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인, “춤추고 노래하는, 이것이 우리의 투쟁” 한겨레21 1018호.
나로선 놀랍게도 아직 한겨레21에 6주에 한 번 글을 연재하고 있다. 왜 놀랍냐면,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기획 자체는 무척 좋지만, 이것을 주간지에서 계속 끌고가느냐 중간에 자르느냐는 다른 문제기 때문이다. 제한된 지면에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야 한다는 점에서 때론 좋은 기획도 금방 끝날 때가 많다. 하지만 이것보다 주간지 연재 혹은 불특정 다수를 독자로 삼는 잡지에 글을 쓰는 훈련이 충분하지 않은 내가, 심지어 글쓰기도 많이 서툰 내가 얼마나 오래 쓸 수 있을지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처음엔 3회, 그 다음엔 5회를 한계로 잡았다. 그 정도가 되면 필진에서 짤릴 거라고 예상했다. 어찌된 일인지 아직은 글을 쓰고 있다. 이러다 1년을 채우나?
그럼에도 나는 처음 한두 번을 빼면 블로그에 연재와 관련한 글을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남겨야 한다. 이번주 월요일에 출판된 글의 경우, 담당 기자에게 보낸 판본과 인쇄본 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원고를 담당 기자에게 보낼 때부터 좀 불안했던 구절이 있었다. 그 구절이 나온다면 고소를 당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그럴 만한 내용이 아니라고, 나로선 정당한 구절이라고 믿지만 그럼에도 단지 그 한 구절로 인해 고소를 당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었다. 그리고 담당자에게 보냈다. 답장이 왔다. 그 구절과 관련한 내용을 자신이 모르고 있으며, 아무래도 문제가 될 것이라 수정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줬다. 어떻게 할까 고민했지만 처음엔 이름 정도만 수정했다. 담당자는 전체적으로 ‘수위’를 조절한 의견을 보내왔다.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것은 주류 매체가 취해야 하는 조심스러움일 수도 있고, 어떤 한계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담당자의 의견을 받아들였고 수위를 조절한 내용으로 출판하는 것이 더 낫겠다고 판단했다. 어쨌거나 이것은 잡지의 문제라기보다는 나의 판단이란 뜻이며 온전히 나의 책임이란 뜻이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라도 공적 문서에 기록되고 출판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다음은 수정된 문장이다.
일부가 축제 및 영화제 전체 구성원과 논의도 없이 이름과 역사적 성과를 전유해 만든 서울LGBT영화제는 그냥 올해 처음 생긴 영화제다.
다음은 내가 처음에 보낸 문장이다.
김조광수 씨를 비롯한 일부가 축제 및 영화제 전체 구성원과의 논의도 없이 이름과 역사적 성과를 비도덕적이고 비윤리적으로 탈취해서 만든 서울LGBT영화제는 그냥 올해 처음 생긴 영화제다.
아시겠지만, 나로선 최대한 조심스럽고 또 수위를 낮춘 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