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아이러니, 범주의 복잡함 등

‘아이러니’란 표현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아이러니란 표현을 사용할 때면 괄호해선 ‘엄밀하겐 아이러니가 아니지만’이라고 부연했죠. 그것도 몇 번이고 근래 들어선 아예 안 쓰고 있습니다. 어떤 현상을 두고 아이러니하다고 표현한다면, 이것은 적어도 저의 경험에 따른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언어의 전제 자체가 저와 다른 입장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고민하는 거죠. 이를테면 비트랜스젠더 입장에선 모순이고 아이러니한 현상이 트랜스젠더 입장에선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거죠. 그러니 어떤 현상을 두고 아이러니하다는 표현은 하지 않으려고 더욱 노력하는 나날입니다. 뭐, 일전에 쓴 어느 글에서 “이것이 모순이라면 내가 어떻게 살 수 있겠는가”라고 쓴 입장에선.. 흐. ;;
나는 어떤 논의가 정말 중요하다고 고민하여 여러 곳에서 비슷한 얘기를 하지만 그 얘기가 사람들에게 항상 감흥을 일으키는 건 아니다. 많은 경우 그 논의는 그냥 스쳐지나가는 여러 말 중 하나로 취급될 뿐이다. 이건 내가 촉이 없어서 생긴 문제겠지. 다른 사람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이슈와 내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이슈가 다르기에 여러 번 떠들어도 의미있게 다가가지 않는 거겠지.
그래.. 그럼 이제 나 혼자 알고 지내겠어.. 후후.
(하지만 아쉬워 할 사람이 없다는 건 함정. 크.)
범주의 복잡함을 받아들이는 건 단순히 타인을 용납하는 행위가 아니라 내가 알고 있는 역사와 사건을 완전히 새롭게 해석할 용기를 지니는 것이다. 이를테면 내가 공들여 트랜스젠더의 역사로 혹은 트랜스젠더 기록물로 해석한 어떤 것을 다른 범주의 역사나 기록물로 해석할 수도 있음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어쩌면 바로 이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다. 내가 열심히 트랜스젠더의 역사와 기록물로 해석한 것은 나의 범주를 구성하고 형성하는데 주요 토대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하리수 씨를 트랜스젠더로 해석할 수 없는 찰나가 온다면, 지금과는 전혀 다른 범주로 해석해야 하는 찰나가 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러니 범주의 복잡함을 받아들이는 건 내 삶의 토대를 근본적으로 흔드는데 적극 참여하는 용기를 지님과 같다.
어려운 일이다. 참으로 어려운 일이고 나도 아직 잘 못 하고 있는 일이다.
+
어젠 알바를 하는데 어떤 연유로 짜증이 잔뜩 났습니다. 스트레스 지수가 상당히 높아졌고 누가 건드리면 애꿎은 이가 피해를 입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지하철을 타고 집에 가는 50여 분 시간 동안 1쪽 분량의 수업 쪽글을 미친 듯이 썼습니다. 그렇게 초안을 완성하자 기분이 누그러들고 짜증도 사라졌습니다. 넥서스7을 잘 샀다고 다시 한 번 중얼거렸습니다.
기승전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