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논하는 퀴어이론인가: 동성애규범성homonormativity

2012년 09월 20일에 제출한 글입니다. 더 정확하게는 수업 쪽글이고요. 그냥 묻어버리기보다 기록으로 남겨야지 싶어 여기 공개합니다.
서지사항을 작성해야 한다면
루인. “누가 논하는 퀴어이론인가: 동성애규범성” Run To 루인 2012.09.20. 웹. 2012.09.22.
정도가 되려나요? MLA 기준에 따르면 글을 공개한 날짜와 해당 웹페이지에 접근한 날짜를 적으라고 합니다. 하지만 공개 날짜가 이틀 늦은 것 뿐이고 이후 수정할 가능성이 없으니 날짜를 저렇게 해도 되지 않을까 싶고요.
===
누가 논하는 퀴어이론인가: 동성애규범성
-루인
1973년 동성애 활동가와 그 지지자의 노력으로 DSM에서 ‘동성애’ 항목이 빠졌을 때 이것으로 끝난 줄 알았다. 1980년 GID가 DSM에 추가되었을 때 이 항목은 트랜스젠더를 진단하는 범주로만 이해되었다.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Eve Kosofsky Sedgwick)은 동성애자 활동가가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구분하는 새로운 접근법에 따라 GID에 무관심했다고 지적한다(20). 많은 동성애자 활동가가 GID와 동성애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여기며, 여성스런 남자아이 혹은 젠더 비순응적 남자아이와 성인 게이를 분리하였다. 이런 식의 젠더와 섹슈얼리티 구분은 동성애 이슈를 섹슈얼리티 이슈로 수렴했고 게이, 레즈비언의 남성 혹은 여성이란 젠더 범주는 안정적이며 ‘대상 선택’이 주요 이슈라고 주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하지만 모든 동성애자 활동가가 GID에 무관심했던 것은 아니다. 칼 브라이언트(Karl Bryant)에 따르면 일부 동성애자 활동가는 GID, 특히 아동의 GID(GIDC)가 1973년 동성애가 빠진 것에 대한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GIDC가 아동 동성애자를 정신병으로 진단하기 위한 범주며, 성인 동성애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막연한 비판과 우려가 아니었다. 세지윅도 논하고 있는 리처드 그린의 장기 추적 연구에 따르면, GIDC 진단을 받은 이의 ¾이 게이나 바이로 자랐다. 이 연구를 빌미로 많은 동성애자 활동가가 GIDC 삭제를 주장했다. 다른 한편, 일부 의사 집단은 GIDC가 동성애 예방을 의도하지 않으며 성적 지향을 바꿀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며 반박했다. 리처드 그린은 동성애자 되기를 예방하지 않는다고 얘기했는데(Sedgwick, 24) 이것이 완전한 거짓말은 아니었다. 그린을 비롯한 이들은 GDIC가 치료하는 것은 동성애가 아니며, 자신들은 젠더를 치료하지 섹슈얼리티는 치료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같은 책에서 그린은 “그런 개입은 트랜스섹슈얼과 트랜스베스타잇을 미연에 방지한다. 하지만 성적 지향은 고려하지 않으니 아이가 성장하면 동성애자가 된다”(Bryant, 466)고 주장했다. 그린의 주장에 따르면 동성애는 치료와 예방의 대상은 아니지만 트랜스젠더는 치료와 예방의 대상이며, 트랜스젠더에게 적절히 개입하면 동성애자가 된다는 주장과 같다.
세지윅과 브라이언트 모두가 지적하듯, GIDC의 또 다른 문제점은 남자아이의 여성성을 병리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GIDC는 동성애 남자아이의 남성성을 문제 삼지 않는다. 게이로 자라건, 이성애자로 자라건 남성성을 적절히 실천한다면 성적지향은 문제가 안 되거나, 큰 문제는 아니다. 음경을 지닌 사람이 여성성을 실천하는 것이 문제다. GIDC는 음경을 지닌 사람의 여성성을 정신병리화하고 있으며 이것을 치료하여 규범적 남성을 생산하고자 한다. 브라이언트는 이를 두고 GIDC가 “동성애 근절이 아니라 이성애규범적이고 퀴어하지 않은 형태의 동성애를 생산”(469)한다고 지적했다. 실재 GIDC 논쟁에서 핵심은 트랜스젠더와 동성애의 구분이 아니다. 어떤 규범을 생산하고자 하는가가 핵심이다. 이성애규범성에 문제제기하지 않으면서, 문화시민인 동성애자를 적법한 주체로 만들고 중산층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젠더-섹슈얼리티 실천을 배제하는 행위, 즉 동성애규범성에 문제제기가 세지윅과 브라이언트 논의 모두에서 찾을 수 있는 핵심이다.
그럼에도 GIDC 논의에서 트랜스젠더는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구분과 겹침 논쟁이기도 하다.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관계는 트랜스젠더 이슈에서 언제나 모호하고 불분명한 경계를 만든다. 이를 테면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분명하게 분리할 때 LGB의 젠더 이슈는 은폐되거나 누락되고, 그것은 섹슈얼리티 이슈로 수렴된다. 게이나 레즈비언, 바이의 젠더표현이 문제가 된 사건이 성적지향에 따른 차별로만 독해된다. 그리하여 LGB와 T가 겪는 유사한 차별 경험이 별개의 경험으로 분리되고 서로 무관한 사회적 맥락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오인된다.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구분하지 않을 때, 특히 젠더를 섹슈얼리티의 일부로 이해할 때 T는 LGB의 변종, 기이한/새로운/신종 성적 취향, 혹은 이성애자되기 기획일 뿐이다. 그리하여 동성애자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의 삶, 게이와 mtf, 레즈비언과 ftm의 경계 분쟁을 설명하기 힘들게 만든다. 젠더와 섹슈얼리티는 트랜스젠더 몸에서 분리할 수도 없고 등치할 수도 없는 그런 관계를 맺고 있다.
퀴어이론은 젠더 이론인가 섹슈얼리티 이론인가라는 논쟁은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복잡한 관계를 누락할 우려가 있다. 퀴어이론을 섹슈얼리티 이론으로 전유한다면 이것은 누가 얘기하는 퀴어이론인가? 누구의 경험만을 ‘퀴어한’ 경험으로 전유하려는 것인가? 만약 동성애자의 경험을 이성애자의 경험과는 다른 경험의 대표 아이콘으로 특권화하며 특정 동성애 경험을 제외한 다양한 비규범적 젠더-섹슈얼리티 실천을 주변화한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퀴어이론의 지속적 발달은 퀴어이론을 백인 중심의 동성애 이론으로 전유하고, 트랜스젠더를 혐오하고 배제했던 역사와 담론에 근본적으로 도전한 이들의 성과를 밑절미 삼는다. 그래서 퀴어이론은 이성애규범성과 동성애규범성을 비롯한 규범적 사유, 이론, 언어를 문제삼으며 발달했다. 이런 점에서 세지윅이 게이와 레즈비언의 기원에 관한 안정적 이론은 없다고 했던 것처럼(26), 퀴어이론의 토대가 섹슈얼리티 이론일 이유도 없고 안정적 토대를 찾을 수도 없다.

트랜스젠더, DSM-V, GID에서 GI로..

1973년, 동성애가 정신병 진단 편람(DSM)에서 빠졌습니다. 그후 동성애는 정신병으로 진단되지 않(았)을까요? 1980년 트랜스섹슈얼/트랜스젠더를 정신병리화하려는 기획으로, 젠더 정체성 장애 혹은 성 주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GID)가 DSM-III에 포함되었습니다. 1994년, DSM-IV에도 포함되었고요. 이것은 통상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을 정신병으로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 동성애와는 무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아닙니다. GID는 여성이지만 여성답지 않거나, 남성이지만 남성답지 않은 이들을 모두 관리하려는 기획으로, “문화시민 동성애자”를 제외한 모든 변태를 포괄합니다.

그럼 DSM-IV는 GID를 어떻게 설명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http://goo.gl/jxoY서 확인하시고, 개략적으로 살피면 다음과 같습니다.

A. A strong and persistent cross-gender identification (not merely a desire for any perceived cultural advantages of being the other sex).
강하고 지속적인 교차-젠더 동일시(단지 다른 섹스의 문화적 이득을 위한 욕망은 아님)

B. Persistent discomfort with his or her sex or sense of inappropriateness in the gender role of that sex.
그 혹은 그녀의 섹스와 지속적인 불편함 혹은 그 섹스의 젠더 역할에서 부적절하다는 감정

“교차-젠더”, “다른 섹스”라고 번역했지만, 사실상 여성 아니면 남성만을 가정하기에 반대의 성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DSM-IV의 정의는 지정받은 섹스-젠더가 당연한 데 그것에 불편함을 느낀다는 식입니다. 그래서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은폐하고 개인이 문제라고 여깁니다. GID가 논쟁인 건, 비단 이런 정의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DSM-IV에 속한다는 것 자체가, 정신병리화의 징표이기에 이것 자체에 문제제기하는 입장이 상당합니다. 내가 문제가 아니라 개인을 이분법에 구겨 넣으려는 사회적 인식이 문제라면서요. 물론 이 논쟁엔 계급과 인종 등의 이슈가 얽히면서 좀 더 복잡하고 의료보험적용 문제로 개개인의 위치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긴 합니다.

이런 논쟁과는 별도로, 새로운 개정안인 DSM-V( http://goo.gl/0nL6 )는 새롭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은 개정안이며 확정안은 아닙니다만…

일단 명칭이 GID(Gender Identity Disorder)에서 GI(Gender Incongruence, 젠더 불일치)로 바뀌었습니다. Disorder(장애, 무질서)에서 Incongruence(불일치, 부조화)로 수위가 변했습니다. 정신병 진단 편람에 포함되니 병리화는 하지만, 표현 방식은 바꿨달까요? 아울러 GI를 정의하는 방식도 변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goo.gl/MDumhttp://goo.gl/fkCX 참고)

Gender Incongruence (in Adolescents or Adults)
(청소년이나 성인의) 젠더 불일치

A. A marked incongruence between one’s experienced/expressed gender and assigned gender, of at least 6 months duration, as manifested by 2* or more of the following indicators:
최소한 6개월 동안, 두 명 이상의 지정 받은 사람이 인정하며, 자신이 경험하는/표현하는 젠더와 지정받은 젠더 간의 현저한 불일치.

1. a marked incongruence between one’s experienced/expressed gender and primary and/or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or, in young adolescents, the anticipated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자신이 경험하는/표현하는 젠더와 일차 그리고/혹은 이차 성징(혹은 어린이의 경우 예상되는 이차 성징) 간의 현저한 불일치

2. a strong desire to be rid of one’s primary and/or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because of a marked incongruence with one’s experienced/expressed gender (or, in young adolescents, a desire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he anticipated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자신이 경험하는/표현하는 젠더와의 현저한 불일치로 자신의 일차 그리고/혹은 이차 성징을 피하려는 강한 욕망(혹은, 어린이의 경우, 예상되는 이차 성징의 발달을 예방하려는 욕망)

3. a strong desire for the primary and/or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gender
다른 젠더의 일차 그리고/혹은 이차 성징에 강한 욕망

4. a strong desire to be of the other gender (or some alternative gender different from one’s assigned gender)
다른 젠더(혹은 자신의 지정된 젠더와 다른 어떤 대안적 젠더)이고자 하는 강한 욕망

5. a strong desire to be treated as the other gender (or some alternative gender different from one’s assigned gender)
다른 젠더(혹은 자신의 지정된 젠더와 다른 어떤 대안적 젠더)로 다뤄지길 바라는 강한 욕망

6. a strong conviction that one has the typical feelings and reactions of the other gender (or some alternative gender different from one’s assigned gender)
자신이 다른 젠더(혹은 자신의 지정된 젠더와 다른 어떤 대안적 젠더)의 전형적인 감정과 반응을 가진다는 강한 인식

놀란 부분은 두 곳. “개인의 섹스”가 아니라 “지정받은 젠더assigned gender”로 바꾸고, 지정받은 젠더가 “경험하는/표현하는 젠더experienced/expressed gender”와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느끼기에 따라선 매우 놀라운 변화입니다. 충분히 만족스럽진 않아도, 협상에서 수긍할 수도 있는 안이고요. 아울러 “다른 섹스other sex”에서 “다른 젠더other gender”로 표현을 바꿨을 뿐만 아니라 “대안적 젠더alternative gender”를 추가했네요. 젠더를 둘로 제한하지 않겠다는 의미일 수도 있고, 둘로 제한하지만, 둘 중 하나로만 제한되지 않는 다른 어떤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확실한 건 최종안이 나오면 확인할 수 있겠죠(사실 이미 관련 논의가 상당히 나왔겠지만 영어를 잘 못 해서.. ;ㅅ; ). 개정안이 어떤 식의 효과를 가져올지는, 전문을 꼼꼼하게 읽고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해야 하고요. 아무려나 이렇게라도 바뀔 수 있었던 건, 결국 운동의 성과겠죠. 확실한 건 아니지만 DSM을 개정안을 작성할 때 트랜스젠더 활동가들이 참가했다고 들었고요.

사실 이번 개정안에 약간은 구경꾼과 같은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황과 한국의 상황은 너무도 다르니까요. DSM이 한국에 상당한 영향을 주긴 하지만, 의료제도부터 일상생활까지 달라도 너무 다르니까요.

『젠더』: 상대방의 젠더를 판단하는 여러 기준들

미국정신의학회(APA)의 1974년 회의에서 성전환증(transsexualism) 세션에 참가한 한 의사는 mtf 트랜스섹슈얼이 유난히 예쁘고, 일반적인[비트랜스] 미인이 자신에게 유발하는 느낌을 환기한다면, 그 mtf 트랜스섹슈얼의 여성다움을 더 잘 확신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사는 트랜스섹슈얼이 정말로 자신이 주장하는 젠더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의사 자신에게 성적인 흥미를 일으키는지로 판단한다고 우리에게 말했다.
-Kessler, Suzanne J. and Wendy McKenna. Gender: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18.
(번역은 대충 날림입니다. 이럴 때 사용하라고 만든 격언이 아니겠지만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세요.” *뻔뻔*)


한동안 분주했고, 별도의 읽을거리가 있어 『젠더』를 못 읽었다. 원래는 『젠더』를 6월까지 다 읽으려고 했는데 실패했다. 하지만 특별히 아쉬운 건 아니다. 어쨌든 어제부터 약간의 시간이 생겨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을 시작하며 인용한 구절은 예전에 다른 곳에서 들은 적이 있다. 2006년 여름이었나. 여이연에서 트랜스젠더 강좌를 열었는데 담당 강사가 위의 일화를 소개했다. 무척 인상 깊어 어디선가 몇 번 언급했지만, 출처가 명확하지 않아 인용하길 관뒀다. 근데 『젠더』에 나오는 일화일 줄은 상상도 못 했다. 어제 늦은 밤 지하철에서 이 구절을 읽고 꽤나 흥분했다. 흐흐.

이 책이 처음 나온 시기가 1978년이란 점, 그러니 1970년대 중후반에 이 책을 썼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시엔 트랜스젠더를 진단할 공적 진료규범이 없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 성전환증(transsexualism)을 성동일성장애(GID: gender identity disorder)란 항목으로 의료진단범주에 포함한 건 1980년이니 그전까진 설만 분분했다. 이런 시기에 몇 명의 의사들이 위와 같은 얘길 했다: 자신을 트랜스젠더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찾아왔을 때, 진짜 트랜스여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자신에게 성적인 흥분을 일으키는지, 자신이 “환자”에게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지로 판단한다고.

의사들이 다소 노골적으로 표현했을 뿐 유별난 기준은 아니다.

작년 ftm 관련 다큐를 여성영화제에서 상영한 후 감독 및 출연자와의 대화 시간을 가졌을 때, 몇 명의 관객들은 출연자를 보며 “쟤는 좀 남자 같네.”라고 속삭였다. 난 이 속삭임과 『젠더』에서 전하는 의사들의 발언에서 어떤 차이도 찾을 수 없다. 하리수를 “여자보다 더 여성스러운”이란 수식어로 설명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나아가, 어떤 개인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구분하는 일상의 실천 역시 마찬가지다. 누군가를 “여성”으로, “남성”으로 판단하는 방식은 위에 인용한 의사들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의사들은 매혹을 기준으로 삼았고, 어떤 사람은 머리카락 길이를 기준으로 삼고, 어떤 사람은 걷는 방식이나 목소리 톤을 기준으로 삼는다. 전화를 걸었을 때 목소리만 듣고선 상대를 “여자”로 판단한다면, ‘내’가 “여성의 목소리”라고 판단할 자극을 받았다는 의미기도 하다. 이것이 위의 의사들이 성적 매력, 유혹으로 판단하는 것과 얼마나 다를까.

이런 구분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매우 드물고 나 역시 이런 구분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러니 이런 구분을 옳고 그름이나 잘잘못으로 구분하는 건 곤란하다. 이 말을 덧붙이는 건, 예전 어느 강의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몇 번인가 의사의 사례를 언급했는데, 그 당시 강의실은 술렁이며 의사를 비난하는 분위기였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며. 그건 의사의 성차별적인 태도를 향한 비판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술렁임, 의사를 향한 비난/비판은 용인할 만한 행동과 용인할 수 없는 행동을 구분하고 있단 점에서 유쾌하지 않다.

유쾌하지 않음, 불쾌한 건 아니라도 유쾌한 건 아닌 감정은 순전히 나의 경험 때문이다. 내 몸은 언제나 나를 배신한다. 낯선 사람을 만날 때 많은 이들이 나를 “남성”으로 판단했다가 내가 트랜스젠더인 걸 ‘알면’ 태도가 미묘하게 바뀐다. 혹은 나의 이름은 알고 오프라인의 모습은 모르다가 오프라인에서 인사를 할 때, 내가 “그 루인”이라는 얘길 할 때면 종종 놀라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놀람은 지극히 당연하다. 사람들이 트랜스젠더를 소비하는 방식에서 내 몸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글로 드러나는 나와 오프라인에서 드러나는 나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있기 때문이다. 성질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놀람은 온라인이나 글로만 알던 사람을 오프라인에서 만났을 때도 빈번하잖아. 그저, 이런 놀람과 의사의 발언을 구분하고 놀람은 괜찮지만 의사의 발언은 나쁘다는 식으로 반응하는 태도가 유쾌하지 않았다.

어제 지하철에서 『젠더』를 읽다가 이런 저런 고민이 떠올랐다. 요즘 다시 두드러진 고민 중 하나가, 20~30년 뒤의 내 모습이라 좀 심란하기도 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