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을 달다가 답글로만 남기기엔 아까워, 살을 조금 보탭니다.
트랜스젠더를 설명하는 주류 서사, 혹은 미디어를 통해 주로 등장하는 어떤 서사에 따르면 트랜스젠더 범주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경험은 ‘동성’(정확하겐 ‘이성’이지만 대개 ‘동성’을 좋아했다고 설명되죠)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mtf/트랜스여성이라면 남자를 좋아했고, ftm/트랜스남성이라면 여자를 좋아했다는 얘기. 이때부터 혼란을 느꼈고 자신의 젠더 범주를 다시 고민하기 시작했고 자신이 여성 혹은 남성이란 점을 알았다고 얘기합니다. 이른바 이성애자 되기 서사기도 한 이런 식의 설명은, 동성애자 범주 형성과 변별점이 없음에도 트랜스젠더 범주 형성 서사로 널리 통용되죠. 이런 언설에 사람들이 납득하는 것도 좀 재밌는 일이고요.
(홍석천은 그래서 게이와 mtf/트랜스여성의 차이가 음경을 유지하고 싶어하느냐 자르고 싶어하느냐라고 우스개를 했지만 논쟁적 발언입니다. 혹은 무식한 발언입니다. 방송용 발언이란 점을 감안해도요.)
전 이렇게 좋아하는 대상을 근거로 트랜스젠더의 젠더 정체성 구성을 정당화하는 방식에 상당한 불편과 불만을 가진 편이었습니다. 이것이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설명할 유일한 언어가 아님에도 마치 이렇게 설명해야 하는 것 같은 분위기를 형성하거든요. 그리하여 이성애자나 성애자가 아닌 트랜스젠더를 곤란한 상황에 빠뜨리고 존재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아울러 이런 식의 설명은, 자신이 기억하는 한 어릴 때부터 자신의 젠더를 알았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설명과 충돌합니다. 이를테면 ftm/트랜스남성이 자신은 3살 때부터 더 자라면 음경이 생길 줄 알았다고 말하며 자신의 남성 젠더 범주를 정당화하는 발언과 십대 시절 여성을 좋아하면서 젠더 범주에 혼란을 겪었다는 말은, 그렇게 호응하고 조화로운 설명은 아니니까요.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주류 서사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은 꽤나 흥미로운 현상이기도 하죠.
아무려나 이런 설명에 어떤 불편과 불만을 갖고 있음과는 별도로 누군가를 좋아하는 감정이 자신의 범주를 다시 설명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정이라냐, 이건 꽤나 중요한 경험이기도 합니다. 상대와 나의 관계를 설명할 때면 나의 범주만이 아니라 상대방의 범주 역시 함께 고려해야 하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하면 범주는, 그렇잖아도 복잡한 범주는 더 복잡하게 변합니다.
예를 들어 저의 파트너가 바이라고 가정하죠. 그리고 저는 공공연히 레즈비언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럴 때 둘의 연애 관계를 단순히 레즈비언 관계 혹은 여성 동성 간 관계라고만 말할 수는 없습니다. 레즈비언이나 여성 동성(애)관계란 명명은 저의 어떤 경험은 드러낼 수 있어도 상대방의 경험과 범주는 삭제하는 언설이고 그리하여 둘의 관계를 적절히 설명하기보다는 부적절하게 은폐하는 발화에 가까우니까요. 그래서 바이-레즈 관계라고 설명한다면 그나마 좀 괜찮을까요? 이런 설명은 성적지향은 어느 정도 표기한다고 해도 젠더 범주는 적절히 표현 못 합니다. 저는 제가 트랜스젠더란 점을 분명하게 부각하길 바랍니다. 그리하여 상대방이 비트랜스여성이라면, 다시 바이 비트랜스-레즈비언 트랜스라고 표현한다면 조금은 더 적절한 설명일까요? 썩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동질성을 밑절미 삼아 이루어진 범주 명명은 그 토대에 적절히 부합하지 않는 관계를 계속 놓칠 뿐입니다.
기존 범주 설명, LGBT로 대표되는 범주 용어는 모든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하게 가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LGB와 T가 한덩어리로 묶여도 괜찮을지도 논쟁이고요. 관계를 감안하면 개인의 범주를 설명할 언어는 더욱 복잡하게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어떤 언어 전략을 고민해야 할까요?
*이 글은 E님 쓴 ‘이종교배’ 관련 글에서 촉발합니다. 아흥, 고마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