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젠더, 욕망을 지지하면서 제도를 문제삼기

이런저런 자료를 찾다가, 위키영어사전에서 시스젠더를 설명하는 구절을 읽었다. 소위 자신이 인식하는 젠더와 태어날 때 지정받은 섹스가 일치하는 사람을 뜻하며, 이런 의미에서 수술 등 의료적 조치를 한 트랜스젠더도 시스젠더에 속한다는 설명이었다.
(시스젠더가 수술 등을 이행한 트랜스젠더도 포함한다는 구절은 몇 분 안 지나 삭제되었다.)
나는 이런 설명이 매우 당혹스러운데 이런 식의 설명은 트랜스젠더의 삶을 역사 없는 것, 단지 지금이라는 특정 찰나에만 박제된 형태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스젠더의 삶을 갈등 없는 것, 매끈한 것으로 만든다. 그리하여 수술을 모두 다 했거나 호적정정도 한 트랜스젠더는 시스젠더에 포함된다는 사고 방식은 여전히 인간의 기준을 시스젠더에 둘 뿐이다. 개개인이 자신은 트랜스젠더가 아니며 트랜스젠더가 부르지 말라고 요구할 수는 있다. 이것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다. 하지만 특정 사유체계를 규범으로 삼는 방식, 제도 자체는 끊임없이 문제 삼아야 하고 기존의 규범을 탈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개개인의 욕망을 지지하면서 기존의 규범과 체제를 문제 삼지 않는다면, 이런 태도는 개개인을 끊임없이 고통으로 내모는 바로 그 제도를 유지하는데 공모함과 다르지 않다. 이것이 내가, 그리고 내가 아는 여러 사람이 개개인의 욕망을 지지하면서도 고통을 다른 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규범과 제도를 문제삼는 이유다.
아래는 참고하시라고…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is page, as edited by 132.241.226.83 (talk) at 22:11, 20 February 2014. It ma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urrent revision.
Cisgender and cissexual (often abbreviated to simply cis) describe related types of gender identity where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their own gender matches their bodies. This includes people who were once transgender but physically transitioned so their gender identity matches their physical sex. [1] Sociologists Kristen Schilt and Laurel Westbrook define cisgender as a label for “individuals who have a match between the gender they were assigned at birth, their bodies, and their personal identity” as a complement to transgender.[2]

제도의 틈새

길게하려는 얘기는 아니고..
어떤 상황에 대한 법적/사회적 제도가 있다는 게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제도 없는 게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다. 때론 제도가 상황을 더 피곤하게 만들기도 한다. 트랜스젠더에게 필요한 의료조치를 제도화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일일까? 동성결혼을 제도화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일일까? 어떤 현상을 제도로 만드는 것이 중요한지, 어떤 현상에 불이익을 야기하는 다른 어떤 제도를 폐지하는 것이 중요한지는 늘 선별적/논쟁적 작업이지만, 그럼에도 고민할 부분이다.
아울러 제도가 배제한 삶이 때론 더 편하다. 제도가 규정한 욕망이 자신의 욕망이 아니라면, 제도가 배제한 삶과 나의 욕망이 일치한다면 좋은 일이기도 하다.
제도의 부재를 차별 상황이나 억압으로만 말하지 않았으면 한다. 나부터 조심할 일이고.
결국 또 뻔한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