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해석과…

웹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흥미로운 글을 발견했다.

파니 “시스젠더 몸의 탄생 : <미녀는 괴로워>가 젠더경합을 무마하는 방식에 대하여”
내 이름이 자주 등장하여 쑥쓰럽지만 흥미롭고 또 잘 쓴 글이라 여기에 슬쩍 링크.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시스젠더 몸/범주의 탄생으로 재해석한 글인데, 이 영화를 매력적으로 본 나로선 이 해석이 무척 좋다. 읽으며 ‘그래.. 그렇지’하며 감탄하기도 했다. 이렇게 흥미로운 해석을 이제야 읽다니!
물론 몇 군데 선뜻 동의하기 힘든 구절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젠더 (정)체화 과정은 규범을 불안정하게 패러디하며 몸을 변형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젠더주체는 트랜스-젠더가 된다.”라는 구절이 그렇다. 문단의 논의 맥락에선 이 구절이 문제가 없다. 아울러 “트랜스젠더”가 아니라 “트랜스-젠더”라고 표기하고 있기도 하고. 그럼에도 모든 주체를 트랜스젠더 주체로 재해석할 때, 나는 묘한 감정을 느낀다(링크한 글의 문제란 뜻이 아니다). 이를 테면 성전환수술로 분류되는 일련의 의료적 조치를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어떻게든 다른 경험을 한다. 자신을 트랜스젠더로 분류하며 살아가는 사람과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이 이 세상과 조우하는 방식도 분명 다르다. 그런데도 ‘모든 젠더 주체는 트랜스젠더다’라는 식으로 얘기를 하면 의료적 조치를 선택한 트랜스젠더가 겪는 또 다른 경험이 희석되거나 누락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갈등한다. 서로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그럼에도 경험의 층위를 무화시키지 않는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

사실 이 글을 쓰는 진짜 이유는 다른 데 있다. 파니 님의 글은 2010년 12월에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내 석사학위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 …응? 어떻게 읽으신 거지? 석사학위 논문을 워낙 적게 인쇄했기에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배포했다. 아울러 도서관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막았기에 읽은 사람이 정말 몇 명 없고 구할 방법도 마땅찮았다. 이 블로그에 공개한 것도 2012년 여름이었고. 그런데 무려 2010년에 쓴 글인데 석사논문을 읽으셨다니.. 어떻게 구하신 거지? 어떻게???
파니 님 블로그에 직접 여쭈려다 부끄럽기도 하고 수줍기도 해서.. 소심하게 여기에만 조용하게..;;;
+
그나저나 초면이 아니면 어떡하지… 내가 워낙 사람 얼굴과 이름 기억을 못 해서.. 엉엉

교정알바: 장애여성과 재생산

지난 일요일부터 방금 전까지 교정 알바를 했다. 아, 머리 아프고 눈이 핑핑…

지인의 학위논문을 교정했는데, 종이에 출력해서 읽을 여유가 없어 노트북 모니터를 보며 작업했다. 그랬더니 눈이 핑핑 돈다. 아, 어질어질…
논문 주제는 장애여성과 재생산 정치. 장애여성에게 결혼, 임신, 출산 등의 의미를 상당히 흥미롭게 분석하고 있다.
(아직 인쇄하지 않은 논문이라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할 수는 없고…)
좀 더 정리해서 나중에 단행본으로 내면 좋겠다. 비장애여성을 기준으로 삼는 기존 재생산 논의에서 이 논문이 함의하는 바가 상당하고, 재생산 정치에 새로운 논의 지평을 펼치고 있으니 많은 사람이 읽길 바란달까…
이런 평가와는 별개로 석사학위 논문 특유의 비문과 오탈자가 많아 혼자서 “캬악”도 여러 번 했다지. 흐흐. 지인에게 시간이 조금만 더 있다면 좋겠다는 아쉬움도 있다. 이 부분은 이렇게 풀고, 여기를 좀 더 보충하면 좋을 텐데라는 아쉬움이 남아서.. 하지만 이건 석사학위 논문이니까. 석사학위 논문은 글쓰는 연습이며 논문 쓰는 연습이니까. 무엇보다도 지금 내가 바라는 것은 지인이 교정지를 확인하고 반영할 여력이라도 있길… 덜덜덜. 흐흐흐
아, 내일은 프로젝트 중간보고서 써야 한다.. ㅠㅠ
내 공부는? 내 공부는?

근황: 집.. 고양이.. 논문

01
오랜 만에 집에 앉아 글을 읽고 있다. 글을 읽는 곳은 계속 바뀐다. 동거묘가 나를 부르는 곳, 동거묘가 드러누워 잠을 자는 곳이 내가 머무는 곳이다. 마루에서 싱크대에 기대 글을 읽다가 동거묘가 방으로 들어가 사료를 먹기 시작하면 나는 따라 간다. 동거묘가 나를 부르기도 한다. 냐옹, 하고 부르면 나는 가야 한다. 그럼 동거묘가 밥을 먹는 동안 나는 그 옆에 앉아 글을 읽는다. 그러다 다시 마루로 가서 아깽이를 돌보기 시작하면, 나는 또 그 옆에 앉아 글을 읽는다.

동거묘가 들어오고 아가들이 태어나고 무사히 자라기까지… 얼추 80일 정도의 시간이 지났다. 내가 사는 방에 고양이가 들어온지 80일 정도가 지나자, 이제야 비로소 책과 논문을 조금씩 읽을 수 있다. 초기엔 논문을 읽기 위해 외출했다. 고양이와 사는 일에 워낙 처음이라 적응을 못 했다. 논문을 읽기 위해선 밖으로 나가는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동거묘와의 생활에 적응할 즈음, 아가들이 태어났다. 다시 적응해야 했다. 아가들을 돌보는 동거묘의 생활에 나를 맞추기 시작했다. 다시 이 생활에 적응할 즈음, 이젠 아가들이 우다다 달리기 시작했다. 배변을 못 가리고 모든 물건에 호기심을 보여 정신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 맞물려 나는 알바와 다른 일로 정신없이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렇게 시간이 또 흘렀다.

얼추 80일 정도의 시간이 흘러, 말도 안 되는 세계일주를 할 시간이 흐르자 비로소 나는 여유가 생겼다. 아가들이 자고, 그 옆에 엄마냥이 자고, 난 그 옆에 앉는다. 다들 자는 모습에 덩달아 자기도 하고, 논문도 읽으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토요일. 이제야 비로소 집에 앉아 논문을 읽을 수 있다. 사실 어제 밤에만 해도 밖으로 나갈까, 고민했다. 망설였다. 불필요한 소비라 망설였다. 그러다 시도하기로 했다. 가능하다.

02
뭔가 일자리를 구할 거 같은데 좀 재밌는 일이 생겼다. 확정되면 나중에 자세히..

03
석사논문을 겸사겸사 읽고 있다. 심사후 수정판이 아니라 심사를 위한 제출판으로. 논문을 읽으며, 손발이 오그라든다. 어떻게 이 논문을 통과시켜 줄 생각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갈 지경이다. 정말 조잡하다. 각 장별로 나눠서 별도의 글이라면 읽을 만하다. 하지만 하나의 논문, 한 권의 책이라면 정말 아니다. 그래도 이렇게 확인하니 나쁘진 않다.

04
행사 일주일을 앞두고 강연청탁이 왔다. 행사 일주일 앞두고 청탁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지만 덥썩 물었다. 그런데 왜 그 이후로 연락이 없지??

05
아무려나 집에 앉아 논문을 읽으니 참 좋다. 주제도 6월에 있을 발표 내용에 맞는 거라 다행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