씁쓸

10년은 폭삭, 늙어버린 것만 같은 얘기를 들었다. 말도 안 되는 시나리오를 유포하고 유통하는 사람들, 그것을 사실로 믿는 사람들. 우울하여서, 고향에 가버릴까 했다. 하지만 행복하게 사는 것, 깔깔 웃으며 사는 것이 최고의 복수이자 저항이란 말을 되뇌었다. 근데 행복도 독해야만 누릴 수 있는 걸까?

난 지금도 행복하다. 대체로 행복하다. 주류의 기준에선 별볼일 없는 삶이지만, 애당초 그것이 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아니다. 내가 그런 기준에 비중을 뒀다면, 이렇게 살지도 않았겠지(아, 아닌가… 비중을 둬도 이렇게 살았을지도 모르겠다.. 크크. ;; ). 하지만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난 뭐하고 사는 걸까 싶어, 우울하다.

잡담 혹은 배설

01
한동안 좀 안 좋은 일이 있었다. 나 개인에게 한정한 일은 아니고, 무려 본가와 관련한 일이다. 그래서 더 짜증났다. 암튼 그 일이 어디 말하기도 참 부끄러운, 좀 지저분한 일이라 경위를 설명하긴 좀 그렇고. 결국 금,토 부산에 갔다 왔다. 원래 일요일까지 머물러야 했지만, 일요일에 회의가 있어(혹은 회의를 잡아?) 일찍 돌아왔다.

02
살다보면 세속적인 의미의 성공이란 뭔지, 고민할 때가 있다. 난 내 삶이 대체로 즐겁고 또 행복하지만, 세속적인 평가에 따르면, 지배규범의 가치에 따르면 구제불능이다. 애당초 내가 선택한 삶이기에 구제불능이라서 싫다는 건 아니다. 나 스스로, 잉여러운 삶이 좋다고 주장하는 걸.

다만 누군가가 내게 훈계하듯 말하면 정말 짜증난다. 세속적인 성공 혹은 지위를 획득한 후, 그걸 거들먹거리면서 내게 으스대듯 말하면, 웃길 뿐이다. 표정관리 안 하고 대놓고 비웃긴 하지만, 그래도 짜증난다. 이 짜증의 일부는 그가 양육과 아내/파트너를 대하는 태도 때문이다. 그 자신 바쁘다는 핑계로 양육 책임을 모두 아내/파트너에게 다 맡긴다. 그러며 퇴근 후엔 골프를 배우러 다니는 등, 이 모든 게 사회생활이라며 제 행동이 정당하다고 주장한다. 근데 그의 파트너는 실력 있는 화가다. 임신과 양육, 그리고 남편내조라는 명목에, 화가는 작품 활동을 할 시간이 없다. 이성애결혼제도의 패악/횡포/만행 등을 몸소 실천하면서 으스대는 행동이라니. 그래도 자기는 괜찮은 남편이라고 주장하는 말을 들을 땐… 너무 짜증나서 한바탕하고 싶었지만, 참았다. 상대하는 것 자체가 좀 부끄럽다고 느낄 정도였거든.

03
고양이가 있어 다행이다. 빼어난 미모를 자랑하는 고양이와 상상을 초월하는 개인기를 자랑하는 고양이. 이 둘이 함께 있어 짜증도, 우울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부산 갔다가 매실액기스 득템! 으하하. 이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거다. 물에 희석해서 물 대신 마시는 걸 참 좋아하는데, 마침 본가에 있어 일부를 얻어왔다.

요즘 시집 몇 권을 읽고 있습니다. 달고 좋아요.

01
채호기 시를 읽고 있습니다. 그중

환한 대낮, 갑자기 엄습한 네 사랑 때문에
나는 내 삶의 항구를 잃어버렸네
-「환한 대낮에」

위의 구절을 읽고 잠시 숨이 멎었습니다. 허수경의 시에서 “아하 사랑! / 마음에 빗장을 거는 그 소리, 사랑!”이란 구절 이후 최고가 아닐까 싶을 정도예요. 길을 걸을 때마다, 잠들기 전, 혹은 샤워를 하거나 그냥 무심할 때마다 “환한 대낮, 갑자기 엄습한 네 사랑 때문에 / 나는 내 삶의 항구를 잃어버렸네”란 구절을 중얼거립니다.

이 시를 읽은 건 다소 우연입니다. 「환한 대낮에」이란 시는 『슬픈 게이』란 시집에 실려 있습니다. 『슬픈 게이』엔 게이인지 트랜스젠더인지 드랙인지 여장남자인지 알 수 없는 어떤 존재를 “게이”란 범주로 설명하고 있는 시가 몇 편 실려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시집을 읽은 건 아니고 요즘 찾고 있는 자료와 관련 있어서 읽은 거지만요. 첨엔 필요한 시만 몇 편 읽었는데, 왠지 다 읽고 싶어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기 시작했지요. 좋아요. 그리고 위의 구절에서 그만, 잠시 숨이 막혔습니다.

전 이 시집이 무척 흥미로워요. 게이인지 트랜스젠더인지 알 수 없는 몇 편 때문이 아닙니다. 프로이트 옹은 애도와 우울을 구분하고 있는데요, 애도는 대상의 상실을 받아들이며 충분히 슬퍼하며 떠나보내는 과정이라면, 우울은 대상의 상실을 부인하며 자신과 동일시/합체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정확한 설명은 아닐 수도 있지만, 대충 넘어가고요. ;;; 이런 구분에 따르면 채호기의 시집은 우울증적 동일시의 지난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몇 편을 제외하면 우울과 동일시란 주제를 다루고 있죠. 그 정점에 “게이”라는 명명으로 게이 혹은 트랜스젠더를 설명하고 있죠. 법적으론 남성으로 태어났다 해도 자신을 여성으로 동일시하여, 여성인 이들로 설명하면서요. 그렇다면 앞서의 시들이 이성애 구조를 분명히 하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시집을 통틀어 연애시라 부를 법한 시 중에서 이성애 관계로 보이는 시는 거의 없으니까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이 시집을 분석하는 글을 쓸까요? 글쎄요. 세월이 지나면 알 수 있겠죠.

02
친구에게서 시집 두 권을 선물 받았습니다. 이미 몇 달도 더 지난 생일의 선물입니다. 철지난 생일은 챙기지 않는 관례에 비춰 너무 늦은 선물이지만 괜찮습니다. 무려 10년 지기인 친구의 늦은 선물이지만, 괜찮습니다. 원래 이런 관계니까요. 하하. 그리고 사실, 몇 달 만에 만난 게 아니라 (제 기준으로)자주 만났지만 무려 8달 전에 제본한 제 논문을 이제야 줬으니까요. 아하하.

진은영의 시집 두 권인데 상당히 좋아요. 오랜 만에 시집을 읽으며 돌아다니고 있는데, 문득 아직도 시집을 읽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낯설음을 느꼈어요. 뭐랄까, 시인은 많아도 시를 읽는 사람은 없다는 얘길 몇 년 전 얼핏 들은 기억이 있거든요. 단지 그 때문이죠.

암튼 달고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