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A 7판(2009년 발행), 종이출판물과 온라인 출판물, 표절

뭔가 재밌는 일로 지도교수를 만나러 갔다가, MLA 7판(2009년 발행)을 빌렸다. 논문을 쓸 때면, 본문을 다 쓴 후 참고문헌 혹은 인용문헌을 작성해야 한다. 글을 쓰면서 도움을 받은 문헌, 직접 인용한 문헌의 출처와 해당 문헌의 정보를 기록해야 하는 것이 참고문헌 혹은 인용문헌 작성인데 이를 작성하는 표준이 몇 개 있다. MLA는 몇 가지 표준 중에서 인문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 물론 학술지마다, 잡지마다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니 몇 가지 표준 중 하나를 반드시 따라야 하는 건 아니다. 그러니 일종의 가이드라인에 가깝다. 나의 경우, 지도교수의 전공도 전공이지만 나 자신의 관심이 인문학에 더 가까워 원고를 쓸 때면 일단 MLA가 제시하는 방법으로 작성을 한 후, 잡지나 편집자가 요청하는 방식으로 수정하는 편이다. 이게 좋은 건, 일단 하나라도 제대로 작성할 수 있으면 다른 식으로 바꾸는 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01
암튼 최신판을 빌려 뭐가 바뀌었나 검토했는데, 많은 게 바뀌었더라! 흑흑.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인용문헌의 형태를 기술하는 방식이다. 내가 논문을 쓸 당시인 6판(2003년 발행)에선 인쇄본이 기준이었고, 웹에서 구한 문헌을 기술하는 방식은 부가적이었다. 예를 들면

 글쓴이. 『책 제목일 수도 있음』 파주: 출판출판, 2007.
 저자. “논문 제목을 쓰세욤” 『잡지제목이에요』 4.2 (2006): 113-149. DBDB. 2009.09.23. <www.dbdb.org/search>
 (DBDB는 논문을 다운로드 받은 사이트 이름, “2009.09.23”은 해당 사이트에 접근해서 다운로드한 날짜. 주소는 말 그대로 해당사이트 주소)

이런 식으로 웹사이트 주소를 명기하지 않은 문헌은 기본적으로 인쇄본으로 가정했다. 그런데 7판엔 이게 확 바뀌었다.

 글쓴이. 『책 제목일 수도 있음』 파주: 출판출판, 2007. 인쇄본[Print].
 저자. “논문 제목을 쓰세욤” 『잡지제목이에요』 4.2 (2006): 113-149. DBDB. 웹[Web]. 2009.09.23.

Print를 인쇄본으로 번역해야 할지 종이출판으로 번역해야 할지는 모르겠다. 아무튼 2009년 현재, 온라인 출판물은 더 이상 오프라인 출판물의 부가물이나 보조가 아니며, 인쇄본이 기준일 수 없음을 명시하고 있다. 너무도 당연한 일. 개정판에서 보강한 부분, 공을 들인 부분들 대부분도 온라인 서비스를 인용할 때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식이며, 모든 자료에 CD인지, 라디오방송인지, 텔레비전 방송인지를 표기하도록 했다. 이것은 더 이상 종이에 인쇄한 형태의 문헌만이 권위를 가지지 않은다는 걸 의미한다. 그 만큼 웹이 일상 생활, 글작업, 학술작업에서 비중이 커졌다는 걸 뜻한다. 웹이 나의 전공은 아니라 더 자세하게는 못 쓰겠지만 매우 중요한 변화가 아닐까 싶다. 블로그에 쓰는 글 하나하나, 트위터나 미투데이에 쓰는 단문 하나하나, 댓글 하나하나가 인쇄물과 동일한 권위라는 걸, 가장 보수적일 수도 있는 곳에서 받아들였다는 느낌이다.

덧붙이면, 미국기준으로 구글지도를 인용하거나 글에서 사용할 때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법도 나온다.
“Maplewood, New Jersey.” Map. Google Maps. Google, 15 May 2008. Web. 15 May 2008.
“지역 이름.” 지도[자료의 성격을 표시한 것]. 구글지도[사이트 이름]. 구글[사이트 제공자 혹은 사이트 저작권자], 사이트 최근업데이트 날짜. 웹[자료형태]. 사이트 접근 날짜.
구글지도, 다음지도, 네이버지도와 같이 지도서비스를 이용하고 나서 참고문헌을 작성할 때 응용하면 좋을 듯하다.

02
작년에 논문 쓸 때는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법만 복사해서 읽었는데, 이번엔 책을 빌렸다. 그랬더니 표절 관련 내용도 따로 있더라. 이 부분이 가장 흥미로웠다. 이 포스트를 쓴 이유기도 하고.

미국이나 영국논문을 읽을 때마다 느끼지만, 인용이나 참고문헌 표시를 참 꼼꼼하게 한다. 아는 사람과 대화를 한 과정에서 얻은 아이디어면 “##와의 대화”라고 분명하게 표시하는 식이다. MLA는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 정보/자료, 표현방식 등을 모두 인용으로, 참고문헌에 표시할 것을 요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어도 윤리적으론 문제가 된다고 명시한다. 그 범위가 상당히 광범위 한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Some of Dickinson’s most powerful poems express her firmly held conviction that life cannot be fully comprehend without an understanding of death.(56)
대충 번역하면, 디킨스는 죽음을 이해하지 않고선 삶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음을 확신했다고 시에서 표현하고 있다… 정도? Wendy Martin이란 사람이 쓴 구절이란다. 근데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면 어떻게 될까?

Emily Dickinson firmly believed that we cannot fully comprehend life unless we also understand death.(56: 에밀리 디킨슨은 우리가 또한 죽음을 이해하지 않는다면 삶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다고 확신했다.)
표현 방식은 달라도 기본 아이디어가 동일하다면 이는 표절이라고, MLA는 지적한다. 따라서

As Wendy Martin has suggested, Emily Dickinson firmly believed that we cannot fully comprehend life unless we also understand death(625).
Wendy Martin이 제안한 것임을 분명히 하고, 인용표시(“(625)”)를 할 것을 요구한다.

다른 사람이 만든 용어를 인용표시 없이 사용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표절이며, 다른 사람의 글을 좀 다르게 각색해서 요약하는 것 역시 표절.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들은 얘기, 혹은 어떤 아이디어 역시 인용과 참고문헌 표시가 없다면 표절이다. 그것이 본인만 아는 사실이라 해도.

인용과 참고문헌은 자신의 글을 쓰는 과정에서 도움 받은 문헌의 저자, 함께 얘기를 나눈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표현하는 방법이기도 하단 점에서 법적인 문제라기 보단 윤리적인 부분이 더 크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논평자들에게, 함께 얘기를 나눈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이고.

오전에 표절 관련 글을 읽으면서 뭔가 정리를 할 수 있는 기분이었다. 지금 쓰고 있는 글에서, 참고문헌에는 분명히 표시하는데, 본문에서 인용을 표시하기도 애매하고 표시하지 않기도 애매한 부분들이 있어 갈등하고 있었다. 한 편의 논문과 세 권의 책을 읽고 내 방식으로 정리한 내용을 쓰는데, 모든 문장이 인용표시 없이 쓰기도 애매하고 인용표시를 하기도 애매했다. 인용표시를 하기로 작정하면 모든 문장에 인용표시를 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이런 고민을 하는 와중에 표절 관련 글을 읽어서인지 고민이 좀 해결되는 느낌이랄까. 암튼 타이밍 적절한 아침이었다.

+
본문과는 무관하지만 중요한 변화. 6판에선 도서명을 표시할 때 언더라인을 했는데, 7판에선 다시 이탤릭으로 바뀌었다. 즉 Gender Trouble에서 Gender Trou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