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해석과…

웹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흥미로운 글을 발견했다.

파니 “시스젠더 몸의 탄생 : <미녀는 괴로워>가 젠더경합을 무마하는 방식에 대하여”
내 이름이 자주 등장하여 쑥쓰럽지만 흥미롭고 또 잘 쓴 글이라 여기에 슬쩍 링크.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시스젠더 몸/범주의 탄생으로 재해석한 글인데, 이 영화를 매력적으로 본 나로선 이 해석이 무척 좋다. 읽으며 ‘그래.. 그렇지’하며 감탄하기도 했다. 이렇게 흥미로운 해석을 이제야 읽다니!
물론 몇 군데 선뜻 동의하기 힘든 구절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젠더 (정)체화 과정은 규범을 불안정하게 패러디하며 몸을 변형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젠더주체는 트랜스-젠더가 된다.”라는 구절이 그렇다. 문단의 논의 맥락에선 이 구절이 문제가 없다. 아울러 “트랜스젠더”가 아니라 “트랜스-젠더”라고 표기하고 있기도 하고. 그럼에도 모든 주체를 트랜스젠더 주체로 재해석할 때, 나는 묘한 감정을 느낀다(링크한 글의 문제란 뜻이 아니다). 이를 테면 성전환수술로 분류되는 일련의 의료적 조치를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어떻게든 다른 경험을 한다. 자신을 트랜스젠더로 분류하며 살아가는 사람과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이 이 세상과 조우하는 방식도 분명 다르다. 그런데도 ‘모든 젠더 주체는 트랜스젠더다’라는 식으로 얘기를 하면 의료적 조치를 선택한 트랜스젠더가 겪는 또 다른 경험이 희석되거나 누락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갈등한다. 서로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그럼에도 경험의 층위를 무화시키지 않는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

사실 이 글을 쓰는 진짜 이유는 다른 데 있다. 파니 님의 글은 2010년 12월에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내 석사학위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 …응? 어떻게 읽으신 거지? 석사학위 논문을 워낙 적게 인쇄했기에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배포했다. 아울러 도서관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막았기에 읽은 사람이 정말 몇 명 없고 구할 방법도 마땅찮았다. 이 블로그에 공개한 것도 2012년 여름이었고. 그런데 무려 2010년에 쓴 글인데 석사논문을 읽으셨다니.. 어떻게 구하신 거지? 어떻게???
파니 님 블로그에 직접 여쭈려다 부끄럽기도 하고 수줍기도 해서.. 소심하게 여기에만 조용하게..;;;
+
그나저나 초면이 아니면 어떡하지… 내가 워낙 사람 얼굴과 이름 기억을 못 해서.. 엉엉

프랑켄슈타인, 미녀는 괴로워, 트랜스젠더

01
필수 한 과목에 선택 두 과목(인문학+사회학)으로, 총 세 과목의 종시과목 중, 인문학으로 선택한 과목은 당연히 루인의 지도교수에게서 들은 수업이었다. 선생님은 두 문제를 출제했는데, 하나는 페미니즘 문학 비평사를 개괄하는 것으로, 영미페미니즘 논의와 프랑스 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개별 작품을 분석하는 것. 두 번째 문제의 작품들은, 루인이 직접 선택하고 선생님께 승인받는(괜찮은지 안 괜찮은지의 여부) 걸로 했다. 그래서 선택한 작품이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쟈넷 윈터슨의 [육체에 새겨지다]였다.

의도하지 않게 세 작품 모두 영국출신의 작가들이었고, 그 중 윈터슨은 다른 작품을 선생님 수업시간에 다룬 적이 있고, 울프는 직간접적으로 수업 내내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던 작가였고, 매리 셸리는, 뒤늦게 깨달았는데, 선생님의 전공인 낭만주의 작가였다. -_-;; 아무려나 각각의 작품에서 젠더수행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을 했고, [프랑켄슈타인]은 트랜스젠더 혹은 신체변형/외과수술을 통해 구성한 몸이란 주제로 접근했다.

02
영화 [미녀는 괴로워]에서 한나의 전신성형을 집도한 의사, 이공학은 아내와 잠자리에 드는 걸 두려워하는 인물로 나온다. 아내 역시, 한나처럼, 이공학에게서 전신성형수술을 받았고, 바로 이런 이유, 즉 전신성형수술을 한 몸이란 이유로 이공학은 아내와 접촉하는 걸 무척 두려워한다. 성형수술의사이지만 성형한 몸-외과적으로 구성한 몸을 두려워하거나 끔찍하게 여기는 셈이다. 신체변형과 관련한 두려움은 역사적으로 오래되었지만, 특히나 근대에 들어 사회에 적합한 노동하는 몸을 만들면서 신체를 훼손하는 것 자체가 범죄가 되고 두려움과 혐오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실제 신체훼손이나 자해는 정신병 진단목록에 올라 있고, 정신병원에 감금되기도 한다.

트랜스젠더를 향한 혐오의 상당 부분도 이러한 신체변형에 기인하는 측면이 있는데, 이런 혐의는 적지 않은 사람들이 “꼭 수술을 해야 하나요?”, “왜 멀쩡한(건강한) 몸을 바꾸느냐”와 같은 말들에서 읽을 수 있다. 인터넷리플을 통해 드러나는 하리수를 향한 혐오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고.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창조물/괴물을 향한 공포와 혐오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다고 느꼈다. 셸리가 이 소설을 쓴 시기는 근대합리성과 이성중심주의, 동시에 낭만주의가 공존하던 시기였고, 창조물/괴물은 여기저기서 모은 재료로 덕지덕지 “땜질”해서 만든/구성한 존재이다. 이렇게 외과적으로 구성한 몸이란 것,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몸이라는 인식이 창조물/괴물을 공포로 여기게 한 것은 아닐까 하는 고민을 했다. 물론 이 소설을 “공포”소설로 부른다면, “공포”가 발생하는 다른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창조물/괴물의 탄생 배경일 거라고.

03
종시를 위해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새삼 깨닫고 감동한 구절은, 다름 아니라, 창조물/괴물이 주장하고 요구하는 단 한 가지는 “행복”이다. 행복해지고 싶어서 사람들에게 다가가 말을 걸고, 행복해지기 위해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 자신의 파트너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한다. 그저 행복해지길 바랐을 뿐이지만, 이런 바람이 창조물/괴물에겐 “과도한 욕망”으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슬펐다.

04
선생님과 구술시험을 보다가 배운 것 하나.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은 여러 면에서 콜리지(Samuel Taylor Coleridge)의 시,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와 닮았다고 한다. 콜리지 시의 내용을 인용/차용하고 있기도 하단다. 그래서 현재 복사한 상태. 언젠간 읽겠지. 흐흐.