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교차성 01

어제 지하철에서 쓴 글은 아니고 지난 3월에 쓴 쪽글입니다.
작년까진 글을 읽고 자신의 고민을 써야 했다면 올해는 저자의 주장을 정리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제 개인 기록용으로는 의미가 있지만 다른 분에겐 어떨는지… 흠…
2013.03.20.수. 14:00-
-루인
여성억압, 인종억압, 계급억압과 같은 식의 언설, 그리하여 노동계층 흑인 여성은 삼중억압을 겪고 한국에서 레즈비언은 이중억압을 겪는다는 식의 언설은 매우 빈번게 쓰인다. 이런 언설은 한 개인이 겪는 복합 억압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며 널리 쓰이기도 한다. 니라 유발-데이비스(Nira Yuval-Davis)는 글 서두에 벨 훅스(bell hooks)를 인용하며 삼중억압과 같은 언설을 비판한다. 벨 훅스는 여성억압, 흑인억압과 같은 식의 언설이 ‘모든 여성은 백인이고 모든 흑인은 남성’이라고 가정함을 비판한다. 이 지적은 교차성 개념을 이해하는데 핵심이며 유발-데이비스가 이 글을 통해 계속해서 지적하는 부분이다. 유발-데이비스 역시 1980년대 초부터 삼중억압과 같은 식의 설명을 비판했는데, 단적으로 얘기해서 이중 삼중 억압, 그리하여 ‘흑인으로’ ‘여성으로’ ‘노동계층으로’ ‘레즈비언으로’ 겪는 억압에 따른 고통 같은 것은 없다(195). 미국에 거주하는 흑인레즈비언이라면 흑인으로 억압을 받고, 레즈비언으로 따로 억압을 받고, 여성으로 또 따로 억압을 받는 식이 아니다. 물론 특정 맥락에서 어느 한 가지 범주/사회적 구분으로 더 억압받을 수는 있다(203).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개별적으로 작동함은 아니다. 각 범주는 서로 얽힌 상태로 작동한다.
삼중 억압과 같은 언설, 각 범주/사회적 구분을 별개로 이해하는 인식[더하기 모델로도 불리는데]은 그 의도가 무엇이건, 범주를 자연화한다(199). 뿐만 아니라 해당 범주의 더욱 주변적 구성원의 경험을 비가시화하고 해당 범주의 적절한/적법한 구성원이 되기 위한 ‘올바른 방법’을 규범화한다(195). 그래서 더하기 모델은 여성이 겪는 다양한 억압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임에도 여성의 삶을 설명하는데 실패한다.
유발-데이비스가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듯 교차성 개념은, 그 용어가 널리 쓰이는 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쓰인다. 특히 교차성으로 여성이 겪는 삶의 복잡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UN 등의 기관 보고서는 교차성 개념을 빈번하게 사용함에도 그 원래 의미와는 다른 식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테면 크렌쇼(Kimberle Crenshaw)는 교차성을 수월하게 설명하기 위해 교차로 모델을 예로 든다. 이런 설명이 호주 인권과고용평등위원회에선 개인적 이슈로 설명되고 여성글로벌리더쉽센터에선 개별 정체성으로 환원된다. 교차성을 정체성의 더하기 모델로 이해하는 정책에선 개인의 복잡하게 얽혀 있는 삶이 단순 경험 수준으로 남겨지고 복잡한 수위는 구분이 안 되는 상태로 남겨진다(197).
교차성을 하위 범주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 역시 곤란하다. 어떤 한 범주는 다른 범주의 하위 범주가 아니다(200). 흑인이거나 여성인 것이 노동계급의 또 다른 방식이거나 하위 분류가 아니란 뜻이다. 일단 여성이 있고 여성을 수식하는 계급, 인종, 성적지향, 장애/비장애 등이 있는 게 아니다. 범주를 다양하게 나열하는 방식은 물론 인간 경험을 복잡하게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누락되어서 인식 가능성 외부에 있을 경우 인식을 위한 투쟁도 필요하다. 그렇다고 그것을 개별의 취합으로 이해해선 안 된다. 교차성은 복잡한 경험을 복잡하게 이해하는 실천, 그리하여 유발-데이비스의 지적처럼 인간의 삶에 가장 근접한 설명 방법이다. 한 가지 아래 여러 정체성을 찾은 것이 아니라 여러 범주/사회적 구분이 서로 어떻게 얽혀 있고 영향을 주고 받는지를 탐문하는 작업이다(205). 특정 위치성, 그것에 반드시 상응하는 것은 아닌 정체성, 그리고 정치적 가치가 어떻게 구성되고 특정 지역과 맥락에서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영향을 주고 받는지를 분석함이 교차성 분석이며 이 작업이 중요하다(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