떤 뉘앙스의 말을 했는지도 정확하지 않다. 아무려나 ㄴ은 그 집단에서 가장 힘이 없고 나이도 어렸다. 또래의 다른 친구가 있었지만 그들은 ㄴ과 친하게 지내지 않으려 했다.
ㄱ만 있었다면 나는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이 덜 부담스러웠을 거다. 이 집단에도 퀴어가 있다고. 물론 나는 ㄱ을 의도하고 말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ㄱ의 상황을 알고 있어도 부담은 덜 했을 것 같다. 나의 단정적 발언이 위험하긴 마찬가지다. 미래 일은 아무도 모르는 것이니까. 사람들이 ㄱ을 레즈비언으로 인식하고 ㄱ의 행동을 해석할 때와 ㄱ을 레즈비언으로 인식하지 않고 ㄱ의 행동을 해석할 때의 효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부담이 조금 덜하겠지? 하지만 ㄴ만 있는 상황이라면? 그 상황에선 “있다”와 “있을 수 있다”의 뉘앙스 차이가 중요하지 않다. 이런 말 자체를 하지 않는 것이 더 안전할 수도 있다. 그러니 그 말을 할 것이냐, 말 것이냐를 고민해야 한다. “있다”란 말이 ㄴ에게 어떤 식으로건 힘을 줄 수도 있지만 집단의 다른 이들에게 ㄴ을 왕따할 빌미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토요일 어느 청소년 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강의를 했다. 그 자리에서 이와 관련한 얘기를 나눴다. 십대에게 어떤 식으로 얘기를 하면 좋겠느냐는 질문을 받았고 단적으로 말하는 것이 좋지만 그것이 가진 위험성도 함께 얘기했다. 같이 얘기를 나누며 그나마 가능한 대안으로 동성애자 인구 비율 같은 통계를 언급하는 것, 타고난다는 말 같은 걸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겠다는 말이 오갔다. 정답은 없다. 평소 매우 비판하던 방식의 접근법이 어떤 상황에선 가장 효과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무려나 난 솔직히 말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물론 정답은 없다. 그날 감을 믿을 뿐…

주절주절4: 바라는 삶, 왕따와 성폭력 사이

01
내가 가장 바라는 생활 방식 중 하나는 그냥 도서관에 콕 박혀 원하는 자료를 찾고, 그 자료를 읽는 일. 이를테면 아침에 도서관에 가서 읽고 싶은 자료도 찾고 글도 좀 쓰고, 오후엔 찾은 자료를 읽고 저녁엔 카페에서 느긋하게 빈둥거리며 책을 읽거나 영화관에 가고. 그러다 가끔은 사람을 만나기도 하고. 물론 개인약속이 없는 나로선 사람 만날 일도 거의 없겠지만. 🙂

만약 몇 년 동안 생계 걱정 없이 살 수 있다면 이렇게 살고 싶다. 매우 행복할 거 같아.

02
입안이 쓴 날들이다. 나름, 불면의 나날이다.

03
아침 라디오에서 “중학생 동영상”이라는 뉴스를 들었다( http://bit.ly/bZtoLm ). 어떤 프로그램에선 왕따라고 얘기했다. 어떤 프로그램의 진행자는 장난이라고, 다만 짓궂은 장난이라고 얘기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해석하기에 따라 성폭력일 수도 있다. 이 사건엔 젠더 간의 권력이 매우 명확하게 작용하고 있는데, 사건을 전한 진행자들은 이를 간과했다. 왕따라는 말이 그 동안 은폐한 폭력을 드러낸 면이 있긴 하지만, 개인들 간에 존재하는 권력 차이를 은폐하는 경향도 있다. 그래서 누군가는 성폭력, 젠더 폭력, 인종차별과 같은 말을 순화하기 위해 왕따란 말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신자유주의 시대의 인간관은 재벌가의 8살 아이가 일용직 노동자 집안의 8살 아이보다 영어도 잘하고 그림도 잘 그리고 피아노도 잘 친다면, 그건 경제적인/계급적인 차이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 차이 때문이라고 보는 것. 왕따란 용어의 사용이 딱 이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