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수업 쪽글은 나중에 한 번에 올릴까 했는데요… 오늘까지 잇달은 글 마감과 수업 준비 등으로 정신이 없어서 결국 이번에 또 수업 쪽글로.. 하하..;;;
그리고 댓글 감사히 잘 읽었어요.. 답글은 곧 달게요.. 죄송해요… ㅠㅠㅠ
===
2013.10.15. 화. 15:00-  벤야민의 이야기꾼.
이야기를 구술하기 그리고 역사쓰기
-루인
과거에 있었던 얘길 어떤 사람에게 들려줄 때가 있다. 과거 겪은 사건이나 운동의 역사 같은 것, 내가 참여해서 이미 알고 있다고 여기는 것 혹은 나도 전해들은 어떤 것을 마치 증언처럼 혹은 옛날 얘기처럼 들려줄 때가 있다. 그때의 일을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마치 그 일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것처럼. 그리고 어느날 그 일을 겪던 당시에 쓴 기록물을 읽는다. 나는 두 가지 다른 사건을 겪은 것만 같다. 활자로 기록된 것과 구술로 회자되는 것은 서로 다른 일이다. 활자로 기록된 사건은 그 기록 당시의 감정을 반영한 사건이고, 구술로 지금 애기하는 사건은 회고하거나 회상하는, 기억에 의존하는 사건이자 그 동안(즉 더 많은 시차와 경험)의 역사/시간이 침윤된 사건이다. 그래서 구술하는 이야기는 오래된/널리 회자되는 이야기이자 구술하는 그 찰나에 처음 쓰는 이야기다. “했던 얘기를 또 하고 또 하고 또 하는 것” 그래서 지겹도록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는 것 같아도 구술하는 동안 이야기는 매번 새롭게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이미 구성된 것 혹은 확정된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할 때의 나의 상태, 상대방의 반응으로 구성되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다. 그리하여 이야기엔 역사가 있고 시간이 있다.
그렇다고 활자로 기록된 글이 언제나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건 아니다. 벤야민은 이를 다시, 이야기와 정보로 구분한다. 이미 해석/설명되어 도착하는 순간 그 가치를 상실하는, 그리하여 청자나 화자가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는 정보와 매 순간 새롭게 해석되는 이야기는 다르다고 벤야민은 얘기한다. 이를테면 벤야민이 이름을 언급한 에드가 앨런 포의 「고자질하는 심장」이 그렇다. 별다른 해설/설명 없이 이야기만 있는 이 단편소설를 독자는 살인범의 죄의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강박증을 다룬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혹은 또 다른 내용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도 비슷하다. 이 이야기를 독자는 근대 기술 발전의 공포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페미니즘 작품으로 독해할 수도 있고, 동성 성애 관계로, 재생산을 둘러싼 공포로,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로, 채식주의자의 이야기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청자/독자에 따라 전혀 다른 작품으로 해석되며 시간이 지나도 그 생명을 생생하게 유지한다. 이것은 정보와 달리 이야기가 청자/독자의 개입을 통해 새로운 텍스트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야기는 읽는 것이 곧 쓰는 것인 찰나에 존재한다. 이야기는 역사성과 함께 바로 지금이라는 시간에 구성된다.
벤야민의 이야기는 활자로 구성되지 못 한, 때론 정보로도 구성되지 못한 타자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힘을 제시한다. 많은 타자의 기록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기록되거나 그 시기를 살아온 사람들의 기억에 의해 구술되고 ‘전설’로 회자된다. 기억 속 사건의 시기는 정확하지 않고 선후 관계도 얘기할 때마다 바뀐다. ‘그럼에도’가 아니라 그리하여 타자의 이야기를 듣는 순간, 우리/나는 타자의 역사를 내가 겪는 것처럼 상상할 수 있다. 혹은 내가 겪고 있는 일처럼 설레고 또 그 이야기에 기뻐한다/슬퍼한다. 내 몸의 경험과 엮어 ‘나’의 역사로 쓸 수도 있다. 역사쓰기는 상상하기라고, 상상력 없는 역사쓰기는 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나는 구전으로만 회자되는 혹은 단편적 사건으로만 남아있는 타자/나의 이야기를 상상력이란 실과 바늘을 이용해 역사란 형태로 직조한다. 그러니 이야기하기는 역사쓰기다. 비규범적이라고 혹은 주류가 아니란 이유로 늘 은폐되었다고 하면서도 오래 전 타자의 이야기가 지금도 구전될 수 있다는 것, 많은 시간이 지나서라도 다시 들려질 수 있다는 것, 이것은 이미 정리되어 암기해야 하는 역사가 아니라 오랫동안 입으로 전해지는 ‘소문’ 속 타자의 역사, 이야기의 힘인지도 모른다.

잡담 이것저것

얼마 전 목감기에 걸렸다고 적었다. 그 이후로도 차도가 없었다. 이유를 고민하니 집이 너무 건조하다. 한 번은 너무 건조해서 새벽에 기침을 하며 깬 적이 있다. 아침이면 코가 너무 건조해서 갑갑할 때가 있다. 그러고 보니 목감기가 낫지 않는 것도, 이 계절에 비염이 터지는 것도 건조해서가 아닐까 한다. 집에서 가장 숨쉬기 수월한 곳이 샤워실이라니, 말 다했다.
결국 긴 줄을 샀다. 빨래줄을 사려고 했는데, 다이소엔 빨래줄이 없다고 해서 그냥 끈을 샀다. 높이 매달고 수건 두 장을 물에 적셔 널었다. 자고 일어나면 좀 어떠려나..
가습기는 염두에 두지 않았다. 내가 참으로 게을러서, 가습기의 물병을 부지런히 갈아줄 자신이 없다. 가습기 청소할 엄두는 더더욱 없다. 분명 초반에 몇 번 부지런히 물을 갈다가 결국 물병도 제대로 치우지 않고 방치할 가능성이 크다. 이 게으름, 어찌할 것이냐… 그리하여 가습기는 건조한 상황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저 물에 젖은 수건으로 어느 정도 효과가 있기를.
많은 걸 바라지 않는다. 그저 목감기만 좀 어떻게… 비염이 진정되는 시기에 비염 터지는 것만 좀 어떻게…
“쓰기와 더불어 표절에 대한 분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옹, 208)
요즘 읽고 있는 책의 한 구절이다. 구술과 쓰기의 차이를 다룬 글인데 재밌다. 그리고 위 구절이 확 와닿았다. 구술 문화에선 이야기와 지식은 공동의 것이기에 표절 개념이 없지만, 글쓰기 문화에선 이야기와 지식이 독점되고 고독한 작업이 되며 그리하여 표절 개념이 중요하게 등장한다. 표절과 그에 따른 감정이 매우 근대적 현상이란 점, 무척 흥미롭다.
사실 또 다른 행사를 홍보하는 글을 쓰려고 했다. 근데 사흘 연속도 모자라 나흘 연속 홍보면 좀 그렇지 않을까 해서 오늘은 잡담을… 내일은 홍보를! 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