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쪽글입니다. 이 글로 지난 학기 수업 쪽글은 끝. 퀴어와 페미니즘의 관계를 쓴 글에 대한 요약 정리 쪽글이고요. 입문서 성격이 강한 글이기도 합니다.
===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은 어떻게 만날까? 둘은 서로 다른 입장에서 다른 논의를 전개하는 정치학일까, 서로 교차하기도 하고 갈라지기도 하며 또 다른 지형을 탐문하는 정치학일까? 물론 단 한 번도 퀴어 이론과 페미니즘(그리고 트랜스젠더리즘)이 별개일 수 없다는 입장이라면 이런 식의 질문은 그 자체로 또 다른 곤란함을 야기한다. 별개인 적 없는데 별개로 사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둘을 구분해서 이해하는 이들에게 이 질문은 유의미하다. 이미 1990년대 중반 페미니스트와 퀴어 이론가가 둘의 접점을 모색했음에도(Feminism Meets Queer Theory) 여전히 둘을 분리해서 사유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둘을 별개로 사유하는 이들에겐 일단 각각을 구분해서 설명하고 그 다음 연결하는 방식이(상당히 문제가 많다고 해도) 수월하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선 유용할 수도 있다.
퀴어 페미니즘을 논하는 미미 마리누치(Mimi Marinucci)의 책은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의 교차점을 출발한다. 이것은 1994년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Against Proper Objects”에서 페미니즘의 주요 논제를 젠더로만 환원할 수 없다는 비판적 입장보다는 1992년 헨리 에이브러브 등(Henry Abelove, Michele Aina Barale, David M. Halperin)이 편집한 책 The Lesbian and Gay Studies Reader의 서론에서 시도한 구분에 따른다는 뜻이기도 하다. 에이브러브 등은 페미니즘이 젠더에 초점을 맞추고 논하듯 레즈비언과 게이 이론은 섹스와 섹슈얼리티에 초점을 맞춘다며 레즈비언과 게이 이론을 규정하려 했다. 마리누치 역시 “퀴어 이론의 경우, 섹스와 섹슈얼리티를 강조한다. 페미니즘 이론의 경우 젠더와 섹스를 강조한다”(106)고 말하며 둘을 구분한다. 그렇다면 이때 페미니즘은 무엇인고 퀴어 페미니즘은 무엇인가?
퀴어 페미니즘에 있어 페미니즘은 대체로 제2 물결 페미니즘을 뜻한다. 마리누치는 제2 물결 페미니즘을 탐문하는 작업은 대개 두 가지 경로로 진행된다고 설명한다. 첫째, 포스트 페미니즘은 제2 물결의 미션이 이미 성취되었기에 페미니즘은 더 이상 필요없다고 얘기한다(107-8). 둘째, 제3 물결 페미니즘은 제2 물결 페미니즘의 방식으로는 위계와 권력을 문제 삼을 수 없기에 제2 물결은 철지났을 뿐만 아니라 진부하다고 주장한다(108). 포스트 페미니즘과 제3 물결 페미니즘 혹은 퀴어 페미니즘은 둘 다 제2 물결 페미니즘에 부정적으로 반응하지만 대응은 전혀 다르다. 전자가 페미니즘의 불필요를 논한다면 후자는 새로운 페미니즘의 필요를 주장한다. 마리누치에게 퀴어 페미니즘은 새로운 필요로서, 지금 등장해야 하는 흐름이자 방향이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 모두에서 인종차별주의와 계급차별주의가 존재했음을 인정하고 이를 반성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비판적으로 지배의 논리와 위계를 문제삼아야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퀴어 이론과 페미니즘은 교차한다. 퀴어 이론은 언제나 이분법과 위계에 비판적이며 페미니즘 역시 억압과 위계에 비판 이론이다. 그리하여 퀴어 페미니즘은 페미니즘 내에 존재한 LGBT 혹은 퀴어 혐오, 퀴어 연구/섹슈얼리티 연구에 존재한 여성 혐오를 방지하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둘의 교차점에서 더욱 날카로운 비판 이론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