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 이태원, 관습

알바가 끝나면 곧장 玄牝으로 돌아가지 않고 카페에서 두어 시간 머문다. 음료를 주문하는 비용이 부담스럽지만 玄牝의 찜통 더위를 감당할 자신이 없어서다. 카페에선 후치랑 놀 수도 있고 글도 읽을 수 있지만 玄牝에선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저 더위에 지쳐 널부러질 뿐.

카페에 머물 수 있는 건 저녁에 카페에 머물 정도의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알바를 한 결과다. 만약 저녁에 카페에 머물 여유가 없었다면 그냥 玄牝에 갔겠지. 아무튼 이것도 한철. 가을에도 생활비에 여유가 있을까? 알 수 없다. 그나마 다행인 건 가을이면 玄牝도 그렇게 덥지 않으니까 카페에 머물 이유가 없다. 이렇게 살아가는 걸까? 어떤 시기엔 당장 내일 생활비가 없어 전전긍긍인데 어떤 시기엔 약간의 사치도 가능하다. 그래서 불안하지만 내 삶이 이러지 않았던 적이 있었던가?

이태원에서 살아가는 트랜스젠더 몇 명을 만나며 재밌는 얘길 많이 듣는다. 이태원에선 별스럽지 않은 경험이 이태원이 아닌 지역에선 생경하다. 몇 해 전 신촌 근처 가게에서 신발을 고를 땐 점원의 끊임없는 간섭에 시달렸다. 그는 나의 취향을, 나의 선택을 간섭했고 통제했다. “손님, 그건 여성용이고 손님은 저쪽으로 가셔야 합니다.” 이 말은 내가 구경하고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자격을 박탈했다. 이건 한국의 여느 지역에서도 빈번한 관습이다. 그리고 나는 점원이 지시하는 곳으로 가지 않고, 가게를 떠났다. 이태원에서 내가 ‘여성용 운동화’를 고른다면? 점원은 나를 “언니”라고 부르거나, 그렇진 않아도 최소한 간섭은 하지 않는다. 이것은 문화의 문제일까, 자본 아니 돈의 문제일까? 물론 이렇게 분리해서 질문할 수 없다. 이런 저런 요소들이 뒤엉켜 있으니까.

하지만 자본의 문제라고 해도 이태원에서의 태도는 감동이다. 신촌이라고, 동대문이라고 자본의 문제에서 자유로운 건 아니니까. 내가 무얼 팔건 점원은 돈만 벌면 그만일텐데, 점원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끊임없이 간섭하고 통제한다. 가게에선 바로 그들이 젠더규범의 감시자다. 그들은 나의 선택에 개입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 듯하다. 그들의 개입에 호응하지 않으면, 그들은 나의 행동에 화낸다. 하지만 이건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점원의 행동은한국에서 살아가는 대부분의 개인이 타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방식을 반복했을 뿐이니까. 그래서 점원들의 입장에선 그들의 행동이 문제가 아니라 나의 행동이 문제고, 골칫거리다. 이런 나의 행동을 골칫거리로 여기더라도 개입하지 않는 태도, 바로 이것이 일종의 ‘감동’이다. 한국이기 때문에 이태원에서 접할 수 있는 태도가 감동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태원은 낯설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이태원은 낭만적인 곳으로 변한다. 이태원이 주거공간인 이들에게 나의 태도는 매우 불편하겠지만, 가끔은 이런 낭만적인 망상이라도 해야 숨통이 트이잖아.

암튼 이태원에서 살아 가고 있는 트랜스젠더들을 만나며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을 고민하는 한편, 나의 미래도 상상한다. 10년 뒤의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 여전히 지금처럼 끔찍할까? 지금보다 더 끔찍한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 학교에 속해 있을까? 밤이면 트랜스젠더 클럽에서 알바를 하고 있을까? 아니, 살아 있긴 할까? 글쎄 ….


*
나는 이 글에서 mtf/트랜스여성을 트랜스젠더로 썼다. 일부러 그랬다. 요즘 트랜스젠더와 관련 있는 용어들을 처음부터 다시 고민하고 있다. 예전에 한 번 쓴 적이 있는데, 만약 다시 쓸 기회가 생긴다면 상당히 다른 내용을 쓸 거 같다.

『젠더』: 상대방의 젠더를 판단하는 여러 기준들

미국정신의학회(APA)의 1974년 회의에서 성전환증(transsexualism) 세션에 참가한 한 의사는 mtf 트랜스섹슈얼이 유난히 예쁘고, 일반적인[비트랜스] 미인이 자신에게 유발하는 느낌을 환기한다면, 그 mtf 트랜스섹슈얼의 여성다움을 더 잘 확신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사는 트랜스섹슈얼이 정말로 자신이 주장하는 젠더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의사 자신에게 성적인 흥미를 일으키는지로 판단한다고 우리에게 말했다.
-Kessler, Suzanne J. and Wendy McKenna. Gender: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18.
(번역은 대충 날림입니다. 이럴 때 사용하라고 만든 격언이 아니겠지만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세요.” *뻔뻔*)


한동안 분주했고, 별도의 읽을거리가 있어 『젠더』를 못 읽었다. 원래는 『젠더』를 6월까지 다 읽으려고 했는데 실패했다. 하지만 특별히 아쉬운 건 아니다. 어쨌든 어제부터 약간의 시간이 생겨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을 시작하며 인용한 구절은 예전에 다른 곳에서 들은 적이 있다. 2006년 여름이었나. 여이연에서 트랜스젠더 강좌를 열었는데 담당 강사가 위의 일화를 소개했다. 무척 인상 깊어 어디선가 몇 번 언급했지만, 출처가 명확하지 않아 인용하길 관뒀다. 근데 『젠더』에 나오는 일화일 줄은 상상도 못 했다. 어제 늦은 밤 지하철에서 이 구절을 읽고 꽤나 흥분했다. 흐흐.

이 책이 처음 나온 시기가 1978년이란 점, 그러니 1970년대 중후반에 이 책을 썼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시엔 트랜스젠더를 진단할 공적 진료규범이 없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 성전환증(transsexualism)을 성동일성장애(GID: gender identity disorder)란 항목으로 의료진단범주에 포함한 건 1980년이니 그전까진 설만 분분했다. 이런 시기에 몇 명의 의사들이 위와 같은 얘길 했다: 자신을 트랜스젠더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찾아왔을 때, 진짜 트랜스여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자신에게 성적인 흥분을 일으키는지, 자신이 “환자”에게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지로 판단한다고.

의사들이 다소 노골적으로 표현했을 뿐 유별난 기준은 아니다.

작년 ftm 관련 다큐를 여성영화제에서 상영한 후 감독 및 출연자와의 대화 시간을 가졌을 때, 몇 명의 관객들은 출연자를 보며 “쟤는 좀 남자 같네.”라고 속삭였다. 난 이 속삭임과 『젠더』에서 전하는 의사들의 발언에서 어떤 차이도 찾을 수 없다. 하리수를 “여자보다 더 여성스러운”이란 수식어로 설명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나아가, 어떤 개인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구분하는 일상의 실천 역시 마찬가지다. 누군가를 “여성”으로, “남성”으로 판단하는 방식은 위에 인용한 의사들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의사들은 매혹을 기준으로 삼았고, 어떤 사람은 머리카락 길이를 기준으로 삼고, 어떤 사람은 걷는 방식이나 목소리 톤을 기준으로 삼는다. 전화를 걸었을 때 목소리만 듣고선 상대를 “여자”로 판단한다면, ‘내’가 “여성의 목소리”라고 판단할 자극을 받았다는 의미기도 하다. 이것이 위의 의사들이 성적 매력, 유혹으로 판단하는 것과 얼마나 다를까.

이런 구분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매우 드물고 나 역시 이런 구분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러니 이런 구분을 옳고 그름이나 잘잘못으로 구분하는 건 곤란하다. 이 말을 덧붙이는 건, 예전 어느 강의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몇 번인가 의사의 사례를 언급했는데, 그 당시 강의실은 술렁이며 의사를 비난하는 분위기였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며. 그건 의사의 성차별적인 태도를 향한 비판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술렁임, 의사를 향한 비난/비판은 용인할 만한 행동과 용인할 수 없는 행동을 구분하고 있단 점에서 유쾌하지 않다.

유쾌하지 않음, 불쾌한 건 아니라도 유쾌한 건 아닌 감정은 순전히 나의 경험 때문이다. 내 몸은 언제나 나를 배신한다. 낯선 사람을 만날 때 많은 이들이 나를 “남성”으로 판단했다가 내가 트랜스젠더인 걸 ‘알면’ 태도가 미묘하게 바뀐다. 혹은 나의 이름은 알고 오프라인의 모습은 모르다가 오프라인에서 인사를 할 때, 내가 “그 루인”이라는 얘길 할 때면 종종 놀라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놀람은 지극히 당연하다. 사람들이 트랜스젠더를 소비하는 방식에서 내 몸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글로 드러나는 나와 오프라인에서 드러나는 나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있기 때문이다. 성질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놀람은 온라인이나 글로만 알던 사람을 오프라인에서 만났을 때도 빈번하잖아. 그저, 이런 놀람과 의사의 발언을 구분하고 놀람은 괜찮지만 의사의 발언은 나쁘다는 식으로 반응하는 태도가 유쾌하지 않았다.

어제 지하철에서 『젠더』를 읽다가 이런 저런 고민이 떠올랐다. 요즘 다시 두드러진 고민 중 하나가, 20~30년 뒤의 내 모습이라 좀 심란하기도 했고.

이태원, 트랜스젠더 역사 찾기

요즘 이태원 관련 자료를 찾으며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유추하고 있다. 1980년대 이태원에 트랜스젠더들이 상당했음을 유추하는 건 어렵지 않다. 그럼 1970년대엔? 이 시기의 자료를 찾기가 어렵다. 막연한 추측은 할 수 있다. 1970년대 박정희는 미군을 붙잡기 위해 미8군 지역 근처에 성매매 지역을 조성하고 “사회정화운동”을 펼쳤다. 이 당시 비트랜스’여성’만이 아니라 트랜스여성들도 같이 있지 않았을까? 물론 그 시기의 사람들을 트랜스젠더로 부를 수 있는가와 같은 논의는 별개로 하자. 일단은 현재의 트랜스젠더와 비슷한  1970년대의 사람들을 트랜스젠더로 수렴해서 부르자. 임시방편이란 항상 가장 위험한 방편이지만, 그래도 일시적으론 효과가 있으니까. 역사를 추적하기 위해 현재의 조건을 과거에 강제로 적용하는 것도 때로 유용하니까.

어제 한 선생님과 얘기를 나누다 무척 흥미로운 일화를 전해 들었다. 물론 선생님의 일화는 아니고 선생님의 지인이 전해준 일화. 그 일화에 따르면 1970년대 후반, 트랜스젠더, 레즈비언 커플, 게이 커플은 이태원에서 익숙한 이웃이라고 한다. 문제될 것 없는, 그냥 내 이웃.

일화를 조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자 커플 같은데 한 명은 여자처럼 옷을 입고, 다른 한 명은 남자처럼 옷을 입은 도배장이 커플이 이태원에서 도배 능력으로 꽤나 잘 나갔다”고 한다. 이들이 비트랜스 레즈비언 커플인지, 이성애-트랜스남성과 이성애 여성 커플인지, 이성애-트랜스남성과 레즈비언 여성 커플인지, 바이 커플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이 모든 명명과 구분은 현재의 것이다. 그 당시 이태원에선 이런 구분 자체가 무의미했을 터.

이 일화에서 명확하게 유추할 수 있는 건 매우 적다. 주변 사람들이(혹은 이태원 외부에서) “뭔가 이상하다”고 여길 법한 이들이 이태원엔 빈번했음이, 이 일화로 유추할 수 있는 사실 중 하나다. 이 유추를 통해, 현재의 의미로 트랜스젠더라 부를 법한 이들이 1970년대에도 이태원에서 살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일화를 전해 들으며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이 일화와 유사한 일들을 전해 줄 수 있는 분이 이미 돌아가셨다는 것. 고백하자면, 한 사람의 죽음을 안타까워 한 건지, 중요한 증언을 들을 기회가 사라져 안타까운 건지 헷갈렸다. 아니다. 거짓말이다. 조금 부끄럽게도, 증언을 들을 기회가 사라져 안타까웠다.


+그냥 덧붙이는 근황+
계단을 오를 때마다 뒤로 넘어갈 뻔한다. 아차 하는 순간 뒤로 넘어가겠다는 위기를 느낄 때도 있다. 이 여름. 어쨌든 살아 남는 게 최우선이다. 작년보다 올해 여름은 더 덥고, 나는 더 쉽게 지친다. 평소와 다르지 않게 먹고 있는데, 몸은 더 빨리 지친다. 그래도 괜찮다. 지금은 여름이니까. 내 몸은 여름마다 항상 이랬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