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오름 네 번째. 차이와 차별을 상상할 수 있는 세상을 바라며

인권오름에 쓴 마지막 원고입니다. 부끄럽게도 날림으로 휘리릭, 쓴 원고입니다. ;ㅅ;

인권오름에서 읽기: http://goo.gl/TtR7Z
웹페이지로 읽기: http://goo.gl/rKHOP

그냥 여기서 읽기.. 흐.


인권오름4: 차이와 차별을 상상할 수 있는 세상을 바라며
-루인

얼마 전, 19세기 미국과 유럽의 프렉쇼를 다룬 책을 읽었다. 프렉쇼란, 오늘날의 의미로 장애인이나 퀴어가 무대에서 자신의 몸을 전시하는 일종의 서커스다. 이 쇼를 통해 프렉은 직업을 구할 수 있었고, 관객은 자신의 몸이 규범적이란 망상을 (재)생산할 수 있었다. 저자는 이 쇼가 지속될 수 있었던 여러 이유 중 하나로, 관음증을 든다. 관음증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인식이 부재했기에 프렉쇼 흥행이 가능했다고 지적한다. 그러며 관음증이 윤리적인 문제가 된 20세기 초, 프렉쇼는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한다(물론 관음증이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하 지만 관음증을 금기시한 시대는 없다. 관음증의 금기는 사회의 비규범적인 존재, 지배적인 지위에 속하지 않는 존재에게나 해당하는 윤리다. 아울러 20세기 초, 관음증이 윤리적인 문제가 되면서 프렉쇼만 쇠퇴한 것은 아니다. 관음증이 윤리적인 문제가 되면서 사람들은 프렉쇼를 관람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프렉도 바라보지 않았다. 프렉쇼 관람이라는 관음증을 금기하면서, 프렉/퀴어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 소위 규범적이라고 여기는 존재만 세상에 존재하기 시작했다.

며칠 전, 한 지인이 내게 차별이나 차이가 없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 것 같냐고 물었다. 관련 글을 써야 하는데 고민이 많다고 했다. 난 차별이나 차이가 없는 세상에서 살아본 적이 없어 그것은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세상이 아니라고 말했다. 아울러, 차이와 차별이 없는 세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그런 세상에서 ‘우리’는 인간을 인식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 지인이 글을 쓰기 힘든 이유엔 이런 점도 있었기에, 이런 저런 얘기를 하며 서로 공감했다.

차이나 차별은, 타인을 인간으로 인식할 수 있거나, 인식할 수 없게 하는 장치다. 차이가 차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차별이 차이를 만든다. 그리고 차별과 차이는 인간의 범주/한계를 규정하고 인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다. 차이와 차별이 없다면, 그 세상에서 우리는 타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가 겪는 불편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그래서 차이와 차별은 다른 말로, 인간을 구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치적 범주(‘정체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그것)다.

나는 차이와 차별이 그 자체로 나쁘다고 생각지 않는다. 물론 그것은 많은 경우, 개인 간의 위계질서를 만들려는 기획에서 등장한 범주다. 하지만 그 범주 덕에 나는 인간의 더 많은 차이를, 좀 더 다양한 입장을 인식하고 상상할 수 있다. 특강을 갈 때면, ‘나 역시 하리수 씨와 같은 트랜스젠더다’라고 말하며, 수술하지 않는 트랜스젠더를 부각한다. 그러며 나를 전시한다. 남성인 것 같은 사람이 남성이 아닐 수도 있고, 여성인 것 같은 사람이 여성이 아닐 수도 있다는 말보다, 나의 몸을 관음할 수 있도록 할 때, 그 효과가 더 확실했다. 트랜스젠더의 몸이 트랜스젠더로 드러날 때, 이것은 그 자체로 운동이란 점을 나는 매번 체감한다. 차이를 부각하는 일은 ‘내’가 이제까지 상상할 수 없었던 어떤 가능성과 세상을 상상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의 방법이 시각경험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유쾌하진 않지만, 내가 마냥 대상화되는 것은 아니다(대상화되면 또 어떤가? 나는 대상화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그렇게 문제라고 여기지 않는다).

그렇다고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자는 말은 아니다. 그럴리가. 어떤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면 이를 인식할 수 있는 나의 맥락, “뭔가 다르다”고 느끼는 나의 감정을 살피자는 것 뿐이다.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말은, 그것의 호소력과 효과에도 불구하고 차이와 다양성이 발생하는 구조를 은폐한다. 관용 운운은 ‘나’의 위치를 고민하지  않으며, 나와 타인을 전혀 무관한 것으로 분리할 뿐이다.

차이는 자연스러우니 차별은 어쩔 수 없다는 말도 아니다. 그럴리가. 타인을 만나는 과정에서 어떤 차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단 얘기를 하고 싶을 뿐이다. 만약 어떤 차이를 통해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풍성한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이럴 때 차이가 나쁠 이유가 무엇인가? 차별을 차이가 생산되고 유통되는 구조로 이해한다면, 차별이 마냥 없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차이를 ‘쿨’하게 무시하며 마치 ‘우리는 같은 인간’이란 식으로 대하는 태도보단, 차이와 차별을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사실 … 이것은 나부터 실천해야 하는 자기다짐이다. 그리고 차별금지법 제정 관련 이슈가 다시 부각는 이 시점에서, 더 많은 인간경험(그러니까 차이와 차별)을 나눌 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