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외모는 나의 인식 수준을 알려줄 뿐이다

“찰나의 시간에 마주치는 타인의 외모를 통해 ‘우리’는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라는 문장.
통상 외모를 통해 그 사람의 젠더, 나이대, 계급, 인종, 출신국가, 직업군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얘기한다. 이 중 어떤 것(젠더, 인종, 나이?)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것이라 당연하다고 여긴다. 또 어떤 것은 타고남은 아니지만 특정 관습을 몸에 익히면서 타고난 것처럼 자연스럽다고 여긴다. 그리하여 어떤 추리소설엔 외모 만으로 용의자의 특징을 추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추정할 수 있는 정보가 상대이 인식하는 상황과 일치하는지는 별개의 문제다. 이를테면 어떤 사람의 외모를 통해 그 사람은 남자라고 판단했다고 치자. 사실 ‘우리’는 타인을 남자, 여자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것은 구분과 인식의 영역이 아니다. 구분과 인식의 영역에 포섭되는 존재는 여성 규범과 남성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어떤 특질이 있을 때다. (비슷하게 ‘우리’는 어떤 타인을 보며 ‘저 사람은 이성애자야’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비이성애자만 인식하고 뭉뚱거리는 형식으로 분류한다.)혹은 정말 매력적이거나. 하지만 남자로 파악은 그 사람이 자신을 남성/남자로 인지하는가는 별개의 문제다. 상대는 자신을 남자로 인식할 수도 있고, 남자로 인식하진 않지만 여자로도 인식하지 않을 수 있고, 여자로 인식할 수도 있고, 이런 식의 분류 기준이 자신에게 적절/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할 수도 있다. 그의 외모는 대개 남자로 통하는 형식이라고 할 때에도 그 외모는 호르몬을 장기간 투여한 남자 형식일 수도 있고, 호르몬일 이제 막 투여해서 별다른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경우일 수도 있다.
타인의 외모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정보는 상대방과 관련한 정보가 아니다. 상대방이 인식하는 형식의 정보는 전혀 다른 것일 수 있다. 호르몬을 투여한지 일주일된 mtf 트랜스젠더를 낯선 사람으로 마주친다고 할 때 ‘이 사람은 호르몬을 투여한지 일주일 되었네..’라고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은, 단언하건데 없다.
타인의 외모를 통해 추정할 수 있는 정보는 타인에 관한 정보가 아니다. 내가 타인을 인식하고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식, 즉 나의 수준에 관한 정보만 알려줄 뿐이다. 수준이란 말이 좀 부정적이라면 내가 세상과 관계를 맺고, 내가 세계를 해석하도록 배운 방식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줄 뿐이다.
이것은 또한 공부를 하는 태도에 관한 얘기기도 하다.
+뭔가 갑자기 ‘삘’을 받아 쓰기 시작했는데 결국 뻔한 얘기다. 하지만 이 글을 밑절미 삼아 확장해서 나중에 어디 확장할 수 있다.

공동체를 어떻게 명명할 것인가

관련글:
“루인. 문제적 프레임에 갇힌 글” https://www.runtoruin.com/2291
“이브리. 커뮤니티의 문제” http://goo.gl/xCIJUW
2007년인가. 미국에서 고용차별금지법(ENDA)을 둘러싼 논쟁으로 한창 떠들썩 했다. 논쟁의 요점은, 이 법에 트랜스젠더를 포함하면 법안이 통과될 확률이 떨어지고 트랜스젠더를 제외하고 동성애자만 포함하면 통과가 확실시 되면서 트랜스젠더를 빼느냐 하는 문제였다. 이 이슈로 미국 내 LGBT/퀴어 공동체는 떠들썩했다. 동성애자만이라도 차별을 받지 않는 법을 제정해야 한다며 트랜스젠더는 양보하라는 입장부터 트랜스젠더가 빠진다면 법 자체가 제대로 된 것이 아니니 모두를 포함하는 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이 논쟁에서 유명한 두 편의 글이 등장한다. 한 편은 자신을 게이로 설명하는 존 아라보시스. 그는 트랜스젠더가 빠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GLBT의 역사를 들었다. 운동과 정치학의 역사에서 게이(G)가 가장 먼저 운동을 시작했고 이후에 레즈비언(L)이 운동에 참여했다. 바이 남성 등이 게이 운동에 포함되길 바랐고 그리하여 뒤늦게 바이(B)가 추가되었고 트랜스젠더는 가장 늦게 운동을 시작했다. 그래서 GLBT라고 부른다. 트랜스젠더는 운동에 참여도 늦고 ENDA를 위해 동성애자 단체 및 활동가가 엄청 열심히 했으니 일단 트랜스젠더를 빼고 법을 제정하자. 이것이 아라보시스의 주장이었다. 이 글에 수잔 스트라이커는 매우 유명한 글을 한 편 쓴다. 아라보시스의 역사 인식 및 서술은 백인 중산층 게이 우월주의며 그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라는 비판. 더 자세한 내용은 http://goo.gl/54tkG 참고.
지금 이 글에서 문제 삼는 지점은 아라보시스의 인식이다. LGBT/퀴어 공동체를 게이/동성애자 공동체로 환원하고 전유하는 인식론을 문제 삼으려고 한다.
이곳에서도 여러 번 이야기 했지만 1990년대 등장한 초동회 이후의 역사를 ‘동성애자 인권운동’으로 기술한다면 이것은 명백하게 역사 날조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그 시기를 ‘동성애자 인권운동’이 시작한 시기로 잘못 기술하고 있지만 그 시기는 LGBT/퀴어 인권운동이 본격 등장한 시기다. 그 시기부터 함께 한 활동가 중엔 동성애자도 있었지만 트랜스젠더도 있었고 바이/양성애자도 있었다. 혹은 어느 쪽으로도 분명하게 구분할 수 없는 이들도 있었다. 즉 그 시기 운동은 동성애자만 혹은 동성애자 중심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LGBT/퀴어가 함께 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니 이 역사를 ‘동성애자 인권운동’으로 명명한다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 문제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역사 날조’다. 그리고 어떤 역사를 특정 범주, 여기선 동성애자의 역사로 전유하는 것 또한 동성애규범성의 문제다.
동성애자 공동체는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곳은 어떤 공간인가? 혹은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가? 만약 소위 동성애자 공동체에 비동성애-비이성애자가 함께 한다면 그 공동체를 동성애자 공동체로 불러도 괜찮을까? 즉, 다수의 동성애 비트랜스젠더로 추정하는 사람과 소수의 바이 비트랜스젠더, 비/이성애 트랜스젠더가 함께 있다면 그 공동체를 동성애자 공동체로 불러도 괜찮을까? 현재 정서로는 대충 동성애자가 많으니 동성애자 공동체로 부르는 듯하다.
그럼 예를 조금만 바꿔보자. 한국 사회는 이성애규범성, 이성애중심주의가 상당한 사회라고 한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를 이성애자 사회라고 부를 수 있는가? 아니다. 결코 그럴 수 없다는 건, 적어도 이곳에 오는 분이라면 동의할 것이다. 한국을 이성애자 사회라고 부르는 순간, 현존하는 무수한 퀴어가 모두 삭제된다. 행여라도 존재한다면 그는 한국인이 아니어야 한다. 이성애자 사회라는 명명은 명백히 잘못된 언설이다. 동성애자 공동체란 언설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등장한 비이성애자 공동체는 동성애자 공동체가 아니라 비이성애자 공동체였고 비이성애자 공동체다. 동성애자 분리주의자들이 따로 모임을 만든 적은 있을지 몰라도 흔히 상상적 형태로 얘기하는 공동체는 언제나 비이성애자 공동체(였)다. 소위 게이의 역사를 알려주는 업소는 mtf 트랜스젠더-바이가 함께한 공간이었고, 레즈비언 공간 역시 바이-트랜스젠더가 늘 함께했다. 다른 말로 역사와 현재를 꼼꼼하게 따졌을 때 소위 동성애자 공동체라는 곳은 없다. ‘여기 이곳이 동성애자 공동체’라고 주장하는 담론이 있을 뿐이다. 동성애중심주의적 공동체는 있을 수 있지만 동성애자 공동체는 거의 없다. 동성애규범적 공동체는 있어도 동성애자 공동체라고 단언할 수 있는 곳은 별로 없다.
역사와 공동체를 명명하는 작업은 언제나 어려운 일이다. 나 역시 어렵다. 그래서 때때로 트랜스젠더 역사, 트랜스젠더 공동체라는 명명을 사용한다. (물론 나는 ‘동성애자 공동체’라는 언설을 사용하는 것과 ‘트랜스젠더 공동체’란 언설을 사용하는 건 그 층위가 다른 문제라고 믿는다.) 하지만 이런 명명과 언설이 위험하다는 것은 인식했으면 한다. 이런 위험을 인식하지 않는다면 정말 이상한 식으로 글이, 인식이 전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길고양이]주절주절: 길고양이, 냐옹이, 인식체계

01
착하게 살아야겠다. ㅠ_ㅠ

02
또 고양이 이야기!
어제 밤, 무슨 일이 생겨 조금 일찍 玄牝에 갔다. (사실 그 전에 서울 시내 어딘가를 하릴 없이 헤맸다. 어떻게 내게 이런 일이! ㅠ_ㅠ) 터벅터벅 걸으며 玄牝으로 가는 길. 어느 길부터는 총 2번을 꺾어야 玄牝이 있는 건물이 나온다. 바로 그 길의 그 첫 번째 모퉁이에서 냐옹이가 서둘러 자동차 아래로 숨었다. 난, 미안하기도 하고, 이번엔 어떤 냐옹일까 궁금해서 자동차 앞에 가만히 서 있었다. 그런데 냐옹이가 내가 서 있는 쪽으로 슬그머니 나오더니 몸의 반은 자동차에 숨겼지만, 반은 자동차 밖으로 빼선 나를 빤히 처다보는 거다! 으하하. 날 알아보는 고양이였다. 이히히. 그 눈빛이 무얼 의미하는지 알기에 난 적극 호응했다. 히히. 그 모습을 바라보며 너무 기뻤다. 난 한참 동안 냥이를 바라보았다. 냥이도 나를 떠나지 않고 근처에 있었다. 때로 내게 도움을 청하기도 하면서. 에헤헤. 사람들이 지나가면 내가 더 불안해서, 주위를 살피며 냐옹이 곁에 있었다. 기뻤다.
이사가 걱정이다.

03
나를 알아보는 고양이와 나는 못 알아 보는 고양이. 고백하건데, 난 사람 얼굴은 구분 못 해도 고양이는 구분할 수 있을 줄 알았다. 놀랍게도 그렇게 믿었다. 하지만 아니었다. 내가 구분할 수 있는 고양이는 리카와 카노 뿐이었다. 으흑. ㅠ_ㅠ

내가 사람을 구분 못 하는 건, 이미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 그런데 그게 좀 웃긴 방식이다. 예를 들어, ㄱ은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사람, ㄴ과 ㄷ은 내가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고 가정하자. 길에서 우연히 ㄴ이나 ㄷ을 보면 나는 내가 아는 ㄱ인가 싶어 헷갈려 한다. 그러며 ㄴ이나 ㄷ을 바라보기도 하며 곤혹스러워 한다. ㄱ과 무척 닮았기에 어쩌면 내가 아는 ㄱ인지도 모른다고 고민한다. 그런데 정작 ㄱ과 마주치면 못 알아보고 그냥 지나친다. 으하하. ㅡ_ㅡ;; 도대체 나의 인식체계, 사람 혹은 생명 구분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 걸까? 나도 정말 궁금하다.
(ㄴ과 ㄷ이 ㄱ과 닮았다는 보장은 없다. 그냥 그렇게 인식하는 거다. ;;; 이쯤되면 내가 알아본다고 믿고 있는 리카와 카노가 매우 닮은 다른 고양이인지, 정말 리카와 카노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ㅠ_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